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기검진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8초

임플란트 식립 후 불편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to the Implant Patients Discomfort)

  • 윤현서;허수희;전진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5-332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보철 영역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임플란트 장착환자의 구강위생관리에 대한 인식과 불편, 불만감을 파악하고 임플란트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고 효율적인 구강위생관리를 위하여 부산, 울산, 대구지역의 20개소 임플란트 전문치과에서 임플란트 보철을 받은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플란트 보철 후 주요 관리로는 정기검진을 72.5%, 칫솔질방법이 17.3%이 많았으며, 남자에서 정기검진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p=0.027). 2. 하루 칫솔질 회수는 3회 56.7%, 2회 27.1%, 4회 12.3% 등의 순이었고 성별로 차이를 보였으며(p=0.005), 칫솔질 시기는 아침식사 후 79.6%, 저녁식사 후 71.7%, 점심식사 후 68.7%의 순으로 식후 칫솔질은 비교적 잘 이루어졌으나 취침 전 34.5%, 간식 후 3.9%는 칫솔질률이 낮았다. 아침식사 전은 남자가(p=0.062), 아침식사 후(p=0.041)와 저녁식사 후(p=0.036)는 여자가 각각 더 많이 하였다 3. 임플란트 보철 후의 불편 불만감은 음식물 끼임이 63.5%이 절대적으로 많았으며, 그 외에는 염증 출혈 3.6%, 이물감 2.8%, 저작능력 2.5% 등, 불편 불만감은 대체로 적었다. 4. 성, 연령, 동반질병 수 등을 보정하였을 때 불편 불만감은 보철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였고, 하루 칫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정기검진 빈도가 잦을수록, 보철 후 경과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다. 5. 정기검진 빈도는 칫솔질 교육을 받은 경우, 보철수가 많은 경우, 불편 불만감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보철 후 경과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임플란트 환자의 경우 불편감은 대부분이 음식물이 끼이는 것에 대한 내용을 미루어 생각해 볼 때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고 저작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구강관리교육과 더불어 체계적인 임플란트 환자 관리시스템을 갖추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노인의 구강보건행태와 행복지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Happiness Index in Elderly People)

  • 이현옥;박지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15-423
    • /
    • 2016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행복지수들(OHIP-14, 행복지수)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6년 6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따른 행복지수는 연령이 낮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행복지수는 칫솔질 횟수가 많고, 치과 정기검진을 하는 경우에서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하위개념 중 기능장애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세치제사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신체적 통증에서는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불편감은 성별, 칫솔질 횟수, 정기검진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리고 신체적 능력 저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능력 저하는 연령, 동거인 유무, 배우자 유무,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또한 연구대상자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동거인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OHIP-14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인들의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이 있고, 구강관련 삶의 질은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 및 행복지수를 높이는 데 필요한 다양한 노인구강향상프로그램 개발 등의 여러 사회적 방안이 요구된다.

숫자로 본 메디체크 - 정확성 높은 메디체크 위장 및 대장 질환 검진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8권9호
    • /
    • pp.4-5
    • /
    • 2014
  • 한국건강관리협회 메디체크는 높은 흡연율, 잦은 술자리와 각종 스트레스, 운동부족이라는 건강위험요소에 노출된 현대인들의 건강을 지키고자 정확하고 체계적인 위 대장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장 및 대장 질환 중에서도 위암과 대장암은 조기에 발견해야 완치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외에도 메디체크는 위장 및 대장 질환 유소견자나 경계인의 건강회복을 위해 식습관 및 생활습관 상담을 실시하는 등 국민건강증진에 앞장서고 있다.

  • PDF

일부지역 성인 환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가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Rated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 on Dental Fear in Some Areas Adult Patients)

  • 박충무;윤현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01-409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5월까지 일부지역치과에 내원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와 주관적 건강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치과공포감을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치과공포에서 회피요인은 여자, 40대, 고졸이하, 주부, 300-399만원, 생리적 반응요인은 여자, 40대, 주부, 200-299점, 자극유발유인 여자, 30대, 주부, 전체공포수준은 30대, 주부, 400-499만원에서 높았다.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공포감에서 치료회피요인은 구강검진을 하지 않고, 칫솔질방법이 틀린 경우, 생리적 반응요인과 자극반응요인은 검진을 하지 않고, 스케일링 경험이 없는 경우, 전체공포감은 검진을 하지 않고, 칫솔교환시기가 4개월 이상인 경우에서 치과공포감이 높았다. 치과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건강인식수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수준, 성별, 나이, 정기검진유무, 구강보건교육 경험유무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치과공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관적 인식을 개선하고 정기검진과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3.0시대 건강수명 120세를 위하여 2 - 당뇨병보다 무서운 당뇨 합병증 혈당 관리는 필수!

  • 김철중
    • 건강소식
    • /
    • 제38권11호
    • /
    • pp.10-13
    • /
    • 2014
  • 당뇨병은 심 뇌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위험요소로 잘 관리하지 않으면 당뇨병성 족부병증, 당뇨병성 망막질환, 심근경색증, 당뇨병성 신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한다. 당뇨 합병증은 방치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으므로 꾸준한 정기검진 및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예방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대표적인 질환이다.

  • PDF

Feel my body - 소화기 정기검진 나중으로 미뤄선 안 되는 이유

  • 임종필
    • 건강소식
    • /
    • 제39권9호
    • /
    • pp.14-15
    • /
    • 2015
  • 46세의 회사원 김씨는 구토 증상이 있어 도통 음식을 먹을 수가 없다며 내원하였다. 구토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한 결과 위암 중에서도 분화가 되지 않는 미만형(Diffuse type) 위암으로 진단되었다. 김씨는 슬하에 13살 난 아들과 10살 난 딸을 둔 한 집안의 가장이었다. 그래서 더욱 안타까운 상황이었다.

  • PDF

인간 Dock란? -조기진단과 합병증을 예방하는 종합 건강진단- (Human Dock)

  • 전산초
    • 대한간호
    • /
    • 통권4호
    • /
    • pp.88-90
    • /
    • 1963
  • 금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 건강진단센터가 설치되고 여기서 complete health examination(종합건강진단)을 하는 여러 가지 준비를 갖추어 환자를 받기 시작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인간$\ulcorner$독크$\lrcorner$라는 것이다 즉 periodic health examination(정기적 건강검진)과 periodic health evaluation(정기적 건강평가)을 하는 것이다.

  • PDF

치과 내원환자들의 스켈링과 정기검진 및 전화서비스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caling, regular check-up and dental telephone services in dental clinic patients)

  • 김윤정;김선영;김지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dental telephone services in dental clinic patient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20 dental clinic patients in G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11 to September 27, 2013. The data were analyzed by a descriptive analyses, ${\chi}^2$-test and relevant factors were determin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2.0. Results : The experience rate of scaling was 68.0% and the average number was $1.04{\pm}1.13$. The experience rate of regular check-up was 41.0% and the average number was $1.01{\pm}1.29$.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rate of scaling and regular checkup was higher than that in those who did not receive the services.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scaling were woman, utilization of dental telephone service and regular check-up were awareness, utilization of dental telephone service and reason of utilization of dental telephone service(preventive). Conclusions : The dental telephone service in dental patients improved oral health.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fessional dental hygiene program for oral health in dental patients.

계속적인 건강관리를 하는 성인들의 구강건강관리실태 및 구강보건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care Condition of Adult in Public Health and Their Knowledge about Oral Health)

  • 정미희;박미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3-79
    • /
    • 2007
  • 본 연구는 지속적인 건강증진을 위해 운동을 하는 대상자들의 건강관리 행위와 구강보건지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230부의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자들의 정기적인 건강검진경험 유무는 받는다 38.2%, 안받는다 61.8% 이었고, 정기적인 구강검진경험 유무는 받는다 30.7%, 안받는다 69.3%로 나타났다. 2. 대상자들의 구강보건교육경험의 유무는 받은 경험이 있다 11.8%, 받은 경험이 없다88.2%로 나타났다. 3. 대상자들 중 정기검진을 받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리실태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연령, 직업, 운동을 하는 이유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05). 4. 성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이를 닦는 시간은 3분정도가 적당하다에서 68.4%의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5. 연령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이를 닦는 시기는 매 식사 후와 잠자기 전이다(p = .032), 불소를 이용하면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다(p = .011), 충치를 유발하는 식품에는 초콜릿, 비스킷 등이 있다(p = .04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05). 6. 직업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이를 닦는 시간은 3분정도가 적당하다(p = .043)에서 68.4%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7. 정기적인 검진을 하고 있는 대상자와 구강보건지식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레진 강선 고정을 이용한 유전치 치근 파절의 보존적 치료 : 증례 보고 (CONSERVATIVE TREATMENT OF INTRA-ALVEOLAR ROOT FRACTURE OF PRIMARY INCISORS USING RESIN WIRE SPLINT : CASE REPORT)

  • 정지현;박재홍;김광철;최영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3-59
    • /
    • 2013
  • 유치 치근 파절의 치료는 정기 검진을 통해 관찰하거나 발치를 권유하고 있다. 특히 심한 동요도와 변위가 있는 경우 영구치 손상 가능성과 흡인의 위험성 때문에 주로 발치를 시행한다. 하지만 최근 재위치와 고정을 통한 보존적 치료가 새롭게 제시되고 있다. 이른 시기의 유전치 발치는 심미적 문제, 발음 저작 등의 기능적 문제, 공간 소실, 환아와 보호자의 심리 사회적인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야기하므로 치근 파절된 유치를 유지하는 것만큼 좋은 치료는 없다. 이 증례 보고는 치근 파절을 보이는 두 증례의 진단, 치료, 평균 27개월의 정기 검진 자료를 토대로 심한 동요도와 변위가 있는 유치 치근 파절의 보존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두 증례에서 발치 대신 재위치와 장기간의 레진 강선 고정을 시행하였고, 후속 영구치가 맹출 할 때까지 정기검진을 시행하였다. 정기검진과정 중에 동통, 치수괴사, 감염, 영구치 치배 변위, 맹출 이상 등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