• 제목/요약/키워드: 정보 제공의 완전성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8초

헤드라인 제시 방식이 모바일 브라우징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dline type on the usability of mobile browsing)

  • 김성은;조운정;한광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88-1193
    • /
    • 2009
  • 현대 사회에서 휴대폰은 더 이상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통신을 위한 매개체가 아니라 이동 중에도 인터넷 검색 또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로 쓰인다. 특히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한 모바일 인터넷 뉴스 기사 검색은 현재 효율성과 주관적 만족도가 떨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목록 제시 방식이 모바일 브라우징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정보 제공의 완전성과 정보 제공의 지연 여부의 2 가지 측면으로 목록 제시 방식을 구분하였다. 탐색 과제를 통한 목록 제시 방식 효과를 비교한 결과 정보 제공이 완전하면서 지연이 없는 레이어드 팝업 조건에서 사용성과 지각된 사용성이 가장 높았으며 정보 제공이 완전하나 정보의 지연이 있는 동적 제시 조건, 정보 제공이 불완전하나 지연이 없는 ‘…’ 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레이어드 팝업 조건과 동적 제시 조건 간의 유의미한 사용성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정보의 지연 여부보다 정보 제공의 완전성이 모바일 브라우징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방식들 간의 차이만을 살펴보는 수준을 넘어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WAP 서비스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 PDF

UML 다이아그램의 일관성 및 완전성 검증 규칙 (The Rules for Verifying Completeness and Consistency of the Unified Modeling Language Diagrams)

  • 김재웅;김진수;황선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A)
    • /
    • pp.525-52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객체지향 설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UML 다이아그램들의 일관성과 완전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UML 의 각 다이아그램을 ER 모델로 표현하고, 각 다이아 그램에 대한 공통된 표현으로 통합된 ER 다이아그램을 제공하며 일련의 집합과 함수들을 사용하여 정형적으로 명세한 다음 이러한 정형 명세를 기반으로하여 일관성을 완전성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제공한다. 이 규칙은 다이아그램의 구문(syntax)과 의미(semantic)에 대하여 모두 검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구문 완전성, 구문 일관성, 의미 완전성, 의미 일관성으로 나누어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규칙들은 추후 CASE 도구에 포함되어 다이아그래밍의 일관성 및 완전성을 검사할 수 있는 CASE 도구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

  • PDF

글로벌 리포지터리 정보 수집모듈 개발 및 검증 (A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n a Harvest Module for Global Repository Information Data)

  • 김선태;최명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리포지터리의 현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모듈을 개발하고 이의 완전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OpenDOAR와 ROAR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는 리포지터리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각각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API와 웹페이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 하였다. 개발 모듈로는 대륙별 국가정보 수집모듈, 리포지터리 소프트웨어 정보 수집모듈, 리포지터리 주제 정보 수집모듈, 리포지터리 상세정보 수집모듈을 개발하였다. 수집모듈로 수집된 리포지터리 정보를 대상 정보원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모듈의 완전성을 검증하였다.

  • PDF

셀-분할 방식에 의한 운동계획 알고리즘의 확장 (Expansion of Motion Planning Algorithms by Cell-Decomposition)

  • 안진영;유견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887-889
    • /
    • 2003
  • 사다리꼴-분할 방식은 로봇 경로 계획 알고리즘 중 완전 셀-분할 방식중의 하나로서 장애물과 떨어진 경로를 제공하므로 안정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사다리꼴-분할 방식은 다각형 환경으로 이루어진 형상공간에서 정의되며 자유공간을 볼록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셀(cell)로 나누어 로봇 운동을 계획하는데, 원과 같은 비다각형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이 성질을 만족하는 분할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각형 환경에서 정의된 사다리꼴-분할 방식을 분할의 완전성을 잃지 않고 원의 호를 포함하는 환경으로 확장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구현한다.

  • PDF

Signcryption 기반의 완전한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이메일 프로토콜 (A Signcryption based E-mail Protocol providing Perfect Forward Secrecy)

  • 이창용;김대영;김상진;오희국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44-348
    • /
    • 2006
  • 현재 PGP(Pretty Good Privacy)와 S/MIME(Secur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와 같은 여러 가지 이메일 보안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프로토콜은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보안 요구사항인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최근에 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이메일 보안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으나 현실적이지 못한 가정 하에 설계되었거나 효율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프로토콜들이다. 또한 일부 프로토콜들은 실제 완전한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부분을 개선하고, 완전한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안전한 이메일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프로토콜은 Zheng 의 signcryption 기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인증을 제공한다.

  • PDF

클래스 다이아그램의 정형 명세 변환 (A Formal Specification Translation of the Class Diagram)

  • 김진수;정제홍;김병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009-1012
    • /
    • 2001
  • 일반적으로 크고 복잡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커다란 다이아그램의 집합으로 구성되지만 이들 각각의 다이아그램들이 일관성이 있고 완전한가를 알기는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에서는 최근 객체지향 개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UML 다이아그램들에 대한 일관성과 완전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각 다이아그램들을 ER 모델로 표현하고, 각 다이아그램에 대한 공통된 표현으로 통합된 ER 다이아그램을 제공하였다. 이렇게 통합된 다이아그램은 일편의 집합과 함수들을 사용하여 정형적으로 명세되며, 이러한 정형 명세를 기반으로하여 일관성과 완전성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1]에서 정형적으로 명세된 집합과 함수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알고있는 정형 명세 언어로 변환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집합을 추상자료형으로 명세하여 정의하고, 추상자료형으로 표현된 명세를 우리가 잘 알고 있는 Z 명세로 변환하여 검증 도구를 설계하는 기초로 사용하고자 한다. Z 명세는 쉽게 실행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검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 PDF

건강정보원 평가기준에 대한 공공도서관 및 의학도서관 사서간 인식비교 연구 (A Study Comparing Public and Medical Librarians' Perceptions of Evaluation Guidelines for Health & Medical Information)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7-129
    • /
    • 2014
  • 신뢰성 있고 품질 높은 검증된 정보원을 제공하는 것은 앞으로 사서의 기본 능력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정보원의 평가기준을 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21개의 평가항목이 선정되었으며, 그 중 건강/의학 관련 정보내용 그룹에는 정보의 정확성, 정보의 최신성, 정보의 의학 전문성, 정기적 업데이트, 이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정보, 정보의 객관성, 이해하기 쉬운 정보, 평이한 언어로 제공되는 정보, 정보의 완전성, 주제와의 관련성, 정보의 검증 가능성, 정보 출처 명시, 주의사항 및 경고를 명시 등 총 13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건강/의학정보 제공원 그룹에는 건강정보 제공목적의 명확성, 건강정보에 대한 책임성 명시, 개인정보 보호정책 준수, 건강정보 제공기관의 공정성, 건강정보 제공기관의 윤리성 등 5개의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건강/의학정보 웹사이트 디자인 그룹에는 건강정보 접근의 용이성, 건강정보 검색기능 제공, 웹사이트 사용의 편리성,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등 4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프레임을 이용한 다이아그램 검증 모델의 설계 (A Design of Diagram Verifying Model using the Frames)

  • 김진수;김재웅;황선명;김치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381-138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객체지향 설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객체지향 다이아그램들의 일관성과 완전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1]에서 제공된 일관성과 완전성 규칙들을 기반으로 다이아그램들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 모델을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을 이용한 설계 과정을 보이기 위하여 다이아그램의 일관성과 완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 모델에 대한 각 다이아그램을 대상으로 정보를 유도하였고 유도된 정보를 기반으로 검증에 기초가 되는 공통 내부 표현을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계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설계된 검증 모델은 다양한 객체지향 다이아그램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다이아그래밍 도구와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PDF

디스플레이와 모바일 디바이스간의 연결완전성을 구현한 U-Media Business Model 설계

  • 이경전;윤은정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2-397
    • /
    • 2007
  • 이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개인 단말을 가진 사용자간의 연결 완전성(Seamlessness)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디스플레이가 사람의 시청각에만 호소하는 것과는 달리, U-Display는 디스플레이에 컨텐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컨텐트의 링크를 개인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사용자간의 seamless한 정보 전달이 가능해진다. 논문은 U-Display의 정의와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모델의 제안 및 분석을 담고 있다.

  • PDF

도서관 공공데이터의 품질에 관한 연구: 도서관 정보나루의 도서 상세 조회 API를 중심으로 (Quality Diagnosis of Library-Related Open Government Data: Focused on Book Details API of Data for Library)

  • 양수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81-206
    • /
    • 2020
  •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제공의 활성화와 함께, 공공도서관이 업무 중에 생산한 서지 데이터와 대출 이력과 같은 데이터가 도서관 공공데이터로 제공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도서관 공공데이터의 품질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공공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정보학 영역에서 공공데이터에 관해 이루어진 연구를 개괄한다. 그다음으로, 도서관 공공데이터 개방 플랫폼인 도서관 정보나루의 오픈 API를 통해 확보한 도서관 공공데이터의 완전성과 정확성을 진단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품질 진단 결과에 바탕을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완전성을 진단한 결과, 도서의 식별과 검색을 위 필수적인 서지 요소에서 다수의 공백이 확인되었다. 정확성을 진단한 결과, 값의 유형, 값의 범위, 제한조건을 따르지 않는 부정확한 서지 요소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데이터 품질 진단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보나루의 데이터 수집 절차 개선, 데이터별 스키마 구축,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처리에 관한 안내 제공, 원자료 공개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