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맥주입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2초

Valve포트와 Non-Valved포트 사용에 따른 문제점의 비교 분석 (Compared the Causes of Problematic Chemo-Ports According to the Types of Chemo-Ports(Valved, vs. Non-Valved))

  • 유인규;임청환;한범희;정홍량;주영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1호
    • /
    • pp.35-41
    • /
    • 2011
  •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장기간의 안정적인 정맥확보를 위해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장기간의 항암제 투여, 종합 비경구적 영양법, 반복적 혈액채취와 항생제 투여, 혈액 투석을 위해 시행되고 있다. 그중 주입구를 완전히 피하에 심는 피하매몰형 중심정맥포트(chemo-port)의 설치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중 중재적 방사선과에서 전형적인 카테터 끝이 열려 있는(non-valved) 포트와 새로운 형태의 카테터 끝이 닫혀 있는(valved) 포트를 삽입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발생한 합병증이나 문제점에 관한 후향적 조사를 바탕으로 올바른 피하매몰 중심정맥 포트의 선택 및 관리,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2006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를 삽입한 4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valved 포트를 삽입한 경우는 109명이었고 non-valved 포트를 삽입한 경우는 329명이었다. 포트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의뢰한 56명 중 실제로 발생된 30명의 합병증이나 문제점을 valved. non-valved 포트로 나누어 비교 평가하였다. 포트 시술 후 valved 포트에서 문제점과 합병증이 11.93%, non-valved 포트에서 문제점과 합병증이 5.17%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valved 포트에서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Valve사용 유무에 따른 포트 사용 시 두께가 얇은 포트의 사용을 권장하고 시술시 환자 감염이 유발하지 않게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야 하며 시술이후에도 포트를 사용 시 전용바늘을 사용하고 사용 후 생리식염수의 의한 관 세척 등 포트관리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 시 원인을 찾아내어 해결책을 제시하고 향후 반복적인 합병증이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포트 삽입술의 유용성과 안전성을 증대해야 한다.

신경계중환자에게 적용한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연구 (Evaluation of Critical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CPSCS) for neurocritical patients in intensive unit)

  • 김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38-5246
    • /
    • 2012
  • 본 연구는 신경계 중환자에 적용한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신경계 중환자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신경계 중환자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08년 1월부터 2009년 5월,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서울시 소재 C 대학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의 신경계환자 203명의 의무기록지를 분석하였다. 신경계 중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관련 특성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차이는 사망, 생존(p=<.001), 혈색소(p=<.001), 중탄산(p=<.001), 백혈구(p=<.001), 기관 내 삽관 유무(p=<.001), 중심 정맥관 삽입 유무(p=<.001), 중증도(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203명 중 64명이 사망하여 사망률은 31.5%였다.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로 측정된 신경계 중환자의 평균 점수는 $112.09{\pm}18.91$로 나타났고 중중도가 높아질수록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 점수도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각 영역별로는 활력징후 측정 $3.74{\pm}2.15$, 감시 측정 $28.97{\pm}4.31$, 일상 활동 $34.99{\pm}3.66$, 영양 $.19{\pm}.98$, 정맥 주입 및 약물요법 $18.20{\pm}8.27$, 치료 및 시술 $16.93{\pm}4.90$, 호흡치료 $8.61{\pm}7.07$로 확인되었다. 감시 측정, 일상 활동, 정맥 주입 및 약물요법, 치료 및 시술, 호흡치료영역이 포함된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678.789, p<.001) 이들이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98.1%를 나타내어 신경계 중환자의 중중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영역이라 사료된다.

정맥주입요법 간호실무지침 수용개작 (Adaptation of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 구미옥;조용애;조명숙;은영;정재심;정인숙;이영근;김미경;김은현;김지혜;이선희;김현림;윤희숙
    • 임상간호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8-14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dapt the previously developed intravenous infusion guidelines with good quality for development of the evidence-based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in Korea. Methods: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was conducted according to guideline adaptation manual version 2.0 developed by NECA (Kim, Kim et al., 2011) which consisted of three main phases, 9 modules including a total of 24 steps. Results: Adapted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was consisted of 19 domains and 180 recommendations. The domains and number of recommendations in each domain were: general guide, 4; assessment, 1; vascular access device selection, 4;site selection, 14;site preparation, 5;site care, 29; maintaining patency, 11; blood sampling via vascular access, 4; vascular access device exchange and removal, 9; add-on device selection, 27; infusion related complications, 63; education, 7; and documentation and report, 2. There were 11.9% of A, 28.4% of B, 58.7% of C in grade of recommendations. Conclusion: Adapted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is expected to contribute providing an evidence based practice guides for intravenous infusion. The guideline is recommended to be disseminated to nurses nationwi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travenous infusion practice.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여성에서 정맥 내 아스코르브산 투여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배정 양측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 (Effect of intravenous ascorbic acid administration on fatigue after laparoscopic myomectomy: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 황우연;김기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34-439
    • /
    • 2021
  • 본 논문은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여성에서 정맥 내 아스코르브산 주입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는 무작위 배정 양측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의 2차 평가변수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환자 50명은 수술 중 아스코르브산 (2g)이나 위약을 수술 중 투여받았다. 환자 비율은 임의로 1:1 비로 하였다. 수술 후 2일차에는 간이 피로 평가지 (Brief Fatigue Inventory-Korean version, BFI-K)을 사용하여 피로수준을 평가하였다. 대상자가 동의를 철회하거나 수술을 취소한 경우 또는 평가변수가 측정되지 않은 5명은 제외되어 총 45명(시험군 23명,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은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 피로도 점수도 실험군 (4.56 ± 2.63). 대조군 (5.21 ± 2.02 P = 0.351)으로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군의 피로도 점수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대조군의 피로도 점수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받은 여성에서 정맥 내 아스코르브산 주입은 피로도를 크게 줄이지 못했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 재래산양의 신정맥 분포에 관하여 (Distribution of Renal Vein within Kidney of Korean Native Goat)

  • 김종섭;박중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1-147
    • /
    • 1977
  • 한국 재래산양 50마리의 신정맥 vinylite를 주입하여 주형표본을 만들어 신정맥의 분포상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장의 구역정맥들이 모여서 신정맥지를 이루고, 신정맥은 $2\\sim 3$개의 신정맥지로서 구성되나, 2개의 신정맥지인 경우가 많았다. 2. 신정맥은 전지(Ramus cranialis)와 후지(Ramus caudalis)로 구성되는 경우, 배지(Ramus dorsalis)와 복지(Ramus ventralis)로 구성되는 경우, 전지 $\\codt$ 중지(Ramus medius)후지로 구성되는 경우 그리고 $배지\\cdot 중지 \\cdot 복지$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배지\\cdot 복지$로 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3. 정맥성 구역은 $좌\\cdot 우신$, $배\\cdot 복면$이 각각 $2\\sim 4$개 였으며 3개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4. 신장의 배면과 복면의 전단, 또는 후단 그리고 $전\\cdot 후양단$에서 공통구역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었다. 5. 신극정맥의 출현은 없었다. 6. 신정맥의 주행과 분포상태는 신동맥과는 현저히 달랐다.

  • PDF

외상에 의해 절단된 음경의 재접합술 1례 (Replantation of a Traumatically Amputated Penis in a Dog)

  • 박진욱;조기래;한태성;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27-630
    • /
    • 2007
  • 잡종의 사냥개가 멧돼지 사냥 중에 대퇴와 서혜부의 열상을 입고, 음경이 절단되었다. 음경은 요도, 해면체, 그리고 좌우측의 음경등쪽정맥을 문합함으로써 재접합되었다. 절단된 음경은 해부학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회복되었다. 술 후의 음경 원위부의 부종이나 괴사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술 후 20일째 요도조영술에서 누관이나 협착 또한 발견되지 않았다. 본 수술과 별도로, 3마리의 비글견에서 음경등쪽정맥의 문합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실험적 해면체조영술을 실시하였다. 해면체조영에서 음경망울에 주입된 조영제는 좌우측의 음경등쪽정맥을 통해 배출되었고, 좌골궁 부위에서 하나의 혈관으로 수렴된 후 다시 좌우측 속음부정맥으로 분기되었다. 따라서 개의 절단된 음경의 증례에서 좌우측의 음경등쪽정맥의 재문합은 술 후 좋은 예후를 위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개별 알고리즘과 조합 간 정맥 영상의 선명화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sharpness of venous images between individual algorithms and combinations)

  • 정진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41-447
    • /
    • 2023
  • 정맥 주입요법은 의료기관에서 대상자의 점액 내로 약물, 수액, 혈액 및 영양분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표준적인 간호 절차로, 주로 간호사가 담당하여 실행하고 관리하고 있다. 또한 혈관 속으로 약물을 직접 투여하는 주사법으로서 응급상황 시 신속한 효과를 보기 위해 실시하며, 빠르고 정확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교육 훈련을 통한 숙련된 간호사들도 종종 실수를 하여 환자들에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수로 인한 고충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영상 검출 기기를 통해 3명의 피검자의 손등 정맥 영상을 획득하였고 수집한 영상을 영상처리를 통해 선명한 정맥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획득한 정맥 영상의 선명화를 위해 기존 알고리즘인 Histogram Equalization, CLAHE, Unsharp Masking을 선별하고 이를 조합했다. 개별 알고리즘과 알고리즘 조합을 영상에 적용하여 도출한 영상을 비교하기 위해 히스토그램 그래프를 사용하였다. 분포된 픽셀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차이를 구하고 평균을 내는 방법으로 히스토그램 그래프를 확인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 조합이 209.1로 개별 알고리즘 평균값인 138.7, 132.3, 126.2보다 높게 나왔으며 실제 영상에서도 가시성이 좋은 것을 확인했다.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하지 심부정맥혈전환자에서 혈전제거술과 스텐트삽입술 (Pharmaco-mechanical Thrombectomy and Stent Placement in Patients with May-Thurner Syndrome and Lower Extremity Deep Venous Thrombosis)

  • 전용선;김영삼;조정수;윤용한;백완기;김광호;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57-762
    • /
    • 2009
  • 배경: May-Thurner 증후군은 좌측장골정맥이 우측장골동맥에 의해 눌리어 정맥 환류장해에 의해 혈전증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저자들은 심부 정맥혈전중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 혈전 제거-용해술 및 스탠트 삽입술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하지 심부정맥혈전증으로 진단받고 좌측 장골정맥에 스탠트를 삽입한 34명(평균연령 $64.6{\pm}13.7$세, 여자 25(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은 흡인성 혈전제거와 혈전용해 후 분지성 협착이 있는 곳에 Wall stent를 삽입하고 풍선 확장을 하였다. Multi side hole 카테타를 혈전이 있는 부위에 위치시키고 Urokinase를 시간당 8만에서 12만 International Unit을 1일 또는 2일 동안 주입하였다. 시술 중 폐동맥혈전색전증을 방지 하기 위하여 대부분 환자에서 시술 전 일시적 하대정맥 여과기(IVC Filter)를 삽입하였다. 퇴원 후 3개월간 경구용 와파린을 투여 하였으며 퇴원 전과 퇴원 후 6개월에 Multi Detector Computerized Tomography (MDCT) 혈관촬영을 이용하여 혈전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결과: 시술 48시간 이내 부종과 동통이 완전하게 소실된 환자가 2 (6%)명이었으며 증상의 완화가 있는 환자가 28 (82%)명, 증상의 호전이 없는 환자가 4 (12%)명이었다. 퇴원 시 MDCT혈관촬영에서 9 (26%)명에서 혈전없음, 21 (62%)명에서 부분 혈전, 그리고 4명(12%)에서 폐쇄소견을 보였다. 퇴원 6개월 후에 2명을 제외한 32명이 추적 MDCT혈관촬영을 하였는데 23 (72%)명에서 혈전없음을 9 (26%)명에서는 부분혈전이 관찰 되었다. 평균 5.6개월 관찰기간 동안 2 (6%)명에서 심부정맥혈전이 재발되어 재입원하였으며 하지 부종과 통증을 동반한 혈전 후 증후군은 9예(26%)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하지 심부정맥혈전환자에서 심부정맥혈전의 제거와 혈전용해술과 함께 시술된 스탠트 삽입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말초정맥을 통한 반코마이신희석과 주입시간연장이 부작용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creased Dilution Volume and Prolonged Infusion Time of Vancomycin on Incidence of Adverse Reactions through Peripheral Venous Cannulae)

  • 오명주;김매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6-208
    • /
    • 200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2 hour infusion of vancomycin(1g) in 200ml of isotonic saline every 12 hour on the frequency of "red man syndrome", phlebitis and length of peripheral catheter placement of infected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safe infusion method for reducing vancomycinin-duced RMS and phlebiti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16 hospitalized patients; 3 oncology and gastro-intestinal patients, 1 neurological patient, 6 thoracic surgical patients and 6 orthopedic patients, who had received vancomycin from July to October in 1999 at S-hospital.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incidence of RMS, phlebitis and the length of peripheral catheter placement. The incidence of RMS was checked by an inspector at the first night whenever the infusion method of vancomycin was changed. RMS was observed every 15 minutes during an hour for symptoms of RMS such as itching, erythema, chest pain and systolic blood pressure. Incidence of phlebitis was assessed by inspector twice a day from the insertion of peripheral catheter to the removal of the catheter.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mean, $X^2$-test, t-test, repeated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in frequency of RM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ystolic blood pressure as the time goes 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3. The incidence of phlebit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4. The length of peripheral catheter placement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5. Other drugs administrated with vancomycin didn't influence the occurrence of phlebitis. However, the infusion method of vancomycin influenced the occurrence of phlebitis. The results suggest that 2 hour infusion of vancomycin(1g) in 200ml of isotonic saline every 12 hours may decrease the incidence of phlebitis and increase the length of peripheral catheter placement compared to 1 hour infusion of vancomycin(1g) in 100ml of isotonic saline every 12 hours. However, it does not reduce the incidence of RMS.

  • PDF

간종양의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에서 초음파 유도하 흉부 방척추블록의 효용성: 예비 연구 (The Effectiveness of Ultrasound-Guided Thoracic Paravertebral Block for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of Hepatic Tumors: A Pilot Study)

  • 김형태;김영준;김범진;신성인;임소망;이주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6호
    • /
    • pp.323-331
    • /
    • 2018
  • 목적: 간종양의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radiofrequency ablation, 이하 RFA) 도중 및 종료 후 발생하는 통증을 관리하는데 있어 흉부방척추블록(thoracic paravertebral block, 이하 TPVB)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TPVB를 시행하지 않은 그룹(4명; 4개 종양, 4회 RFA)과 시행한 그룹(5명; 7개 종양, 7회 RFA)으로 나누었다. 초음파 유도하 TPVB는 7번 흉추에서 시행하였다. 시술 전 우측 방척추 공간에 0.375% ropivacaine을 15 mL 주입하였다. 시술 중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며 진통제를 요구하거나 구두통증척도(verbal numerical rating scale)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면 fentanyl $25{\mu}g$ (최대 $100{\mu}g$), pethidine 25 mg, midazolam 0.05 mg/kg (최대 5 mg)을 순차적으로 정맥 주입하였다. 결과: RFA 전, 도중, 후 사용된 진통제의 총 정맥 주입 모르핀 등가(total intravenous morphine equivalence)는 TPVB를 시행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129.1 mg이었고, 시행한 그룹에서는 0.0 mg이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TPVB는 간종양의 RFA 도중 및 후에 발생하는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일 수 있겠으며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