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봉사 이론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6초

정보봉사의 속성과 철학적 기반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Information Services and its Attributes)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1-80
    • /
    • 2010
  • 이 논문은 정보봉사의 개념과 속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정보봉사의 철학적 기반을 세우는데 목적을 두었다. 정보봉사의 개념과 속성은 용어의 어원과 정의 및 내용, 역사적, 사회적 관점에서 그 근거를 밝혔다. 이를 통해 정보봉사라는 용어가 정보봉사의 본질과 속성 그리고 활동내용에 가장 적합한 명칭임을 논리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정보봉사의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정보봉사의 철학은 용어의 어원, 정의, 기능, 그리고 역사적, 사회적 관점 등에서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정신인 교육, 정보, 상담 지도라는 세 요소와 봉사라는 인본주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그 기초를 세우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 PDF

한국 문헌정보학에서 참고봉사와 정보봉사의 의미 (Reference Ser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s LIS Field)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9-323
    • /
    • 2007
  • 이 글은 '정보봉사'라는 용어의 사용을 사례로 하여 우리 문헌정보학계의 전문용어 사용과 관련된 개념적 모호성과 허구성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 학계가 참고봉사를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정보봉사'의 역사를 추적하면서, 우리의 정보봉사가 사용 당위성의 근거로 삼고 있는 미국의 'information services'와 실질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각자의 역사와 이론적 기반을 비교하면서 분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현재 우리 강단에서는 정보봉사라는 용어가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으며 지적 토대가 되는 이론적 영역을 무엇이라고 판단하고 있는지, 더불어 우리 도서관에서는 정보봉사를 어떠한 의미로 이해하면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보봉사'라는 용어의 사용이 단순한 외양의 모방이 아닌 속내의 변혁을 동반하는 실질적인 패러다임의 변환으로 이어지도록 우리 학계의 노력을 촉구하는데 있다.

  • PDF

국내 참고봉사 연구의 통시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Trends of the Research for Reference Sevice in Korea)

  • 배순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1-125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도서관봉사에 관련된 연구가 연구의 시작기부터 세기가 바뀌기 전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경향으로 변천되어 왔는가를 알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관련 주제서지를 분석한 결과 국내의 참고봉사 연구는 1950년대를 시작기로하여 1970년대의 전환기, 1980년대의 발전기, 1990년대의 전문기로 각각 발전되어 왔으며 국내외 모두 봉사이론에 집중된 연구경향임을 알았다. 그리고 주제에 있어서는 국내외 간에 다소의 차이를 가지며 특히 국내의 연구주제에서는 도서관교육과 봉사경영을 상위 수준으로 취급하였음을 알았다.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연구: 광진구립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A Case of Kwangjin Public Library)

  • 조찬식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1호
    • /
    • pp.173-197
    • /
    • 2011
  • 공공도서관 자원봉사가 점점 확대되고 그 중요성이 커지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자원봉사의 운영 및 관리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광진구립도서관의 사례를 자원봉사 기획부문, 자원봉사자 관리부문, 자원봉사 행정부문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를 이론적 바탕으로 광진구립도서관의 해당 사례들을 심층 조사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자원봉사에 관한 의미를 찾아보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과 관리는 공공도서관의 업무수행과 운영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운영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 조찬식;조미아;오지은;오수진;김원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01-226
    • /
    • 2009
  • 사회가 발전하면서 자원봉사는 보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도 양적, 질적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과 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과 관리 실태를 기획부문, 자원봉사자 관리부문, 행정부문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활성화 방안과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함에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정보 환경에서의 기업체 정보봉사 (Industrial Information Servicrs in the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 김용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9
    • /
    • 2000
  • 이 연구는 디지털 정보환경에서의 기업체 정보서비스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기업체 정보서비스의 이론과 실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 국내에서 수행된 기업체 정보서비스에 관한 문헌을 조사 분석하고, 기업체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식관리시스템을 고찰한다.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테크놀러지의 이용이 많아지고 있는 정보환경에서 산업기술정보원, 산업지원기관들의 기업체에 대한 정보서비스 방식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메일링리스트에 올라온 개별 기업체의 정보요구를 조사하고 기업체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향을 제시한다.

  • PDF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표준매뉴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Manual for Volunteer Activity of Public Libraries)

  • 조찬식;오지은;조미아;오수진;이정효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1호
    • /
    • pp.23-42
    • /
    • 2010
  • 공공도서관 자원봉사가 활성화되고 효과적인 운영과 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공도서관 자원 봉사에 관한 표준매뉴얼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에 대한 개념 및 운영체계 그리고 표준매뉴얼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문헌조사를 통한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를 기획부문, 자원봉사자 관리부문, 행정부문 등 3개 부문, 12개 영역, 6개 세부내용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표준매뉴얼을 개발함으로써 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 및 관리에 일조함에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참고봉사의 이용 활성화 방안 (Digital Reference Service : Directions for Promotion)

  • 장혜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15-228
    • /
    • 2004
  • 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논의와 실제적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는, 우리나라의 디지털참고봉사 이용 증진을 위하여, 잠재이용자의 식별, 서비스 주지를 위한 홍보, 사용성 제고를 위한 사이트 개선,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평가 등에 관하여, 선행 연구와 외국의 성공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실행가능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참고봉사의 기획과 개발 및 활성화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 PDF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박희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75-18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봄으로써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정립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성과 수준은 전체적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공공봉사동기의 요소인 정책입안에 대한 호감도, 공익몰입, 동정심, 자기희생의 요소는 모두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목적인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