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화전략계획

Search Result 13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행정전산망의 재해복구를 위한 비상계획 현황과 개선방안

  • 김기윤;김종기;김정덕;이경석
    • Review of KIISC
    • /
    • v.9 no.1
    • /
    • pp.87-100
    • /
    • 1999
  • 범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보화 사업은 행정 분야에서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재해복구를 위한 대체처리시설의 확보전략과 데이터의 백업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대민업무에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광역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전산망을 대상으로 각종 재해에 대비한 정보시스템 비상계획의 현황을 살펴보고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가정책 소개 - 초고속국가망 제2단계사업 계획 수립ㆍ추진

  • Lee, Gi-Ju
    • Digital Contents
    • /
    • no.10 s.53
    • /
    • pp.38-45
    • /
    • 1997
  • 정보통신부는 지난 '95년부터 추진중에 있는 초고속국가망 1단계 사업이 '97.12월말 완료될 예정임에 따라 '98~2002년까지를 사업기간으로 하는 '초고속국가망 2단계 사업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는 초고속정보통신분야의 정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정보화 분야의 정책수립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의 경영전략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n the Epistemology of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 - A Critical Review of the $5^{th}$ N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 Plan (2013-2017) - (국가정보화 정책 인식구조에 대한 고찰 - 박근혜 정부 제 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2013-2017) 중심으로 -)

  • Juhn, Sung Hyu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1 no.4
    • /
    • pp.393-407
    • /
    • 2014
  • The Government Informatization Policy Plan represents the government's technology policy vision and a set of ICT policy agenda and initiatives for the tenure of the government. The Policy Plan, however, normally produces an excess of disconcerted and superfluous ICT policy proposals from various policy units in the government. To cope with the superficiality of the ICT policy set in the Policy Plan, this paper proposes an analysis of the epistemology of the policy set. A policy is constructed as an argument and the structure of the policy argument is analysed using a model of argument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present informatization policy is driven by three epistemological motives -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performance of the ICT Technology. The various assumptions and premises that underlie and direct the generation of ICT policy arguments with different motives are idenfied and then are exposed to strong rebuttal arguments to evaluate their epistemological tenabilit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epistemological analysis are discussed in the end.

Methodology Design of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for Smart Campus (스마트 캠퍼스 구축을 위한 ISP 수행 방법론 설계)

  • Song, Ji-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75-276
    • /
    • 2012
  • 스마트 시대의 대학 정보화 일환으로 스마트 캠퍼스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구축을 보다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 전략 기획(ISP)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캠퍼스 구축을 위한 정보 전략 기획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을 환경 변화 분석, 현황 분석, To-Be 설계, 이행 계획 수립 등의 Flow 모형에 기반을 두고 설계하고자 한다.

  • PDF

소프트웨어공학 표준화 동향(SE기술워크삽: 산학연 연구개발사례 및 기술 소개 발표 요약문)

  • 김종표
    •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Society
    • /
    • v.13 no.3
    • /
    • pp.87-91
    • /
    • 2000
  • 정보화촉진기본법의 시행 이후로 정부기관에서는 정보화촉진기본계획에 의거, 작지만 효율적인 전자정부 구현과 대민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보화사업을 추진중에 있고, 2000년 7월 22일부터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이 시행되는 국내 환경에서 소프트웨어공학에 대한 연구 및 관련 기술의 개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SW공학의 개요 및 관련 기술의 간단한 소개와 국내의 SW공학의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미 국방부의 SW공학 관련 표준의 분류를 제시하며, 결론부분에서는 향후 표준화를 위한 추진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A Study on Analysis of Building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국내 과학기술정보자원 구축 현황 연구)

  • Kim, Sang-Kuk;Shin, Sung-Ho;Lee, Young-Sei;Kim, Tae-Jung;Lee,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421-1424
    • /
    • 2003
  • 국가 지식정보화는 선진국과 후진국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정도로 국가발전의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21세기 미래사회에서 세계 속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적극적으로 국가산업구조와 사회구조를 정보화 시대에 맞게 재편해야 한다. 우리나라도 21세기 정부혁신의 모델로 전자정부(Electronic Government)를 제시하고 부처별로 정보화정책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 발전의 핵심전략인 국가정보화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보화계획 등에서의 정책발표가 명확하고 체계화되어야 한다. 즉 정보화 정책기획과정이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분야 정보화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과학기술 정보화정책 연구에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Future-oriented National and Urban Planning through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국토이용정보체계를 통한 미래지향적 국토공간계획)

  • 김용범;임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81-90
    • /
    • 2004
  • 국토이용정보체계는 국가에서 구축한 DB와 응용시스템, 지자체 보유 DB와 응용시스템은 물론, 이들을 활용하기 위한 연계시스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토와 도시의 계획적 이용과 관리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과 관리의 대상이자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가능한 이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국토공간의 미래지향적 계획 방안에 대해 국토이용정보체계를 중심으로 연구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전략적 발전을 위한 공간계획의 이론, 핵심 기술 및 응용 시스템 개발측면에서의 향후 기술과 방법론의 발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전략적 로드맵이 필요하다. 이를 중심으로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국토이용정보체계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식정보화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토이용정보체계를 미래지향적 공간계획의 핵심이 되며,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개선시키되, 수혜자가 업무 담당자는 물론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ITROI Case O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해양수산부 IT투자성과관리체계 구축 사례)

  • Kang, Jea-Hwa;Lee, Mun-Gy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91-96
    • /
    • 2006
  • 최근 몇 년 사이 정부 내의 정보화 사업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 정부시절 약 2,400억 규모의 정보화 예산이 참여정부에서는 약 9500억으로 증가한 사실이 이를 반증하는 증거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화 사업에 대한 투자규모에 비하여, 막대한 예산을 들여 진행되는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성과관리는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현실이다. 오히려 성과관리라는 것이 사업의 추진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되기도 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의 부재는 장기적으로 조직의 전략목표와 정보서비스와의 GAP을 심화시켰고, 결과적으로 막대학 IT 투자 전체에 대한 회의감만을 대두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 2006년 IT최대의 화두인 IT거버넌스 개념 역시 IT와 비즈니스의 GAP을 줄여 IT 서비스가 조직의 목표와 전략을 올바르게 지원하도록 IT운영을 하자는 것이 핵심사상이다. 이러한 IT거버넌스 실현의 중심에 IT 투자성과관리체계가 있다. 해양수산부는 IT투자성과관리체계구축을 통하여 정보화사업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각 단계별 이력관리를 통해 매년 사업 담당자가 바뀌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사업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각 사업에 대한 평가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사업계획, 시행, 종료 단계에서 과학적인 정보화 사업의 투자성과평가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IT투자성과관리체계는 기 구축된 ITA, ITAMS, IT자산관리체계와 연동하여 해양수산부 IT거버넌스 실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역정보화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 박상훈;정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03a
    • /
    • pp.107-128
    • /
    • 1997
  • 21세기를 불과 몇 년 앞둔 우리 사회는 컴퓨터와 통신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사회로 급격히 이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보화의 물결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정보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2000년까지 국가사회 전반의 획기적인 정보화 촉진을 위하여 '정보화 촉진기본계획'을 수립하였는데 그 중에는 지역정보화를 통한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격차해소, 나아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도 포함되어 있다. 지역정보화에 대한 연구는 '80년대 말부터시작이 되어 '9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은데 지역정보화가 도입된 초기에는 해외 선진국의 지역정보화 현황을 주관심사로 하여 지역정보화의 정책 및 지역정보화의 성공사례를 국내에 소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그 이후 국내 지역정보화의 현황, 지역정보화의 방안·추진전략, 그리고 지역정보시스템 구축 등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내지역정보화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학술지, 세미나 및 학회, 그리고 연구과제 등으로 발표된 논문은 수집하여 연도별, 주제별, 그리고 연구 방법별로 분류하여 지역정보화의 연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동향 분석을 토대로 하여 장래의 연구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RFID 서비스 기반 USN 구축 정책 추진 방향

  • 서홍석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6
    • /
    • pp.13-21
    • /
    • 2004
  • RFID 기술은 물품 등 관리할 사물에 아주 작은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전파를 이용하여 사물의 정보(Identification) 및 주변 환경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사람 중심(anyone) 정보화에서 사물을 중심(anything)으로 정보화의 지평을 확대시킬 수 있는 신정보화의 출현을 의미하며 향후 IT 시장을 선도할 유망기술이다. 정보통신부는 RFID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화를 u-센서 네트워크(USN : Ubiquitous - Sensor Network)라는 개념으로 정립하였으며, RFID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u-센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여 국민소득 2만달러달성을 위한 IT 산업육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RFID/USN 구축을 위한 정책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정보통신부 장관을 포함하여 민.관 최고 의사결정권자가 참여하는 전략협의회가 구성되었으며 USN 구축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국가 차원의 RFID/USN 구축 실행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기술개발, 표준화, 정보보호, 산업 적용 및 시범 서비스 등의 정책을 실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