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규 흐름 형상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erodynamic Load Analysis for Wind Turbine Blade in Uniform Flow and Ground Shear Flow (균일 흐름과 지상 전단 흐름에 놓인 수평축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공력 하중 비교)

  • Kim, Jin;Ryu, Ki-Wah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87-390
    • /
    • 2007
  • Recently the diameter of the 5MW wind turbine reaches 126m, and the tower height is nearly the same with the wind turbine diameter. The blade will experience periodic inflow oscillation due to blade rotation inside the ground shear flow region, that is, the inflow velocity is maximum at uppermost position and minimum at lowermost position.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aerodynamic data between two inflow conditions, i.e, uniform flow and normal wind profile. From the computed results all of the relative errors for oscillating amplitudes increased due to the ground shear flow effect. Especially My at hub and $F_x$, $M_y$, $M_z$ at LSS increased enormously. It turns out that the aerodynamic analysis including the ground shear flow effect must be considered for fatigue load analysis.

  • PDF

Development of Graphic User Interface for the Analysis of Horizontally Two-dimensional Open Channel Flow (평면 2차원 흐름 해석을 위한 GUI 개발)

  • Kim, Tae Beom;Kim, Il Hwan;Han, Jong Hyeong;Oh,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4-264
    • /
    • 2019
  • 개수로 흐름 해석을 위해 수치모형을 적용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 격자망을 구성하는 일이다. 불규칙한 형상의 자연수로를 모의할 때 격자망 생성은 쉬운 일이 아니며, 따라서 가시적으로 격자망 생성을 돕고, 격자망의 수정도 용이한 도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심적분된 흐름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하여 개수로 흐름 해석을 용이하게 하고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격자망은 기본적으로 사각형과 삼각형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한차분모형 등에서는 정형사각형 격자망을, 유한요소모형에서는 비정형 사각형 및 삼각형 격자망 또는 혼합망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산점(scatter points)이나 절점(node points)을 생성하거나 기존의 자료를 불러들여 삼각망 또는 사각망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연속선(polylines)을 작성하여 형성된 폐다각형(polygones)을 이용하여 정규 또는 비정규의 삼각망 또는 사각망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두 점사이를 선형 또는 반원 형태로 편향 정도(biased value)를 설정하여 원하는 개수만큼 나눌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격자형성이 가능토록 하였다. 기존 상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격자를 불러들여 활용 가능하며,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지형도나 위성사진을 띄어놓고 이미지 상에서 격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마우스를 이용하여 화면의 이동, 확대 및 축소와 점, 선, 요소의 생성 및 선택이 가능하다. 본 프로그램은 Qt와 modern OpenGL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뿐만 아니라 Mac OS, Linux 버전의 설치 파일 작성이 가능하다.

  • PDF

초음속 마이크로노즐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위한 공정변수의 최적화

  • Song, U-Jin;Jeong, Gyu-Bong;Cheon, Du-Man;An, Seong-Hun;Lee,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38.2-38.2
    • /
    • 2009
  • 마이크로노즐은 우주공간에서 인공위성의 자세를 바로잡는 데 필요한 마이크로 로켓에 들어가는 필수적인 부품이다. 마이크로 노즐은 또한 나노입자 적층 시스템(nano-particle deposition system, NPDS)에 들어갈 수 있다. NPDS는 세라믹 또는 금속 나노분말 입자를 노즐을 통해 초음속으로 가속시킨 뒤 상온에서 이를 기판에 적층시키는 새로운 시스템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NPDS에 쓰이는 노즐을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론 스케일의 목을 갖도록 한 마이크로노즐을 제작하는 데 있다. 보쉬 공정은 이러한 마이크로노즐을 제작하는데 필수적인 공정으로, 유도결합플라즈마를 이용해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보쉬 공정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기체는 $SF_6$$C_4F_8$인데, 이 두 가지 기체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여 실리콘 웨이퍼를 이방성 식각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보쉬 공정에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며 이를 적절히 통제하면 마이크로노즐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실리콘 웨이퍼 내에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쉬 공정을 이용하여 3차원 마이크로 노즐을 제작하였다. 기존에 반응성이온식각(deep reactive ion etching, DRIE) 공정을 통해 마이크로노즐을 제작한 사례가 많이 보고되었지만 이들은 모두 2차원적으로 마이크로노즐을 제작하였다. 2차원적으로 제작한 마이크로노즐은 마이크로 로켓에 주로 사용되었지만, 초음속으로 가속된 분말이 노즐의 형상으로 인한 유체 흐름의 불안정성 때문에 NPDS에서는 오래도록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노즐을 3차원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 PDF

A Constitutive Model for Soil Using Mohr-Coulomb Criteria (Mohr-Coulomb식(式)을 사용한 흙의 구성(構成)모델)

  • Lee, Hyung Soo;Lee, Byung D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6
    • /
    • pp.1405-1415
    • /
    • 1994
  • The soil on the behavior of the nonlinear elastic work-hardening plasticity has a variety of stress paths due to the state of soil and the test conditions. The soil with a specific volume ${\upsilon}$ in principal stress space (${\sigma}_1$, ${\sigma}_2$, ${\sigma}_3$, and ${\upsilon}$v) displays the shape of an irregular hexagonal pyramid with an end cap. With variations of ${\upsilon}$ the size of the cap is changed but its shape remains unchanged and the movement of the cap is controlled by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plastic volumetric strain. By reflecting such a property of soil various cap models have been developed by researchers. In this thesis, a constitutive model of soil with a combination of the nonlinear elastic work-hardening plastic cap and the failure surfaces of Mohr-Coulomb (M-C cap model)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the results of analyses using the work-hardening plastic cap model, the normally consolidated soil under shearing has experienced the work-hardening and plastic flow (movement of the cap). But in the shearing of the overconsolidated soil the elastic behavior is shown until the stress path has reached the failure surface and the cap does not mo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