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적합성

Search Result 4,98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 Analysis of Effect of a Fit Between Success Factors of ERP Implementation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ERP System on System Performance (ERP도입의 성공요인과 시스템 정보특성간의 적합성이 시스템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 Lim, Kyu-C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2
    • /
    • pp.136-145
    • /
    • 2006
  • To achieve this study, this study divide success factors of ERP implementation into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and information and group syste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to form, content, source and supply frequency of information and is to verify an effect of two factors on system performance(user satisfaction). After selecting 250 SMBs in sample, this study use 79 questionaires for analysis. And all SMBs which was sampled in this study are manufacturing companies and don't consider respondent's 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f a fit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s and syste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system performance. Second, there is a positive effect of a fit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yste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system performance. and third, there is positive effect of a fit between information factors and syste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system performance.

  • PDF

Interoperability Testing Methodology and Framework (상호운용성 시험 방법 및 체계)

  • 이수인;유지원;설순욱;김명철;마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74-276
    • /
    • 1999
  • 정보 통신 프로토콜의 한 구현물이 표준에 맞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적합성 시험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정보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적합성 시험에 합격한 장비 및 서비스들간에도 상호 운용시에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정보 통신 서비스 및 제품 개발에 있어서 상호운용성 시험의 요구가 증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권고하고 있는 국제적인 표준이나 시험체계 및 방법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운용성 관련 연구 동향 및 기존의 국제 표준(안)을 분석하여 상호운용성 시험 방법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상호운용성 시험 방법 및 체계를 마련하여 표준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상호운용성의 분류, 상호운용성 시험 구조, 상호운용성 시험 절차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 PDF

Definition of Conformance Clause and Schema for Electronic Book Standard of Korea (한국전자책문서표준의 적합성 조항 및 전자책 표준 스키마의 정의)

  • Kim, Jae-Kyung;Sohn, Won-Sung;Lim, Soon-Bum;Choy, Yoon-Chul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3.05a
    • /
    • pp.741-744
    • /
    • 2003
  • 지난 2001년 7월 제정된 한국전자책문서표준 EBKS(Electronic Book of Korea Standard) 1.0은 지난 2002년 7월 한국산업기술표준원의 산업표준심의를 거쳐 한국전자처 표준문서형 정의 규격번호 $KS{\times}6100$으로 제정되었다. 따라서 $KS{\times}6100$을 사용하는 전자책 문서들은 표준의 목적과 명세에 대한 부합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적합성 검사 및 이에 기반 한 인증 절차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적합성 검사의 기준이 되는 적합성 조항(Conformance Clause)의 정의와 이에 따른 전자책 표준 스키마를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정의된 조항들을 통하여 전자책 저작자들은 전자책표준의 목적과 명세에 보다 적합한 전자책 문서들을 제작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들은 적합성 검사 기법을 통한 자동화된 적합성 표준 스키마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적합성 검사가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the Protocol Conformance Testing of DSM-CC U-U Interfaces (DSM-CC U-U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적합성시험 연구)

  • 서칠성;김규형;강성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591-593
    • /
    • 1998
  • DSM-CC U-U(User-to-User)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응용들을 제공하기 위하야 요구되는 동작들을 정의한 개방형 프로토콜이다. 본 연구에서는 DSM-CC U-U 인터페이스를 시험하기 위한 적합성 시험방법을 제시하고, 선택된 적합성 시험구조를 위한 접합성 추상시험항목들(Abstract Test Cases)을 도출한다.

  • PDF

A Study on Document Retrieval of Web Using Relevance Feedback (적합성 피드백을 이용한 웹 문서검색에 관한 연구)

  • 김영천;이성주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5 no.3
    • /
    • pp.597-604
    • /
    • 2001
  • In conventional boolean retrieval systems, document ranking is not supported and similarity coefficients cannot be computed between queries and documents. The MMM, Paice and P-norm models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to support the ranking facility for boolean retrieval systems. They have common properties of interpreting boolean operators sof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oft evaluation method for Information retrieval using query splitting relevance feedback model. We also show through performance comparison that query splitting relevance feedback(QSRF) is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han MMM, Paice and P-norm.

  • PDF

Improving English-to-Korean Transliteration through Automatic Relevance Feedback (적합성 피드백을 이용한 자동 음차표기의 성능향상 기법)

  • 오종훈;최기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805-807
    • /
    • 2004
  • 음차표기란 외국어의 단어를 글자나 발음을 이용하여 자국어로 표기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동음차표기는 기계번역과 정보검색 등의 자연언어처리 응용에서 사용된다. 기계번역에서는 번역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고유명사나 전문용어를 번역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정보검색에서는 단어불일치 문제의 해결과 질의확장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영-한 자동 음차표기 연구들은 대부분 주어진 원어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음차표기를 생성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원어로부터 가능한 음차표기를 파악하는 연구에서도 해당 음차표기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지 않고 단순 리스트형태로 음차표기를 생성함으로써, 음차표기생성 결과에 대한 품질이 낮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어진 원어로부터 가능한 음차표기를 생성하고 이들에 대한 적합성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음차표기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기법은 약 72%의 단어 정확률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기법보다 최고 31%의 성능향상을 나타내었다.

  • PDF

1994년도 상반기 전기통신 단말기기의 인정 현황 -(재) 일본전기통신단말기기심사협회-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Journal
    • /
    • s.37
    • /
    • pp.125-129
    • /
    • 1995
  • (재)전기통신단말기기심사협회(JATE)는 전기통신사업법에 기초하여, 우정성 장관으로부터 지정받고 우정성법령에 정해 놓은 기술기준(단말설비등의 규칙) 및 제1종 전기통신사업자가 우정성 장관의 인가를 받아 정한 접속 기술적 조건과의 적합성 심사를 하여, 적합인정을 일원화하고 있다. 1994년도 상반기의 인정상황 개요를 소개한다.

  • PDF

Evaluation of Feedback Capabilities of Web Search Engines (웹 검색엔진의 피드백 기능 평가)

  • 우유미;정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69-72
    • /
    • 1998
  • 웹 검색엔진은 정확률 향상을 위해 기존 검색시스템의 다양한 기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그 중 Excite, Webcrawler, Magellan 등은 적합성 피드백 기능을 적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기능이 초기검색의 검색효율을 어느 정도 향상시켜 줄 수 있는지 실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적합성 피드백 기능 강화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 PDF

Relevance Feedback using Region-of-interest in Retrieval of Satellite Images (위성영상 검색에서 사용자 관심영역을 이용한 적합성 피드백)

  • Kim, Sung-Jin;Chung, Chin-Wan;Lee, Seok-Lyong;Kim, Deok-Hw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6 no.6
    • /
    • pp.434-445
    • /
    • 2009
  • Content-based image retrieval(CBIR) is the retrieval technique which uses the contents of images. However, in contrast to text data, multimedia data are ambiguous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ystem's low-level representation and human's high-level concept. So it doesn't always mean that near points in the vector space are similar to user. We call this the semantic-gap problem. Due to this problem, performance of image retrieval is not good. To solve this problem, the relevance feedback(RF) which uses user's feedback information is used. But existing RF doesn't consider user's region-of-interest(ROI), and therefore, irrelevant regions are used in computing new query points. Because the system doesn't know user's ROI, RF is proceeded in the image-level. We propose a new ROI RF method which guides a user to select ROI from relevant images for the retrieval of complex satellite image, and this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image retrieval by computing more accurate query points in this paper. Also we propose a pruning technique which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image retrieval by using images not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paper. Experiments show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ROI RF and the pruning technique.

Rutgers Information Retrieval Evaluation Project on IR Performance on Different Precision Levels (럿거스 정보검색 평가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 Lee, Hyuk-Jin;Belkin Nicholas J.;Krovitz B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3 no.2
    • /
    • pp.97-11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level of difference in precision would be significantly perceived by a human user of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Not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s to this issue in information retrieval field. Despite the non-significant results, there were several interesting findings in recognizing different levels of precision rates. The correctness of relevance task had little to do with the taken time for the task. In addition,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topic familiarity and rate of correct judgments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results in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subjects have more difficulty in a situation they have to judge between the two lists having more non-relevant documents than in a situation they do between the lists haying more relevant documents. Finally, the serious influence from the first top N documents in a list for relevance judgment task has been con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