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웹 상에서의 데이터 교환 및 정보 전달은 물론 분산 환경 내에 산재한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통신 및 정보 시스템들 간의 상호 운용을 지원하는 CORBA 기반의 XML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최근 웹 상에서 정보교환을 통해 다양한 업무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려 함에 따라 분산 환경에서의 컴퍼넌트 기반과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들의 연동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연동 시 직접적인 호환성이 결여되어 별도의 프로토콜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XML을 사용하여 플랫폼 및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독려성과 확장성을 제공하고, 객체 직렬화를 통해 직렬화된 XML 문서를 CORBA의 IIOP를 이용해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교환 및 공유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XML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윈 상에서의 정보 교환 및 공유를 지원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정보 교류 환경을 제공하고, 이질적인 어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된 비즈니스 로직들 사이의 정보 처리에 있어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XML20RDB 저장기와 ORDB2XML 생성기를 구성 모듈로 설계하여 웹 상에서의 모든 정보를 공통 포맷인 XML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정보의 재사용성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유도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1998.10b
/
pp.389-391
/
1998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좀더 정확하게 요약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거의 모든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원시 데이터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시간 데이터에 대해 실제적인 지원을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간 변이 데이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간 변이 데이터의 지원이 가능한 시간지원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원시 데이터로 사용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시간지원질의 처리 계층을 결합하는 방법을 보이고, 시간지원 데이터의 간격 시간에 대한 요약화 방법으로 시간지원 집계 트리 전략을 소개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2002.06a
/
pp.229-238
/
2002
본 연구는 기존의 대면학습체계에서 가상교육체제로 변화되고 있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점진적으로 교육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안으로써 인터넷을 기반 대면학습 지원 시스템 제안 한다. 가상교육체제는 고도의 정보 인프라와 학습자 및 교수자 모두에게 일정수준 이상의 정보기술이 요구되고, 실험실습, 실기교육 등과 같은 참여교육에 제한이 따르며, 교육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수반되는 비정형적 교수-학습 활동들을 수용하는데 교육컨텐츠 및 운영 시스템에 대한 정교한 설계 및 준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교육체제의 문제점과 기존 면대면 학습체제의 보완을 위한 방안으로써 교육체제에서 수반되는 비정형적 교수-학습 활동 요소들을 정보시스템에서 운영이 가능한 정형화 프로그린 및 프로세스로 전환하여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면학습 지원시스템은 교수 및 학습 활동에 요구되는 전반적인 자료들을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에서 체계적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도록 모듈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정보전략의 정의 ∋ James Martin 정보기술과 정보기술 방향, 개선 기업모형을 반영하여 정보시스템과 기술환경, 정보관리 분야의 전략 ∋ ITnet Consulting 조직의 경영계획과 경영목표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정보시스템의 비전을 개발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 전략 ∋ 기업정보화지원센터 기업의 전략적 방향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보기술 추세 및 경쟁사의 정보기술 활용 현황과 내부의 역량에 따라 기업의 정보기술의 구조, 조직, 운영체계, 활용방안 등을 정의한 전략적 계획(중략)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provided by customers through chatbot service affects the satisfaction of chatbot service felt by customers and whether the satisfaction of chatbot service affects loyalty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chatbot service. In order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of chatbot service, a total of 300 effective data were obtain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divided into a group that recognizes social presence highly and a group that recognizes lo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th from emotional support to satisfaction of chatbot service was supported in the group that recognized social presence highly, and the path from emotional support to satisfaction of chatbot service was not supported in the group that recognized social presence low, and the difference was confirmed in the hypothesis path coefficient. This is interpreted as the social presence affecting human emotional response.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nction of social presence of chatbot service in that it applied information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hich are two factors of social support, to chatbot service, and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loyalty, and continuous us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ocial presence of chatbot users.
미국과 싱가포르는 모두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기업 경영환경을 제공하는 국가이다. 그러나 미국이 자유방임형이라고 한다면 싱가포르는 철저하게 계획형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싱가포르의 전자무역 지원정책의 사례를 분석하고, 상호비교를 통해 우리 나라 전자무역 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시사점은 전자무역의 활성화가 기본적으로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역할은 주도적인 입장이 아닌 철저한 지원자의 입장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정부가 거래알선 및 e마켓플레이스 등 전자무역의 핵심적인 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보다는 관련된 민간기업을 육성하고, 기업들의 전자무역 수행능력을 제고시키며, 기업의 전자무역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무역 인프라의 확충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점이다. 향후 전자무역 촉진을 위한 주요 정책의 방향으로 전자무역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제고 할 수 있는 홍보활동 강화, 전자상거래 지원기관과 전통적인 무역지원기관들의 연계 및 산학연계 활동의 촉진을 통해서 중소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전자무역의 지원, 전자무역 관련 전문인력의 체계적인 양성, 무역 관련 공공정보시스템의 개선 등이 제시될 수 있다.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2003.11a
/
pp.400-403
/
2003
현재의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효율적인 자원관리와 정보유통을 위해 그룹웨어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대부분의 그룹웨어 시스템에서는 전자결제, 정보공유, 문서관리의 기업일반적 또는 보편적 업무에 안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각 기업에 맞는 전문적 업무지원을 위해서는 다른 추가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며, 시스템 도입에 따른 비용이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업 관련 T컨설팅업체의 그룹웨어에 선박정보관리의 전문적 업무 지원이 가능하도록 설계, 구현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추가 시스템 도입에 따른 비용발생과 자원낭비를 줄이고 기존 그룹웨어 시스템에 업무지원까지 가능하도록 통합한 형태의 시스템이다.
Recently, to overcome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and stimulate the sluggish economy, Korea government has adopted various policies designed to strengthen the innovative capabilities of its small or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With our focus on ICT technology compani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both the potentials and the limitations of the R&D information support programs which are part of these governmental efforts. Our goal is to generate insights and help develop policies based on evidence. In this study, we used statistics from 2014 on small or medium business technologies to analyze the effect that the government's R&D information support policy has had on the technological or economic performance of small or medium businesses.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R&D support programs (assistance with R&D planning and provision of technological information) made available to small or medium businesses did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technological investment. By contrast, R&D information supporting programs were found to have no direct, significant correlation to technological or economic performance. One exception was that programs that gained the benefits of R&D planning support did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technological performance in the case of companies engaged in ICT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various insights for policymakers designing policies to support technologically-driven small or medium businesses, including ICT-based companies.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be a particularly helpful guide to policy development for corporations or researchers that provide supportive information to small or medium businesses.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2015.11a
/
pp.847-866
/
2015
As Korea strive to bolster their respective economies and to minimize the repercussion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policies for strengthening the innovative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means for pursuing these governmental efforts. In this study,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D information support policy are researched empirically and implications are provided to enable evidence based policy. Futhermore, the effects of government R&D information support policy on the technologic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analyzed by using survey results of SMEs technology statistics in 2014. According to the results, R&D information support program (SME R&D planning support program and technology information support program) provided to SMEs was significant for R&D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to technological and economic outcomes of SME. The program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SMEs' technological outcomes in the case of the specific groups of ICT technology category. I anticipat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guide to various policy-related issues for policymakers who are conceptualizing programs to support ICT technology-oriented SMEs, and I particularly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various insights for companies and researchers in their efforts to build R&D information support program for SMEs.
This study is about the establishment of an information support system which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activating national nanotechnology R&D activities and industrialization. Nanotechnology information support system for collecting, processing, analyzing, disseminating and utilizing informations has been established in cooperation with local and foreign academia,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es. The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cooperative network with academia and industries is aimed to suggest guideline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direction of R&D activities and industrializatio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