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기기

Search Result 6,46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Information Display of Wearable Devices through Sound Feedback of Wearable Computing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청각 피드백을 통한 웨어러블 기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 Park, Young-Hyu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91-597
    • /
    • 2007
  • 웨어러블 컴퓨팅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이들이 지원하는 기능은 점점 다양화되고 전문화되었다. 하지만 기기의 종류와 기능이 늘어나면서 각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 자체가 복잡하고 불필요한 시간을 소요하기도 한다. 또한 이를 시각 디스플레이에만 의존하면, 디스플레이 크기의 한계와 더불어 시각적인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웨어러블 각 기기의 상태정보 피드백으로서 소리를 이용하였다. 실험의 순서는 먼저 시각정보에 더하여 청각정보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의 유용성을 검증한 다음,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Auditory Icon)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청각정보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참가자에게 특정 기기의 위치와 그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하면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청각 디스플레이를 제시하고 기기 및 상태정보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각디스플레이의 방식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몸을 나타내는 그림 위에 기기가 장착된 위치를 붉은 점으로 표시하고, 그 상태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방식(실험 1)과 텍스트를 통해 기기의 종류와 상태를 알려주는 방식(실험 2)을 적용하였다. 기기 확인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기록한 실험결과는 시각디스플레이를 통해서만 제시하는 조건보다 시각디스플레이와 청각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제시하는 조건에서 나은 수행을 보여주며, 정보의 내용이 일정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될 수록 수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어지는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의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소리의 높낮이를 통해 기기의 위치를 표현하는 대신, 소리만 듣고 기기가 무엇인가를 알려줄 수 있도록, 참가자 평정을 통해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을 선정하고, 이를 상태정보 디스플레이에 추가하였다. 기기의 수와 제시조건은 앞선 실험과 동일하였으며, 역시 기기 및 상태정보 확인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체크하였다. 실험결과는 이전의 실험과 비슷하게 시각과 청각 디스플레이의 중복제시 조건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청각 아이콘의 사용으로 인한 수행의 증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추가적으로 청각 디스플레이의 내용에 대한 주관적인 평정을 실시 하였는데,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은 참가자에게 편의성, 효용성, 적합성, 확신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착용자의 시선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수행을 높이고, 웨어러블 컴퓨터 디스플레이 크기의 제약을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 동시에 주관적인 사용성 측면에서 발전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국외 의료기기 보안위협 사례 및 보안 동향 조사

  • Choi, Seong-Ho;Kwak, Jin
    • Review of KIISC
    • /
    • v.25 no.3
    • /
    • pp.11-18
    • /
    • 2015
  • 정보시스템 산업의 발전은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많은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IT 산업이 IoT 환경으로 집중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되고 있으며, 다양한 IoT 제품들은 의료기기를 포함한다, 의료 환경에서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의료기기를 통해 환자를 위한 다양한 건강관리 서비스, 생명유지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의료기기에 대한 보안 위협이 부각되면서, 인명 피해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보안 관리 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기에 대한 보안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의료기기 관련 보안 위협 사례를 분석하고, 미국, 유럽, 일본의 의료기기 정보보호 대책 및 국제 표준화 현황을 분석한다.

Secure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Device and an OTP Algorithm for Home Network Environment (홈네트워크에서의 기기 위치 정보와 OTP 알고리즘을 활용한 인증 보안 메커니즘)

  • Kim, Jong-Jin;Cho, Eun-Young;Son,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12-17
    • /
    • 2007
  • 홈네트워크를 이루는 대부분의 기기는 그 위치가 자주 변동되지 않는다. 때문에 기기의 실제적인 위치 값은 기기를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ID로 활용이 가능하다. 위치 측정 센서를 통해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품의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그 값을 인증 보안 메커니즘에 활용한다.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기기마다 요구하는 보안 수준외 정도가 다르다. 때문에 각 기기마다 차등 보안 레벨 적용이 가능하다. 즉, 낮은 자원을 이용하는 기기에 대해서는 높은 보안 적용을 위해 기기에게 필요한 추가 자원의 만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보안 인증 통신을 위해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저 성능의 기기에게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One-Time Password(OTP)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의 위치정보와 OTP의 두 가지 기술을 활용하여 홈네트워크 상의 보안 인증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PDF

Hacking and Security Trends in IoT Devices (IoT 기기의 해킹 사건과 보안 동향)

  • Young-Sil Lee;Ga-Hyeon Lee;Hoon-Jae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19-220
    • /
    • 2023
  • 현재 IoT 기기들은 일상생활에서 필수 가전기기가 되어가고 있다. 가정에서는 스마트홈으로 연결된 냉장고, 세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등이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율주행 차량과 키오스크 등 하루에도 매우 다양한 IoT 기기들을 가깝게 접하고 있다. 스마트 워치(Smart Watch)가 출시된 이후로는 IoT 기기가 매 순간 사용되며 사용자 개인정보와 사생활 등 중요하고 예민한 정보와 기업의 기밀 정보가 자동으로 기기에 저장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커들의 타깃이 되어 새로운 해킹 수법이 발생하고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기기에 관련하여 최근에 발생하는 해킹 사건들과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Enhanced Method of Connection Procedure for Bluetooth Device using SMS in Mobile Phone (휴대폰 SMS를 이용한 블루투스 기기의 연결 설정 절차 개선 방안)

  • Han, Deok-Soo;Park, Myo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905-90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 SMS를 이용한 블루투스 기기의 연결 설정 절차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블루투스 기기 사용을 위해서는 기기간 연결 설정 절차가 필요하고, 연결 설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기기 탐색 시간과 연결 설정 절차의 복잡성으로 인해 블루투스 기기의 시장확산이 저해되고 있는 상황인 바,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기기의 연결 절차 개선을 위해 별도의 연결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연결 설정 정보는 휴대폰 SMS를 통하여 수신되며, 휴대폰에서는 수신한 파일 정보를 Bluetooth HOST 단에 전달하고, Bluetooth HOST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간단한 원 터치 기능을 통해 블루투스 기기의 연결 설정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중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흠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서비스 바인딩 구조

  • 박준호;배대호;강순주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1 no.3
    • /
    • pp.55-66
    • /
    • 2004
  •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들과 다양한 네트워크가 혼재해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이다.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기기들은 기능과 특징에 따라 크게 멀티미디어 가전기기, 단순 제어 가전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가전기기의 경우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큰 대역폭을 가지는 하부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으며 영상 및 음성 정보의 전송과 제어를 위해 많은 제어 모듈을 가지고 있다. 반면 단순 제어 가전기기들은 제어 및 상태 정보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한 하부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며 단순한 제어 모들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ICT 기기인증 보안기술 현황

  • Park, Jeong-Hy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5
    • /
    • pp.20-26
    • /
    • 2014
  • 과거의 휴대폰, TV, 전화기 등의 기기들은 아날로그 신호 기반이 주류를 이루었고, 낮은 대역폭, 폐쇄된 네트워크 환경, 낮은 컴퓨팅 사양 등으로 그 적용 범위가 협소하였고, 어느 정도 보안성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기들이 등장하고 네트워크 대역폭 제공 범위가 확장되면서 정보통신 기기의 중요성과 위협요소가 커지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태블릿 PC, 스마트 TV, 스마트워크, 스마트그리드 등 스마트 기기 시대가 개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정보통신기기의 보안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되었다. 본고에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기기의 안전한 운영을 위하여 해당 기기를 식별하고 진위를 판단할 수 있는 신뢰된 인증방법에 대한 현황을 소개한다.

Embedded Web Server for Internet Information Appliance (인터넷 정보가전을 위한 임베디드 웹 서버)

  • Yun, Han-Kyung;Rim, Se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479-1482
    • /
    • 2002
  • 현재의 가전기기들은 인터넷과 결합하여 정보가전기기로 변해 가는 추세이다. 현재 시판중인 몇몇의 인터넷 정보가전기기들이 있지만 불필요한 기능이 많고 복잡하며 일반기기에 비해서 너무 비싼게 현실이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모델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쉽게 사용학 수 있으면서 저렴한 가격에 임베디드 웹서버를 연결하여 인터넷 정보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 PDF

정보통신 설비환경에 맞는 접지기술 개선방안

  • 최세하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5 no.8
    • /
    • pp.93-107
    • /
    • 1998
  • 정보통신분야의 눈부신 발전 및 확산에 따라 최근의 건물에는 OA기기, 통신기기, 빌딩관리시스템기기, 보안시스템 기기 등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들 기기는 동작 전류가 매우 작아 원하지 아니하는 전류에 의해 기기의 파괴, 오동작, 잡음 등의 장애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는 통신용 접지에 대해서는 소홀히 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에 국제표준화, 국내 접지현황 및 문제점을 고찰하고 인텔리전트 빌딩에 맞는 접지시스템 및 정보통신 설비별 세부 설치방법을 소개함으로써 국내 통신용 접지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더불어 접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