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분석 플랫폼

Search Result 1,97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자율운항선박 플랫폼 개발을 위한 항해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

  • An, Yeong-Jung;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2-233
    • /
    • 2019
  • 자율운항선박 개발은 해운분야의 새로운 발전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선박과 육상 간 통신기술 기반의 정보 연결성(connectivity)은 자율운항선박의 실현에 있어 중요한 연구 분야이며, 단위기능 제공에 한정되어 있는 항해 장비 간 통신까지 포함된다. 그러나 수집되는 항해정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선내 플랫폼(Platform)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항해장비의 연결성을 향상시키고, 원격운항과 자율운항 선박에 적용될 수 있는 항해정보관리 플랫폼의 기능 및 구조설계와 정보처리에 대한 프로세스 제안을 위한 선행연구로 항해 장비들의 취득정보를 분석하였으며, 응용서비스 및 보안관리에 필요한 정보사항과 기능을 정의하였다. 항해정보관리에 한정 하여 수집되는 정보들에 대해 분석하였으나, 선내 플랫폼 개발의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acro Model in the Housing Market with Integrated Information Platform (주택시장의 통합정보 플랫폼과 연계한 거시 모형 적용성 방안 연구)

  • Jung, Hoi-Min;Lee, Sang-Hun;Moon, S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17-18
    • /
    • 2019
  • 오픈플랫폼 기반 주택시장 분석 플랫폼은 Linux(CentOS) 서버를 운영체제로 주택 분야 빅데이터 수집/가공/분석/예측을 위하여 Hadoop 기반으로 구축한 플랫폼이다. 오픈소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고, 미시/거시 모델을 적용하여 그 예측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식으로 분석하던 Windows 기반의 E-Views 거시 분석 모형을 오픈소스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와 연계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omparative Analysis of Open Source Cloud Computing Platforms (오픈 소스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비교 분석)

  • Jung, In-Hye;Lee, Se-Ho;Eom, Yo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382-384
    • /
    • 2012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함께 많은 기업들이 관련 기술 연구를 통해 여러 플랫폼들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발전에 도움이 되지만, 통합되지 않은 다수의 플랫폼으로 인한 문제점도 존재한다. 왜냐하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용자의 경우, 플랫폼 선택시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장 많은 업체들이 제공하고 있는 오픈소스 기반의 플랫폼인 OpenStack, Eucalyptus, CloudStack, OpenNebula를 비교 및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각 플랫폼은 지원 가상화 기술, 스케줄링 기법, 배치 기법, 호환성 등 여러 가지 특성들 차이로 인한 장단점이 존재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은 플랫폼들의 특성을 파악해 상황에 맞는 플랫폼을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A Study of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ies (도시시설물 관리 지능화를 위한 도시공간정보플랫폼 구성에 관한 연구)

  • Na, Joon-Yeop;Kim, T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97-298
    • /
    • 2009
  • 지능화된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상하수도, 가스, 난방 등 지하시설물 및 교량, 도로 등 지상시설물에 대한 관리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상호운영성의 기반위에서 통합 운영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이 필요하다.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은 도시내 다양한 센서 단말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도시관리 및 정보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플랫폼을 구성하는 세부기능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도시공간정보 플랫폼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Platform Architecture for Game NPC Intelligence Development (게임 NPC 지능 개발 플랫폼 구조 비교 및 분석)

  • 임차섭;엄상원;김태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58-660
    • /
    • 2004
  • 최근 컴퓨터 게임에 있어 인공지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게임에서 인공지능 구현을 지원하는 게임 NPC 지능 개발 플랫폼에 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에서 NPC의 지능을 개발하는 측면에서 게임 NPC 지능 개발 플랫폼 설계 시에 요구되는 사항들을 알아보고, 실제게임 NPC 지능 개발 플랫폼들-FEAR SOAR, Gamebots-의 구조를 비교, 분석한다 또한 기존 게임 NPC 지능 개발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n analysis on in-output element for converting to mobile platform (모바일 플랫폼으로 전환할 때의 입출력 요소 분석)

  • Yoo, Hyun-Seong;Rhee, D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25-1028
    • /
    • 2008
  • 모바일 하드웨어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기존 게임 플랫폼의 게임을 모바일 플랫폼의 게임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면서 모바일 게임의 장르가 다변화되고 있다. 기존 게임 플랫폼의 게임은 각기 제작된 플랫폼의 입출력 특징에 맞게 제작되었다. 그러한 게임을 모바일 플랫폼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플랫폼의 입출력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게임 플랫폼과 모바일 플랫폼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요소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플랫폼의 게임을 모바일 플랫폼의 콘텐츠로 전환할 때 고려해야 할 입출력 인터페이스 고려 요소를 제안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 Kim, MoonGie;Yoon, DongHyeon;Koh, JuneH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2
    • /
    • pp.59-68
    • /
    • 2015
  • According to the 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 conducted since 1995,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s been accumulating huge amount of geospatial data.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tarted its GeoSpatial open platform (V-World) service in January 2012, also offering a wide range of functions and services. However, the National GeoSpatial open platform is still woefully deficient for the users to find their desired data, lack of data for private business area, insufficient in publicity of local government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Through analyzing current research trend after GeoSpatial open platform served for three years, study on overseas expansion, system links, service improvement, utilization and future strategy has been mainly conducted. This study, by analyzing the advanced overseas GeoSpatial platform as well as domestic research trend and combining the concept of new technology, business platform and SM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GeoSpatial platform, proposes a policy for the construction of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model.

Standardization Trends on Wireless Internet Platform (무선인터넷 플랫폼 표준화 동향)

  • 이준섭;민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05a
    • /
    • pp.377-379
    • /
    • 2002
  • 현재 국내의 모바일 플랫폼 기술은 세계 최고이지만, 3개의 이동통신 사업자를 중심으로 다수 플랫폼이 경합을 벌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컨텐츠 개발자들은 하나의 컨텐트를 다수의 플랫폼용으로 개발해야 하는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컨텐츠 프로바이더와 이동통신 3사의 요구에 의해 새로운 표준 플랫폼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의 개념 및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 무선 인터넷 표준화 포럼에서 진행 중인 모바일 플랫폼 표준화 현황을 살펴본다.

  • PDF

Design of Open Healthcare Platform Utilizing Health Information of Telemetry Equipment (원격 측정 장비의 건강 정보를 활용한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 설계)

  • Shim, Jae-Sung;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1078-1079
    • /
    • 2015
  • 최근 기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들은 개별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장비 간 상호연동 서비스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 플랫폼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헬스케어 관련 서비스와 콘텐츠 $3^{rd}$ Party 사업자 및 소비자를 위한 원격 측정 장비의 건강 정보를 활용한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내륙운송 효율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 모델 구축

  • 황제호;조동현;김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3-125
    • /
    • 2023
  •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에 따라 해운 항만 산업 분야 또한 정보적 측면에서 빅 데이터에 대한 업종별 통합과 공유를 통해 연계 산업 간 산업활동 효율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현재 물류 분야에 다양한 플랫폼들이 도입되고 있지만 대부분 화물운송업 또는 창고 중개업 분야에 편중되어 있다. 항만산업의 경우 코로나 펜데믹 이후 발생한 컨테이너 반입 제한 및 장치율 증가 등에 따라 운송사와 컨테이너터미널 간 갈등이 지속적으로 유발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플랫폼을 활용한 컨테이너터미널과 운송사 간 플랫폼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상호 기업 간 연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산업 관계자인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운송사, 포워더 업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기반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EFA를 통해 추출된 14가지 요인으로 IPA 분석을 수행한 결과 1사분면(사용 용이성, 보안성, 정보 정확성, 정보 적시성, 차량 반출/반입정보, 공컨테이너 반입/반출 정보, 풀컨테이너 반입/반출정보)으로 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수행되어야 하며 2사분면(APP 시스템 품질)에 대한 고려가 종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이 도출되었다. 또한, 플랫폼 개발의 주체와 이용자의 참여 유도가 필요하며 상호 이해관계자 간 효율적인 연계와 효율화를 위한 인식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향후 컨테이너터미널과 내륙운송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