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과학 교육

Search Result 1,90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차별화된 원격교육시스템

  • Kim, Ji-Seon;Park, Hy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1-163
    • /
    • 2005
  • 정보화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정보과학 영재 판별 및 프로그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대상이 대체로 초${\cdot$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정보과학에 잠재성이 있고 전공 선택에 목전을 두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정보과학 영재교육은 부재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한 형태인 원격 교육, 특별히 웹을 통한 정보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과 원격 정보과학 영재교육에 필요한 교육 체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Cultivating the Creativ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of Informatics (창의적 정보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Kim, Sung Yul;Lee, Jong 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3
    • /
    • pp.25-39
    • /
    • 2014
  • Existing curricula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re inapplicable directly to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s because its educational objectives are abstract and impractical. In particular, afte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was defin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5 and other institutes, there is not a clear standard definition.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lso varies and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research institutes. Therefore, we propose the defini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nd then suggest seven educational goals and a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s well as its detailed learning contents. Finally, for proving the validity for those suggestions, this paper is verified by conducting the construct validity with a content validity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8.0 and AMOS 21.

  • PDF

Challenges in Science, Mathematics, and Information Convergence Education (과학, 수학, 정보 융합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해결 과제)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31-2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한국의 융합 교육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의 융합 교육이 겪는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해결 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 모형 개발과 역량 기반 교육 모델, 교수-학습 및 평가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 모델 개발을 진행하여야 한다.

  • PDF

Analysis of difference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recognition on CS education according to CS education with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ing Tool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활용의 정보과학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 Shim, Jae-Kwoun;Kim, Ja-Mee;Lee, Won-Gy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4 no.3
    • /
    • pp.385-393
    • /
    • 2010
  •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is currently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2000 ICT educational guidelines. Although the focus of education has shifted from practical use to computer science since 2005, in which way academic education should be led isn't yet 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CS education) by an education programming tool on school children's awareness of that education. The selected students received education about unplugged, scratch and robot programming, part of th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in 12 session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ll the variables that included attitude to computer science, interest in that, satisfaction level,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the value of CS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in CS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thinking faculty should take precedence over practical use of what's learned, which is expected to heighten the value of that education.

  • PDF

Problem-Solving Oriented Education Method Of Application Software for the Elementary School's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문제해결 중심의 기초기술소양교육 방안)

  • Oh, Sung-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287-295
    • /
    • 2004
  • 오늘날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국가의 과학기술이 그 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기 때문에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영재를 조기에 육성하고 교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요즘처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에 영재교육 중 정보과학영계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 '영재'라는 이유로 기초가 되는 부분을 소홀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 프로그래밍 같은 고급기술을 요하는 것만 중시하지 워드프로세서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 활용 같은 컴퓨터 사용에 기본이 되는 것들은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맡았다. 하지만 기초가 단단해야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있고, 뿌리가 깊어야 바람에 안 흔들리듯이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의 중요성은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강한 호기심과 높은 창의력 등 정보과학영재로써의 많은 것을 갖추고 있지만 단지 기초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보과학영재가 아니라고 단정지어 말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초기술소양교육은 매우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고,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기술소양교육을 분석해 보고 단편적인 기능이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새로운 기초기술소양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등 정보과학영재들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한 정보통신윤리교육 방안

  • 류근성;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221-237
    • /
    • 2003
  •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고 있지만, 정보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시대정신은 갖추지 못하여 이로 인한 부정적인 현상은 점점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최근 교육기관과 사회 공공 기관에서 역기능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실시하기는 하지만,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정보 통신윤리교육은 거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정보사회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인재인 정보과학영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없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교육은 대상자의 수준에 맞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재들에게는 그들에게 맞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의 개념을 살펴보고, 정보통신 윤리의 개념과 성격, 정보통신 교육의 기본원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초등 정보과학영재들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분석해본 후 초등 정보과학 영재들을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ntents Framework of Information Devices Education for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에서 정보과학교육을 위한 정보기기교육의 내용 체계)

  • Kim, Hy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2
    • /
    • pp.335-344
    • /
    • 2014
  • This is the study of contents framework of information devices education for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we organize and sugges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information device education and its achievement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For thi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formation device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investigated. Then we selected some contents of information device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With this contents framework of information devices education for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mad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 at the national level.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 방안

  • 오성훈;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87-197
    • /
    • 2003
  • 오늘날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국가의 과학기술이 그 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기 때문에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영재를 조기에 육성하고 교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요즘처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에 영재교육 중 정보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영재’라는 이유로 기초가 되는 부분을 소홀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 프로그래밍 같은 고급기술을 요하는 것만 중시하지 워드프로세서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 활용 같은 컴퓨터 사용에 기본이 되는 것들은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기초가 단단해야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있고, 뿌리가 깊어야 바람에 안 흔들리듯이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의 중요성은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강한 호기심과 높은 창의력등 정보과학영재로써의 많은 것을 갖추고 있지만 단지 기초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보과학영재가 아니라고 단정지어 말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초기술소양교육은 매우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고,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기술소양교육을 분석해 보고 단편적인 기능이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새로운 기초기술소양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을 위한 초등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개발)

  • Oh, Sung-Hoon;Lee, Ae-Jung;Lee, Ja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1
    • /
    • pp.89-96
    • /
    • 2005
  • This paper focused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dealt the contents of the scientific school attached to universities for gifted children. Second, this paper abstracted educational elements for the gifted children from the research of the information science course in current education. Third, for applying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to practical education efficiently, the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many steps. Fourth, this paper developed the annual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 PDF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that suitabl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에 적합한 초등정보과학영재용 교육과정 개발)

  • Oh, Sung-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98-307
    • /
    • 2004
  • 한 개인의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민주국가와 인류공영에 크게 이바지하는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영재교육을 살펴보면 국가에서 영재교육을 해야 한다고 영재교육의 중요성만 이야기했지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내용을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내용과 방법은 영재교육을 맡은 기관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17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고, 그 교육과정도 다른 곳에 개방되어 있지 않아서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마다 교육과정 개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내용과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교육내용,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였다. 단,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이 기초반과 심화반으로 나누어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초반과 심화반 중 기초반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