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방향성

Search Result 4,75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xemplar-based image inpainting method using directional information of pixel gradients (픽셀 그레디언트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한 예제기반 이미지 인페인팅 방법)

  • Lee, Hyunhyung;Chung, Byungjin;Yim,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848-85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픽셀 그레디언트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예제기반 인페인팅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영상 내에서 픽셀 그레디언트의 방향성을 검출하여 강도가 높은 그레디언트를 가지는 픽셀들을 먼저 복원하는 특징을 가진다. 지역적인 그래디언트의 특성을 이용하여 복원 영역의 연결성을 높이고 에러의 파급 효과를 줄임으로써, 기존의 예제기반 인페인팅 방법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여준다.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using Color and Edge (칼라와 에지 정보를 이용한 영상 검색)

  • 심성오;최태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2.06d
    • /
    • pp.223-226
    • /
    • 2002
  • 영상 검색을 위한 기존의 칼라 히스토그램 방법은 영상의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로컬 형상 정보인 에지 정보에 칼라 정보를 접목시켰다. 각각의 세 종류의 에지(수평 에지, 수직 에지, 비 방향성 에지) 주위의 픽셀들에 대한 칼라 분포를 구한 후 그 각각의 칼라 분포를 기초로 구한 두 영상간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들간의 유사도를 구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유사도는 한 종류의 에지 타입 (비 방향성 에지)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매칭 오류를 줄일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칼라 히스토그램과 에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Edge Detection Algorithm using Modified Directional Masks (변형된 방향성 마스크를 이용한 에지검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Lee, Chang-Young;Kim, Nam-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244-246
    • /
    • 2014
  • Edge detection is a technique that obtains the particular information of the image using the brightness variation of pixel values and utilized for preprocessing in various image processing sectors. The conventional edge detection methods such as Sobel, Prewitt and Roberts are processed by applying the same weighted value to the entire pixels regardless of pixel distribution and provides somewhat insufficient edge detection results. Therefore, this paper has proposed an edge detection algorithm considering the direction and size of pixels by applying a modified directional mask.

  • PDF

A Study on Detection of Carcinoma Cell of Uterine Cervical Using Marker Information and Directional Information (마커 정보와 방향성 정보를 이용한 자궁 경부진 암종세포 추출에 관한 연구)

  • Lee, Dong-gyu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364-368
    • /
    • 2009
  • 자궁경부암은 다른 암과 달리 전암(前癌) 단계가 존재하므로 조기에 발견할 경우 생존율이 높다. 그러나 검체 적정성의 부족과 검체 체취의 오류로 인해 질병이 있음에도 음성으로 나타나는 위음성률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포 도말검사에서 사용되는 자궁 경부진 세포에서 암종 세포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배경 그리고 핵과 세포질 영역의 구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조기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에서 핵의 추출은 Lighting Compensation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정하고, 명암도 분포가 가장 작은 B 채널과 명암도 분포가 높은 R채널과의 OR 연산을 적용한 후, $3{\times}3$마스크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영상을 이진화하고 Grassfi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종 세포의 후보 객체를 추출한다. 추출된 세포 객체에서 핵의 크기, 핵의 면적과 핵의 외곽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백혈구와 잡음으로 구성된 객체를 제거한다. 세포 도말검사 과정에서 겹쳐진 부분은 거리 함수와 명암도를 이용하여 마커를 추출하고 추출된 마커 정보와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겹쳐진 암종 세포를 분리한다. 자궁경부 편평 세포진 400 배율 영상과 자궁 경부 상피내 종양 400 배율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자궁 경부진 암종 세포 추출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암종 세포 영역이 추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Korean BaseNP Identification Model using Forward and Backward Processing Characteristics (방향성을 이용한 한국어 비재귀 명사구 인식 모델)

  • Lee, Sheen-Mok;Kang, In-Ho;Kim, Gil-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439-444
    • /
    • 2001
  • 비재귀 명사구(baseNP)는 단순한 단어 패턴과 품사 패턴에 의하여 쉽게 인식되므로, 자연어처리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한다. 교착어의 지배 성분 후위 원칙에 의하여 한국어 비재귀 명사구 인식은 보다 많은 광역 정보를 필요로 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광역 정보의 활용이 쉬운 상태 기반 모델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상태 기반의 한국어 비재귀 명사구 인식에서 방향성을 고려한다. 교착어의 특성상 한국어 비재귀 명사구는 처음 위치가 끝 위치에 비하여 인식이 어려운 특징을 가지므로 방향성을 고려하여 오른쪽 우선의 방범을 활용한 경우, 모델의 특성 및 성능이 변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왼쪽 우선 방법과 새로이 제안하는 오른쪽 우선 방법을 각각 적용하고, 양 방법을 통합하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통합 결과 92.55%의 정확률과 90.90%의 재현률을 얻었다.

  • PDF

High Directivity Microstrip Directional Coupler using Interdigital Capacitors (인터디지털 커패시터를 이용한 높은 지향성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방향성 결합기)

  • Dae-Hyun Ha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7 no.1
    • /
    • pp.10-16
    • /
    • 2024
  • Microstrip directional couplers using microstrip lines do not have goo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because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ubstrate is different from that of air. To solve this problem, a compensation capacitor is sometimes attached between the coupling lines to improve directivity. This paper proposes a directional coupler with high directivity using interdigital capacitors implemented with transmission lines instead of lumped capacitors. The directional coupler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showed a coupling factor of 20 dB and a directivity of higher than 30 dB at 2.14 GHz. This directional coupler can be used as two directional couplers because it has two coupling ports and two isolated ports.

Sign-Language Recognition using the Information of Hand Shape and Moving Direction (손의형상과 움직임 방향 정보를 이용한 수화인식)

  • Song, Hyo-Seop;Jang, Se-Jin;Sin, Byeong-Ju;Yang, Yun-Mo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6
    • /
    • pp.804-810
    • /
    • 1999
  • 본 논문은 최근 연구가 고조되고 있는 지적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로서, 장애인 복지와 공학적인 일반성을 고려하여 수화를 인식하였다. 장애인의 수화를 인식한다는 입장에서 심리적 부담을주지 않고 최소한의 제한조건만을 설정하여 수화의 흑백동영상을 입력으로 하였다. 수화인식에서 손의 형상과 움직임 방향정보가 제일 중요함을 감안하여 각각 그 정보를 추출하고 인식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그 유효성을 보였다. 즉 형상정보의 추출 및 인식에 대해서는 형상정보만이 중요한 수화 지문자 자음 14자를 대상으로 하여 인식하는 과저을 보였다. 또한 손의 움직임 정보에 대해서는 움직임 방향마이 중요한 정보가되는 간단한 수화 단어 9개를 대상으로 인식하여 그 과정과 방법을 보였다.

한국통신 통신망 구축방향

  • 최상일;이상일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3 no.1
    • /
    • pp.48-63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종합통신사업자로서의 한국통신이 구축 운용하고 있는 통신망의 현황과, 근래 들어 통신망의 대형장애 등 통신망의 안전 신뢰성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신뢰성 향상을 위한 한국통신의 통신망 구축방향에 관하여 기술 하였으며, 또한 본격적인 정보화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모형도 함께 기술하였다.

  • PDF

모바일 혁명시대의 공인인증서 이용 현황 및 정책 방향

  • Kang, Pil-Yong
    • Review of KIISC
    • /
    • v.21 no.1
    • /
    • pp.51-56
    • /
    • 2011
  • '손안의 PC'로 비유되는 스마트폰의 등장 및 폭발적인 보급과 함께 온라인 정보서비스 패러다임이 모바일 환경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은 시간 및 공간의 제약없이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취약한 보안 환경으로 인한 정보보호에 대한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사이버 인감증명서로 비유되는 공인인증서는 여전히 보편적인 신뢰수단으로 그 위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본 고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인인증서비스 현황 몇 안전성 신뢰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을 소개한다.

Direction Finding Method of the Uniform Circular Array Antenna Using the Pattern of Phase Differences (원형배열 안테나의 위상차 패턴을 이용한 방향탐지 기법)

  • Lim, Joong-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
    • /
    • pp.1-6
    • /
    • 2019
  •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 direction finding method of the radio signal by comparing the phase difference and its pattern from the uniform circular array antenna. In the phase comparison direction finding, if the length of the antenna baseline is longer than 0.5 wavelength of the incident signal, azimuth ambiguity occurs in which two or more azimuth angles are calculated in the same phase difference. The azimuthal ambiguity is removed by fusing the phase difference of the 5 antennas. The developed ambiguity elimination technology reduces the azimuth error where the antenna baseline is shorter than 1.236 wavelength in the uniform circular array with five antennas. This algorithm is very useful for the design of direction finder of an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