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거버넌스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yber Security Governance Analysis in Major Countries and Policy Implications (주요국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Joo, Moon-ho;Kwon, Hun-Yeong;Lim, Jong-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8 no.5
    • /
    • pp.1259-1277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cyber security strategies, laws, organizations, and the roles of the ministries in the US, Germany, UK, Japan, China, and Korea and draw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practical and efficient next generation national cyber security governance. Under this goal, this study analyzes cyber security strategies, laws, organizations, and the roles of the ministries in the US, Germany, UK, Japan, China, and Korea and draw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practical and efficient next generation national cyber security govern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domestic cyber security governance.

An Analysis for Influence Factors of ITA Introduction and IT Governance -Towards Public& Private Organization- (공.사기관의 ITA 도입과 IT거버넌스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Kim, Kyung-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2
    • /
    • pp.255-263
    • /
    • 2010
  • In this paper, I derived some function factors from ITA role in organization as to analyze what ITA function has influenced on ITA governance. The factors of IT governance system and their effects on the their organizations are discussed and the relationships are verified by empirical model. In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223 case of organizations, it appeared that IT infrastructure, IT technology system and IT performance system of IT functions are the contributing factors on the IT Governance. The main analysis results described significantly are shows as follow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TA which has improved technology system support and performance system level, it is effected by the ITA Governance system building.. In special, focusing on IT infrastructure systemization., IT service level is expected to improve of the IT Governance sphe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how to improve information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ITA.

Information Service Quality Management in Data Governance Perspective (in Public Information Sharing System) (데이터 거버넌스 관점의 정보서비스 품질관리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 중심으로))

  • Go, Woon-Hyuk;Min, Dae-Hong;Lee, S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02-1405
    • /
    • 2012
  • 데이터 품질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업에서는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품질 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 거버넌스 관점에서 행정기관 간 정보연계를 통해 민본 녹색 행정을 위한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의 데이터 품질관련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정확하고 안전한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위한 정보서비스 품질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대안으로서 데이터 거버넌스 관점의 행정정보 공유 데이터 품질관리체계 구축을 제시하는 바이다.

A Study on the Integrated Social Service Information System of the Governance (복지 거버넌스 정보통합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Chang Gi;Kim, Jeong Kyue;Lee, Sang Do;Seo, J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01-104
    • /
    • 2015
  • 지역사회에서 복지 서비스의 제공은 다양한 서비스 공급주체들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그러나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각 구성체들은 서로 배타적이며, 경쟁적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호보완적 관계의 형성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겠으나 서비스 및 정보의 중복성 및 다양성의 확보를 위한 가장 최적의 방법은 정보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복지 서비스를 위한 정보통합시스템의 부재로 각종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지 거버넌스 정보통합시스템을 제안하다.

  • PDF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관리체계와 거버넌스

  • Kim, Jung-Duk
    • Review of KIISC
    • /
    • v.18 no.6
    • /
    • pp.1-5
    • /
    • 2008
  • 개인정보보호가 단순히 개인의 권익에 관한 문제로 국한되지 않고, 기업의 사활을 좌우하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개인정보의 활용과 보호라는 두 가지 상충되는 기업 내 목표와 관련 개인정보보호법이나 규정 준수 등 대내외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야 한다. 기업 내 개인정보보호활동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개인정보 영향평가 등 단순 기법이나 정보유출방지 솔루션 도입 등의 접근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일상적 관리활동의 하나로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관리체계의 필요성과 관리과정을 소개하며 이를 평가, 지시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거버넌스의 목표와 중요성에 대해 기술한다.

Keyword Extraction Technique for Attractions using Online Reviews - Topic Modeling and Markov Chain (온라인 리뷰를 활용한 관광지 키워드 추출 기법 - 토픽 모델링과 Markov Chain)

  • Kim, MyeongSeon;Lee, KangWoo;Lim, JiWon;Hong, Soo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21-523
    • /
    • 2021
  • 관광 분야에서 온라인 리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온라인 리뷰의 텍스트 데이터는 파악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관광지에 대한 온라인 리뷰 텍스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전반적인 의견을 직관적으로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토픽 모델링과 Markov Chain을 시행했다. '해운대'에 대한 온라인 리뷰를 수집한 후, LDA와 BTM을 활용하여 주제를 도출하고, Markov Chain을 시각화하여 키워드 간의 관계와 전체적인 평가 내용을 확인했다. 사용된 기법은 각자 특징적인 결과를 제시했기 때문에 다양한 기법을 상보적으로 이용하기를 제안하였다.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Agricultural Water Use (농업용수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거버넌스 주요 구축 인자)

  • Lee, Seul Gi;Choi, K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3-73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가 빈번한 실정이며, 특히 가뭄은 농업용수 부족과 직결되어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통합물관리 정책 추진과 더불어 농업용수의 물절약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농업용수 수요관리를 위한 실사용자인 농업인과 이해관계자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농업용수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물이용 절감 등 적극적인 수요관리를 위해 농업용수 거버넌스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농업용수 거버넌스 구축에 필요한 주요 구성 인자를 파악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농업 및 농촌 거버넌스 사례와 문헌조사 등을 통해 농업용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6개의 주요 인자를 선정한 후, 전문가를 대상으로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이용한 설문조사 및 쌍대비교를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총 6개 주요 인자의 중요도는 '핵심주체', '법률 및 정책 구축', '예산 지원', '정보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상호 학습', '외부전문가' 순으로 도출되었다. 여기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차지한 '핵심주체'는 농업인을 의미하며, 이는 공사에서 담당하고 있는 현재의 공적관리체계로는 필지단위의 효율적 물관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물 사용의 주체인 농업인의 물관리 참여를 위한 거버넌스 운영에 농업인이 핵심주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농업인 중심의 상향식 거버넌스(Bottom-up governance) 방식으로 농업용수 거버넌스가 운영된다면, 농업용수 이해관계자들의 관심과 농업인의 자발적인 물절약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거버넌스 운영을 통하여 농업인 및 이해관계자의 소통과 문제 제기 및 환류 노력 등을 통해 물절약을 위한 제도개선 및 현장 실천 노력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농업용수 지속가능성 확보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Governance System (전자거버넌스 시스템의 구조에 대한 연구)

  • Han Jae-Il;Jun Sung-Tae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1
    • /
    • pp.209-215
    • /
    • 2005
  • The first wave of e-government projects dating from the early 1990s primarily focused on setting up national and 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ternal organizational reform, digital procurement, and the digital delivery of government services to citizens. Most of these e-Government projects have concentrated on the development of systems focusing on strengthening the formal agencies and institutions of government. To date, despite many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citizen involvement in terms of governance,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developing e-government systems with a focus on improving citizen involvement, which we call e-governance systems.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governance systems, identifies core requirements for its development, and suggests an e-governance system architecture that can satisfy the core requirements.

  • PDF

A Study on Manual Model for Exceptions and Error Handling of Public Qualification Online Processing System based on IT Governance Structures (IT거버넌스 체계 기반의 공공자격 온라인 처리시스템의 예외사항 및 오류처리에 대한 지침서 모델에 관한 연구)

  • Chang, Young-Hyun;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307-310
    • /
    • 2011
  • 본 논문은 공공자격 온라인 처리시스템의 예외사항 및 오류처리에 대한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로 다양한 이론에 근거한 IT 거버넌스 체계를 적용하여 실제 운영시스템에 적용한다. IT거버넌스에 기반 한 예외사항 및 오류처리에 관하여 공공자격 온라인 처리시스템의 개발 전략과 목표를 기준으로 구축, 운영, 지원, 모니터링 등에 대하여 각각의 처리모듈에서 발생 가능한 예외사항과 오류처리에 대하여 시스템 관리자와 함께 일반 행정처리 중심의 사용자를 바탕으로 한 처리 지침의 세부적 사항을 기술적으로 적용하는 개발 방법론을 도입한다. 개발자와 관리자 및 행정사용자가 중심체계가 되는 방법론을 적용하여 예외사항 및 오류처리에 대한 지침서를 모델링하는 본 논문은 공공자격처리시스템 프로젝트를 일반 및 실무분야에 대한 2개의 대규모 개발 시스템으로 분류하고 세부사항을 도출하고 운영책임 관리자와 일반 행정처리 사용자에게 적용하여 결과를 평가한다. 국가정보화 IT거버넌스 혁신을 통하여 8가지 영역의 표준 지침서 제작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지는 관점에서 본 연구가 국가가 시행하는 공공자격 처리시스템의 특수 분야에서 확장되어진 기술적 공유를 추구할 수 있다.

  • PDF

The Evaluation on the Governance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

  • Hwang, Hwa-Seok;Lee, Chul-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2
    • /
    • pp.141-160
    • /
    • 2012
  • This paper evaluates the governance of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The evaluation focuses on mutual cross-assessment of agents engaging in governance relating to four elements: social justification,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transparency. Governance based on co-operative partnership was the essential factor leading to the mask festival's success. Governance of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in 2011 was privately initiated governance having horizontal and open partnership among festival specialist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egional business organizations, volunteers and local government, with the Andong Festival Tourism Foundation as the central figure. Three of governance elements were successfully carried through; the exception was transparency. The agents who gave more positive evaluations were those who played leading roles in planning and conducting events, as well as in assessing those events. The reasons for positively assessing the elements are the significance of the festival and the guarantee of agents' participation in social justification; the ability of agents, as well as cognitional and institutional trust in reliability; expert knowledge, capacity to suggest alternatives and duality of business in professionalism; and effective communication, the guarantee of opening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 transparenc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overnance, the system for allowing passive agents to contribute usefully should be strengthened. Mutual communica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among agents, as well as between agents and residents, also should be more strongly reinforc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