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통신산업

Search Result 12,26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 실태조사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86
    • /
    • pp.40-43
    • /
    • 1995
  • 우리협회는 조사전문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와 지난 '94년 10월 5일부터 10월 14일까지 16간 전국 4년제 대학 정보통신 관련학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에 정보통신관련 기술인력 현황과 인력의 수급전망을 수록한 보고서의 주요내용을 요약.발췌한다.

  • PDF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 실태조사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92
    • /
    • pp.26-29
    • /
    • 1995
  • 우리협회는 조사전문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와 지난 5월 3일부터 5월 15일까지 11일간 전국 4년제 대학 정보통신 관련학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 실태조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에 정보통신관련 기술 인력 현황과 인력의 수급전망을 수록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발췌하였다.

  • PDF

기술력으로 본 한국의 유망산업 전망

  •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Electronics
    • /
    • v.21 no.2
    • /
    • pp.67-76
    • /
    • 2001
  •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21세기에 뜨는 상품 뜨는 산업'이란 보고서를 통해 디지털가전, 반도체, 정보통신서비스, 통신기기, 바이오 등 5개 산업은 21세기 한국 최고의 유망산업으로 선정했다. 본고는 이중에서 디지털가전, 반도체, 정보통신서비스, 통신기기 등 4개 산업의 요약 정리한다.

  • PDF

정보통신안테나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76
    • /
    • pp.14-26
    • /
    • 1994
  • 체신부 정보통신부는 94년도 주요업무계획의 기조를 $\blacktriangle$UR타결에 따른 국제화 $\blacktriangle$개방화의 무한경쟁시대 대응 $\blacktriangle$국가.사회 및 경제활동의 효율화와 산업의 생산성 증대로 국가경쟁력 강화 $\blacktriangle$국가.사회 전반에 걸친 정보화 촉진 $\blacktriangle$정보통신기술개발 및 정보통신산업 육성을 위한 효과적 정책 수립 시행 등으로 설정했다.

  • PDF

'97년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총괄편)

  • Choe, Gyu-Won
    • 정보화사회
    • /
    • s.120
    • /
    • pp.48-60
    • /
    • 1997
  • 우리협회는 '97년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를 발간하였다. 이 통계연보는 통계청의 지정통계 승인하에 협회가 실태조사를 거쳐 정보통신부의 감수를 받아 발간하였다. 정보통신산업 전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이 통계자료는 정보통신관련 정책입안 및 기업의 경영전략에 실질적으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 PDF

Trends Analysis and Market Forcast on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Industry (국내외 정보통신기기 산업의 현황 및 전망분석)

  • Kim, P.R.;Kang, W.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3 s.37
    • /
    • pp.69-82
    • /
    • 1995
  • 본 고에서는 정보통신기기 산업을 중심으로 국내.외 시장동향 및 발전전망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도출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정보 통신기기 산업의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조명하는 한편, 우리나라 정보통신기기 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국면전환 확산모형을 통한 정보통신산업 발전과정의 특성 국제비교

  • Gu, Jae-Beom;Lee, Jeong-Dong;Jeong, Jong-Uk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268-28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OECD 주요 1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정보통신산업의 성장 추이를 각각 분석하고 국별 특성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정보통신산업이 경기순환 또는 단계별 발전 속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국가별 공통점과 특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론적으로 OECD 국가들의 정보통신산업 GDP 추이 및 성장률의 움직임을 국면전환 (regime change) 확산과정으로 묘사함으로써 각 국가별 정보통신산업 발전 양상의 특징 및 국면전환 시점 등을 포착해 내고자 하였다 추세를 갖는 대표적 확산과정인 GBM 모형과 평균회귀 성향을 갖는 대표적 확산과정인 Vasicek 모형에 각각 마코프 국면전환을 도입하여 국가별 정보통신산업 GDP 및 GDP 성장률의 추이에 있어 국면 전환 여부와 독특한 발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보통신산업 GDP의 성장률과 변동성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한국, 멕시코 등은 고성장, 고변동성을, 미국, 프랑스, 일본 등은 저성장, 저변동성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경우 유일하게 성장률과 변동성 모두 국면전환이 일어나는 국가로 나타났다. 장기평균 성장률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한국, 일본, 미국, 멕시코, 뉴질랜드는 고성장에서 저성장으로의 국면전환, 핀란드와 덴마크는 경기 순환적 국면전환, 노르웨이, 프랑스, 캐나다는 단일 국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한국의 경우 평균회귀 속도와 변동성이 타 국가에 비해 높은 특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산업을 미시적 분석이나 세부 항목별 정량적 분석을 통해서가 아니라 산업의 발전 속성 및 경기 순환 등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정보통신산업 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거시적 안목 하에 정립할 수 있게 한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경제변수를 묘사하는데 있어 국면전환 확산과정을 사용함으로써 향후 실물옵션 등을 통한 기술 및 무형자산의 가치평가에 있어 기초자산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히 포착해 낼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하였다는데 또 다른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 PDF

알아봅시다 - 정보통신용어사전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2 s.21
    • /
    • pp.139-142
    • /
    • 1995
  • 정보통신이 국가경제발전에 차지하는 선도적 역할과 기반산업이란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이 분야의 종사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더우기 정보통신산업의 개방화, 자유화 되어가는 추세에 따라 통신산업은 선진국과의 경쟁산업으로서 국가경제에 차지하는 비중 또한 점증되고 있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발간한 정보통신용어해설집을 토대로 하여 조금이나마 정보통신용어에 쉽게 접근하고자 본고에 게재하고자 하며, 우선 첫번째로 3회에 걸쳐 데이터베이스용어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Achievement and Prospect of the Domestic IT Industry (국내 정보통신산업의 성장요인과 향후 전망)

  • Lee, J.W.;Jung,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6 s.78
    • /
    • pp.67-76
    • /
    • 2002
  • 본 고에서는 정보통신산업의 성장 ·발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2002년부터 2006년까지의 정보통신산업 성장전망을 분석해 보았다. 지난 해 사상 처음으로 한자리수(3.5%) 성장에 그친 국내 정보통신산업이 2002년에는 6%대로 예상되는 GDP 성장률, 전년도의 극심한 침체에 따른 상대적인 회복세, 이동통신단말기/노트북 PC/액정모니터/DRAM 등의 성장세를 바탕으로, 생산규모가 전년대비 약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향후 2006년을 가정할 경우 연평균 20% 이상의 고성장세를 지속하기는 어려울 전망이지만, 연평균 18.7% 정도의 높은 성장을 지속하여 2006년에는 생산규모가 약 373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1) 향후의 정보통신산업의 전망을 예측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현재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적시에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하는 것은 국가적인 산업경쟁력 향상을 위해 매우 긴요한 일이 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