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기술 아웃소싱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Effect of Corporate Strategy and IT Role on the Intent for IT Outsourcing Decision (조직의 전략과 정보기술 역할이 아웃소싱 의도결정에 미치는 영향)

  • Cho, Do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2
    • /
    • pp.182-194
    • /
    • 2008
  • Corporate managers look at IT outsourcing as long-term strategic choices not as short-term tactical ones, and maximizing the effect that IT outsourcing brings about is the main concern to them. Emerging different types of IT outsourcing and their effects on the corporate business decisions necessitate the research on this subject.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the Intent for IT outsourcing is categorized as IS Improvement, Business Impact, and Commercial Exploitation. The decison factors for these IT outsourcing include corporate strategy types, IT role, and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Firm size and IT maturity are selected as moderating factors to add the credibility to the research of the effect of IT outsourcing decision making. Analyzing collected data revealed that corporate strategy rather than IT role is more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intent for IT outsourcing decision. Defenders(as in corporate strategy types) tend to use IT outsourcing more as a means to improve information systems, compared to analyzers and reactors. Prospectors tend to use IT outsourcing more as a commercial exploitation, compared to analyzers and reactors. These outcomes prove that corporate strategy characteristics reflect outsourcing intent. There were previous researches that showed outsourcing decision depends on IT role, however the hypothesis was rejected that IT role determines outsourcing intent. It was also rejec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corporate strategy types and IT role determines outsourcing intent. Corporate decision makers should first analyze corporate strategy, and reflect it on the outsourcing intent when they make IT outsourcing decisions. Only the precise defining of IT outsourcing intent will lower the risk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ucces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Risk Factors;A Model for Contractors (수주자 중심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위험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Yang, Kyung-Sik;Kim, Hyu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106-113
    • /
    • 2002
  • 아웃소싱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국내 아웃소싱 시장은 대규모의 계약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아웃소싱의 위험요인이 아웃소싱의 활성화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웃소싱 수준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즉, 전략적 효과, 경제적 효과, 기술적 효과와 같은 이익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아웃소싱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는 사례가 거의 없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또한 아웃소싱 위험요소의 경우 대체로 발주자 입장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실제 수주하고 있는 수주자의 입장에서 위험요소를 분석한 연구는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아웃소싱 위험요소와 국내 정보기술 아웃소싱 상황에 맞는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이들 위험요소가 유발되는 정도가 정보기술 아웃소싱 성과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아웃소싱 관리메커니즘의 결정요인과 아웃소싱 성과와의 관계;통합적 관점

  • Lee, Jong-Man;Nam, Gi-Chan;Kim, Yong-Ji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61-366
    • /
    • 2007
  •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이후 아웃소싱으로 기술)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기업에서는 아웃소싱을 통하여 많은 편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아웃소싱에 대한 기존 연구는 아웃소싱의 관리형태를 계약으로 대표되는 공식적인 관리와 신뢰로 대표되는 비공식적인 관리로 분류하고 이것이 아웃소싱 현장에서 어떤 성과를 가져오는가를 평가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 아웃소싱 결과에 만족하는 기업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첫째, 통합적 관점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아웃소싱 관리메커니즘 전개가 어떤 요인의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고, 둘째, 이렇게 전개된 아웃소싱 관리메커니즘의 정도가 아웃소싱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아웃소싱 관리메커니즘과 아웃소싱 성과의 관계에 있어 관계관리강도의 매개역할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계약준비능력, 관계관리능력 등의 두 요인이 아웃소싱 관리메커니즘에 양(+)의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아웃소싱 관리메커니즘과 아웃소싱 성과 둘 간의 관계를 관계관리강도가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출 결과를 중심으로 아웃소싱 관리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PDF

효과적인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을 위한 개념적 모형에 관한 연구

  • 사공혜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7.2-25
    • /
    • 2000
  • 국내에서 아웃소싱은 선진국들과 다르게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웃소싱을 하는 기업들 중에는 서비스 인력을 충분히 내부화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관리상의 편의를 위해 아웃소싱을 하는 기업들도 적지 않다. 그리고 실제 기업에서 아웃소싱을 할 경우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정리해서 아웃소싱의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인 기술적 위험과 통제적 위험, 비용적 위험과 업무 유연성, 신뢰성, 시스템 확장성, 우수한 정보기술, 전문화된 인력으로 분류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향후 실증연구 분석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아웃소싱 위험과 전략적 인식이 IT아웃소싱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문용은;박유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271-277
    • /
    • 2000
  • 기업의 경영전략 달성을 위해 급속도로 변화하는 기업 환경과 정보기술에 발맞추어 적절한 시기에 정보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업들은 최근 아웃소싱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 기업들의 아웃소싱 정도는 그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기업에서의 아웃소싱 정도가 기대치에 미치는 못하는 이유를 아웃소싱의 위험으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보고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아웃소싱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도출한다. 또한 아웃소싱의 전략적 인식도와 아웃소싱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아웃소싱의 전략적 인식도가 아웃소싱의 위험과 정도에 대하여 매개자로서 작용하는지 검증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의 전략적 수단으로서 아웃소싱의 활성화를 위한 적절한 전략 모색과 아웃소싱 실행을 위한 신뢰성 있는 환경 수립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 PDF

A Study of Success Factors for Information System Outsourcing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Cho, Yong-Kil;Chung, In-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131-137
    • /
    • 2008
  • 최근 기업들은 기술적, 경제적, 전략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정보시스템 개발에 있어 아웃소싱을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아웃소싱을 위하여 아웃소싱은 적절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에서 서비스사와 고객사의 자원과 능력의 차이가 파트너십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최종적으로 아웃소싱의 성공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통하여 고객사의 재무능력이 서비스사의 재무능력보다 높을 때 그리고 서비스사의 IT 자원이 고객사의 IT 자원보다 우수할 때 파트너십의 질이 좋아 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파트너십의 질은 아웃소싱의 성공에 영향을 주며 특히 신뢰도가 아웃소싱의 성공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IT Outsourcing Model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중소기업을 위한 정보시스템 아웃소싱모형 연구)

  • 정선필;김도형;김영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613-618
    • /
    • 2003
  • 많은 중소기업들은 정보시스템 적용과 운용에 있어서 정보기술의 전략적, 운영적 차원의 사용보다는 당면한 기업조직의 현문제와 기존의 시스템의 적절한 유지와 보수문제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더욱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은 기업의 전략적 무기로 인식하여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 가장 큰 수단으로 인식되어 져야 한다. 본 연구는 대기업중심의 아웃소싱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상황에 맞는 모형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파트너십에 대한 문제와 기술적, 통제적, 경제적에 대한 성공요인에 대한 검토되었는데 한편 우리나라 중소기업 상황에서는 자금 회사규모 문제 40.3%, 시스템 운영인력 부족 24.1%, 임직원 활용능력 부족 8.9% 등이 문제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기업과 위험요인과 중소기업의 요인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나타난 대기업 아웃소싱 문제점과 함께 지난 2년간 정부주도하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을 연구하여 중소기업 정보화 아웃소싱 성공요인들을 도출하여 성공적인 중소기업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모형 만들 수가 있을 것이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Outsourcing of Information Systems:Effectiveness and Risks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효과와 위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Kim, Wha-Young;Kim, Eun-H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137-144
    • /
    • 2003
  • 최근의 기업 환경은 고객욕구의 빠른 변화, 글로벌 경쟁의 격화와 급격한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하면서, 경영의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와 경쟁우위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기술을 어떻게 빨리 확보해서 활용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관건이 다. 종전에 는 이를 기업 내부에서 수행했으나, 요즈음은 외부 전문 업체에게 아웃소싱을 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아웃소싱의 위험 요소와 문제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조직특성에 따른 정보기술 아웃소싱 유형에 관한 연구

  • Jang, Geun;Jeong, Hye-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289-302
    • /
    • 1997
  • 컴퓨터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과 더불어 통신망의 결합은 기업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기업들은 이러한 혁신적인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경쟁적 우위를 유지하고 창출하기 위해서 이를 활용하였다. 따라서 기업 내에 차지하는 정보기술의 중요도는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업의 환경변화에 따라 기업들이 조직 내에 정보기술을 수용하게 되면서 자신의 조직을 효과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구축하고, 이를 관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정보기술의 아웃소싱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웃소싱의 유형과 정보기술의 역할, 정보기술 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고, 한국에 아웃소싱의 현황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Succes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tnership and Asset Specificity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성공요인 분석: 파트너십과 자산특이성의 상호효과)

  • 정영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 /
    • v.1 no.3_4
    • /
    • pp.113-132
    • /
    • 1999
  • 실증적인 연구들에 의하면 고객회사(client firms)와 서비스 제공업자(vendor) 간의 파트너십의 질과 범위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성공적인 구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구현에 있어서 파트너십의 역할을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본 연구에서의 기본 명제는 파트너십 특성들의 아웃소싱 구현에의 효과는 아웃소싱 업무의 특성(task characteristics)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산특이성(asset specificity)과 파트너십 특성간의 상호효과(interaction effect)에 중점을 두고 조사를 하게되는데, 파트너십은 관계적거래 특성(relational exchange characteristics)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207개의 미국 회사의 아웃소싱 관계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비관계적거래(discrete exchange)보다 관계적거래에 기반을 두고 아웃소싱 관계를 운영하는 것이 아웃소싱의 성공적 구현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상호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MRA와 하위그룹분석(subgroup analysis)을 시행하였는데, 자산특이성과 일부 관계적거래 특성들간에 상호효과가 유의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상호효과를 근거로 상황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연구 결과 중 확실하지 않은 결과(inconclusive results)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