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량화 모델

Search Result 721,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Local Thermal Equilibrium 모델에 의한 이차이온 질량분석의 정량화 방법

  • Gwak, Byeong-Hwa;Gwon, O-Jun
    • ETRI Journal
    • /
    • v.10 no.2
    • /
    • pp.63-69
    • /
    • 1988
  • SIMS(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분석 데이터의 정량화 방법으로 이온주입에 의한 실험적 접근법과 LTE(Local Thermal Equilibrium) 모델을 사용한 준이론적 접근법 2가지가 주로 논의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LTE 모델을 사용, SIMS data를 정량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아울러 BASIC language로 된 간단한 LTE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PDF

Improving Dialogue Intent Classification Performance with Uncertainty Quantification based OOD Detection (불확실성 정량화 기반 OOD 검출을 통한 대화 의도 분류 모델의 성능 향상)

  • Jong-Hun Shin;Yohan Lee;Oh-Woog Kwon;Young-Kil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17-520
    • /
    • 2022
  • 지능형 대화 시스템은 줄곧 서비스의 목표와 무관한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아, 그 처리 성능을 의심받는다. 특히 종단간 대화 이해 생성 모델이나, 기계학습 기반 대화 이해 모델은 학습 시간대에 한정된 범위의 도메인 입력에만 노출됨으로, 사용자 발화를 자신이 처리 가능한 도메인으로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 생성 모델이 처리할 수 없는 입력과 신뢰도가 낮은 생성 결과를 배제하기 위해 불확실성 정량화 기법을 대화 의도 분류 모델에 적용한다. 여러 번의 추론 샘플링이 필요 없는 실용적인 예측 신뢰도 획득 방법과 함께, 평가 시간대와 또다른 도메인으로 구성된 분포 외 입력 데이터를 학습에 노출시키는 것이 분포 외 입력을 구분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실험으로 확인한다.

  • PDF

Visualizing of Alley Safety Data making use of public data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골목길 안전 데이터의 시각화)

  • Lee, Chang-Min;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35-638
    • /
    • 2017
  • 안전한 도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안전도 측정 모델을 통해 안전도를 측정하여 범죄 예방활동, 재난예측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안전도 측정 모델을 통해 도로의 안전도 수치를 정량화하여 안전도관련 데이터가 맵핑된 지도와 같은 실제 보행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모델은 적용분야가 구체적이지 않고 모델을 서비스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정량화된 값을 제시하는 모델이 없어 수치가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알 수 없다. 따라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 안전지수 측정모델"을 개발하여 값을 얻고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공공 데이터를 지도상에 보여주고자 한다.

Design on Fixed Quantity Analytical Model for Information System Audit based on Requirements (요구사항 기반 정보시스템 감리의 정량화 분석 모델 설계)

  • Kim, Hee-Wan;Kim, Hun-Kyeom;Koh, Chan;Kim, Dong-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5
    • /
    • pp.141-156
    • /
    • 2011
  • Auditors' subjective opinions m audit activities weaken reliability in audit judgments. This paper suggests fixed quantity models through requirement priority for improving objective evaluation and priorities of requirements in information system audit. The value of requirements was evaluated based on customers' requirements with a premise that they are not in the same level. Furthermore, the audit objective judgments were enhanced to enable fixed quantity of subjective audit by subdividing detailed evaluation index of requirement priority standards into importance of service and function on orderers' perspective, and sectioning cost and schedule on contractors' perspective.

Model Developments for Quantitative Estimates of the Benefits of the Signals on Nuclear Power Plant Availability and Economics (원자력발전소의 가용도와 경제성에 신호가 주는 이득의 정량적 산출을 위한 모델개발)

  • Seong, Poong-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5 no.3
    • /
    • pp.394-402
    • /
    • 1993
  • A novel framework for quantitative estimates of the benefits of signals on nuclear power plant availability and economics has been developed in this work.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work quantify how the perfect signals affect the human operator's success in restoring the power plant to the desired state when it enters undesirable transients. Also, the models quantify the economic benefits of these perfect signals. The models have been applied to the condensate feedwater system of the nuclear power plant for demonstration.

  • PDF

Design on Fixed Quantity Analytical Model for Information System Audit (정보시스템 감리의 정량화 분석 모델 설계)

  • Kim, Hee-Wan;Lee, Hae-Man;Kim, Do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88-100
    • /
    • 2011
  • This thesis suggests fixed quantity model and detailed performance procedures of an information system audit. In addition, an identification of the check-items with high operating risk and factors that might lead to serious effects on the business are made. Then, this thesis proposes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model that can grant priorities. By using this model, the orderer can evaluate objectively with digitized mark. The model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the audit by minimizing the discrepancies of different opinions about audit evaluation results between auditee and the orderer. The proposed model is adapted to an application system and audit projects of the database construction. As a result, the model has received an equal mark from the result of the general reviews, thus the propriety of the proposed model was verified.

AIS data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 Hwang, Su-Jin;Kim, Eun-Gyeong;Im, Nam-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67-68
    • /
    • 2016
  • 해상교통환경평가는 선박 간 항행상황의 위험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냄으로써 선박의 안전운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해상교통환경평가모델로는 ES(Environmental Stress model)와 CR(Collision Risk)모델이 있다. 이러한 모델을 살펴보면, 각각의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항행상황의 위험도를 정량화하며, 선박 간 조우관계를 기반으로 평가요소를 구성함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박 간 조우관계를 포함한 항행상황의 위험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평가지수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IS data를 이용하여 해상교통환경을 재현하고 분석하였으며, 동일한 항행상황을 ES, CR과 제안한 모델을 이용하여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함으로써 본 모델이 해상교통환경모델로서 항만 내 통항 안전성 평가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난류강도에 따른 미세퇴적물의 퇴적율 추정

  • 박광순;이동영;추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172-172
    • /
    • 1992
  • 미세퇴적물 이동연구는 최근 실험실 실험 또는 현장 자료에 의해 많은 진전을 이루어 왔으나, 아직은 미세, 점착성 퇴적물의 복잡한 과정을 다 고려한 신뢰성 있는 이동예측 수치모델의 개발에 충분한 지식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 수치모델에 의한 예측 기술을 계발하는데 있어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는 해저면에서의 퇴적물의 수송량을 정량화하는 일로서 난류하에서 점착성 퇴적물의 복잡한 퇴적 관련 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에 의해 각종 파라미터의 정량화가 요구된다.(중략)

  • PDF

Proposal of Evaluation Model for Measuring of GUI Quality of Experience(QoE) of Smart devices (스마트 디바이스의 GUI 체감품질 정량화를 위한 평가모델 제안)

  • Lee, Chang-Geun;Shin, D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04-1706
    • /
    • 2015
  •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GUI는 품질 평가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동안 GUI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는 사용성 평가와 같은 주관적 관점의 평가가 대부분 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반응시간, 화면 움직임의 부드러움과 같은 항목으로 GUI의 체감품질을 정량화 할 수 있는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Shelf-life Prediction Model of Tofu Using Mathematical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수학적 정량평가 모델을 이용한 두부의 유통기한 예측 모델의 개발)

  • Shin Il-Shik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0 no.1
    • /
    • pp.11-16
    • /
    • 2005
  •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며 우리나라 전통식품 중의 하나인 두부의 유통기한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자 온도와 초기균수에 따른 두부 부패세균의 성장 실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근의 증식 지표인 최대증식속도상수(k), 유도기(LT), 세대시간(GT)은 온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균수에 따른 유의 적 인 차이 는 없었다(p<0.05). 최대증식속도상수와 온도 및 초기균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인 square root model을 이 용하여 두부 부패 세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surd}{\kappa}=0.016861(T+6.87095))$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치와 예측치의 상관계수는0.969이었다. 이 예측 정량평가모델로부터 예측한 최대증식속도상수와 두부의 관능적 부패시 점을 반영 한 Gompertz 변형 모델을 이용하여 두부의 유통기한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Spoilage-critrion(hr)=\frac{2{\times}Ln2+Ln[(Nmax/No)-1])}{k}$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