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감시 정찰체계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국방지휘통제체계 AI 적용을 위한 고찰

  • Kim, Yeong-Do;Gwon, Hyeok-Jin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24 no.1
    • /
    • pp.13-18
    • /
    • 2017
  • 국방지휘통제체계는 다양한 감시정찰 자산으로부터 수집된 많은 양의 정보를 융합하고 분석하여 지휘관이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 중인 지휘 통제체계는 단순히 정보를 보여주고 유통하는 체계로 대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최적의 방책을 제공하는 등과 같은 지휘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다. 지휘통제체계의 지능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을 지휘 통제체계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 전반의 변혁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주요 선진국들의 인공지능 관련 추진동향과 인공지능의 국방적용을 위한 군사적 활용의 필요성, 그리고 지휘통제체계의 적용을 위한 고려요인들에 중점을 두었다. 지휘관의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지능화된 지휘통제체계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Common data link digital modem for surveillance UAVs (정찰용 무인기를 위한 공용데이터링크 모뎀 설계 및 성능 분석)

  • Jung, Sungjin;Kim, Younggil;Lee, Daeh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1
    • /
    • pp.162-168
    • /
    • 2018
  • The UAV(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drone of a variety of fields, which has become an issue and utilized in various fields, has begun to develop in military fields and is actively developed in the commercial field. In various types of UAV systems, which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the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responsible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 control unit and the UAVs is called the data link. Especially, common data link used in military UAVs is required stability of communication to transmit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ntelligence information and UAV's status. In this paper, the requirement for a modem was defined to secure the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common data link used in surveillance UAVs. And, the design of the data link modem to satisfy applicable specifications was proposed. The proposed modem design was verified through the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implemented systems.

Trends and Strategies on Defense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IT Convergence Technology (IT 융합기술 기반 국방정보 기술동향 및 발전전략)

  • Kye, J.E.;Lee, J.H.;Lim, D.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2
    • /
    • pp.132-144
    • /
    • 2013
  • 국방과학기술은 중장기 기획문서체계에 의해 체계적인 기술기획이 수립되고 있다. 또한 합동참모본부의 전략문서와 연계하여 국방과학기술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한다. 무기체계는 지휘통제, 감시정찰 및 정밀타격체계로 구성되고, 핵심기술은 정보통신, 센서, 플랫폼 등 8대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국방정보 기술은 국방에 관한 정보를 생산, 유통 또는 활용하여 국방 분야의 제반 활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미래 전장운용 개념 구현 및 국방경영 효율화를 지원하여 국방비전 및 국방개혁을 달성하는 핵심 기능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방정보 기술 개발의 목적은 한반도 전 구역에서 실시간 및 근실시간으로 요구 수준 및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장가시화, 네트워크화된 지휘통제, 효과 중심 정밀타격, 전쟁지속을 위한 인사, 군수, 동원 등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하여 미래전 양상과 국방정보화의 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정보공유 및 관리 가능한 정보화 환경을 구축하는 데 있다. 본고는 국방정보 기술 체계 및 요소기술에 대한 특성과 적용기술 및 발전 방향을 살펴본다.

  • PDF

기획특집 3: 군사용 전자광학 기술의 현재와 미래 -군사용 전자광학장비 산업체 기술 현황

  • Song, In-Seop
    • The Optical Journal
    • /
    • s.130
    • /
    • pp.29-35
    • /
    • 2010
  • 군사용 전자광학장비는 정보지식 기반의 현대무기체계에 필수적인 장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광학부품의 원소재나 영상증폭관, 열상검출기 등의 일부 핵심부품은 여전히 해외도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항공기나 위성에 탑재되는 감시정찰용의 복합시스템에 대한 체계설계기술 역시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군사용 전자광학장비의 완전한 자립을 위한 연구협력체 구성과 이를 통한 국제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

  • PDF

Context-aware Framework for Battlefield Surveillance Sensor Network System (전장감시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상황인식 프레임워크)

  • Heo, Lyong;Jin, Byeong Woon;Park, Seong Seung;Jeon, Seo In;Shon, Ho Sun;Ryu, Keu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17-119
    • /
    • 2010
  • 미래 전쟁은 과거의 재래식 전쟁과는 판이하게 변화된 환경 속에서 새로운 전투 형태와 방법으로 전개될 것이다. 특히, 첨단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전장에서 싸우는 방법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장에서 적을 먼저 발견하고 타격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표적 획득 및 첩보 수집과 정확한 상황판단 및 적시적인 지휘가 요구되기 때문에 정보 수집 자산이 부족한 사 여단급 부대를 대상으로 감시 정찰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평시 체계와 전시 체계의 운용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실 세계에 적용하는 것은 유지비용의 증가, 감지 오류, 야전 환경과의 부적합 등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대안으로 이 논문에서는 지상군 작전에서 적의 조기 발견과 전장 가시화에 필요한 전장감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상황 인식 프레임 워크를 제안하였다.

Analysis of Common Data Link Technology Trends for the Next Generation Korean Common Data Link Development (차세대 한국형 공용데이터링크 개발을 위한 국·내외 공용데이터링크 기술 동향 분석)

  • Kang, Wipil;Song, Juhyung;Lee, Kyunghoon;Lee, Dae-Hong;Jung, Sung-Jin;Choi, Hyung-Ji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9C no.3
    • /
    • pp.209-222
    • /
    • 2014
  • NCW is a new operational concept for modern warfare to improve the ability to conduct combat by connecting command and control system via network. To realize NCW integrating information sharing system between multiple platforms, CDL is considered as a key component for high-speed transmission of ISR data. Accordingly, further studie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CDL are being performed around the world, and our government has also developed self-reliant CDL, MPI-CDL. However, the maximum data rate and networking performance of current CDL still fall short of the objective to enable multiple systems to share the large ISR data.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evelopment flow and international technical trends of CDL, and present an approach for enhancing data rate and networking capacity of the next generation CDL.

CNR 환경에서 음성/데이터 혼합 운용에 관한 연구

  • Lee, Gyeong-Gyu;Jeong, Do-Hyeon;Yun, Ye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335-339
    • /
    • 2007
  • CNR(Combat Network Radio)는 전장에서 사용하는 라디오이다. 현재 군에서는 CNR을 이용한 MIL-STD-188-220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감시/타격체계와 C4I체계간에 연동을 시도하고 있으며, TICN의 TMMR에도 MIL-STD-188-220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상호연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감시정찰센서 네트워크"의 군전술통신망 게이트웨이(TCG)를 개발 하면서 군의 CNR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음성과 데이터 혼합 운용을 위해 부대 및 망의 운용 상태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최적한 값과 운용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Ontology-based Context-aware Framework for Battlefield Surveillance Sensor Network System (전장감시 센서네트워크시스템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상황인식 프레임워크)

  • Shon, Ho-Sun;Park, Seong-Seung;Jeon, Seo-In;Ryu, Keun-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8 no.4
    • /
    • pp.9-20
    • /
    • 2011
  • Future warfare paradigm is changing to network-centric warfare and effects-based operations. In order to find first and strike the enemy in the battlefield, friendly unit requires real-time target acquisition, intelligence collection, accurate situation assessment, and timely decision. The rapid development in advanced sensor technology and wireless networks requires a significant change in operational concepts of the battlefield surveillance.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a battlefield surveillance sensor network system is a big challenge to the ground forces which have lack of automated information collection asset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ontology-based context-aware framework for the battlefield surveillance sensor network system which is needed for early finding the enemy and visualizing the battlefield in the ground force operations.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 of existing systems, the one of the proposed framework has shown highly positive results by applying the context systems evaluation method. The framework has also proven to be satisfactory by the structured evaluation method using device collaboration. Since the proposed ontology-based context-aware framework has a lot of advantages in terms of scalability and reusability, the ground force's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system can be widely applied to expand in the future. And, ontology-based model has some weak points such as ontology data size, processing time, and limitation of network bandwidth. However, these problems can be resolved by customizing properly to fit the miss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t. Moreover, development of the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can expedite the intelligent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ervice and may be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expanding the information capacity.

Analysis of Improving Requirement on Military Security Regulations for Future Command Control System (미래 지휘통제체계를 위한 보안 규정 개선 요구사항 분석)

  • Kang, Jiwon;Moon, Jae Woong;Lee, Sang Ho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0 no.1
    • /
    • pp.69-75
    • /
    • 2020
  • The command control system, like the human brain and nervous system, is a linker that connects the Precision Guided Missile(PGR) in information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SR) and is the center of combat power. In establishing the future command and control system, the ROK military should consider not only technical but also institutional issues.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establishes security policies, refines them, and organizes them into architectural document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and and control system. This study examines the security architecture applied to the US military command control system and analyzes the current ROK military-related policies (regulations) to identify security requirements for the future control system. By grouping the identified security requirements, this study identifies and presents field-specific enhancements to existing security regulations.

Analysis Results in Technological Trends of Military Small Giant Venture Tech-Fi Net via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국방 강소벤처 Tech-Fi Net 기술동향 분석)

  • Park, Jae Woo;Lee, Il Ro;Kwon, Jae Wook;Byun, Kisik;Cho, Sung-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2
    • /
    • pp.444-45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echnological trends of 「Military Small Giant Venture Tech-Fi Net」 from Defens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via social network analysis. 「Military Small Giant Venture Tech-Fi Net」, which was constituted for their fine technology for application to the military field, registered 847 technologies of 388 companies.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847 technologies for the relations between "Military System" and "Military Technology Category" via centrality measurement, one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jor technologies of domestic military small giant venture companies were "Sensor" and "ICT" for "C4I System" and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 and "Platform/Structure" for "Land System", "Aeronautical System" and "Naval Sea System". In contrast, we recognized inadequate technologies, such as "Propellant" and "Material" for "Missile and Ammunition system" and "Sensor" and "ICT" for "Defense System", We hope that our results and method will be conducive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mall Giant Venture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