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합부 설계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5초

노출형 철골기둥-베이스 플레이트 접합부의 내력평가를 위한 수치적 연구 (The Numerical Study on Capacity Evaluation of Exposed Steel Column-Base Plate Connection)

  • 이광호;유영찬;최기선;구혜진;유미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26-34
    • /
    • 2016
  • 철골기둥-베이스 플레이트 접합부의 파괴유형은 베이스 플레이트 압축면과 인장면의 휨파괴, 앵커볼트의 인장파괴, 뽑힘, 전단파괴,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파괴 및 철골기둥의 소성힌지발생에 따른 파괴이다. 본 연구에서는 핀접합 또는 강접합으로 가정하여 설계되는 노출형 철골기둥-베이스 플레이트 접합부가 받을 수 있는 모멘트의 크기를 구하기 위하여, 한계상태 함수를 이용하여 철골기둥-베이스 플레이트 접합부의 휨성능 및 파괴유형을 예측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한계상태함수를 이용하여 노출형 철골기둥-베이스 플레이트 접합부의 휨성능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범위는 축력이 있는 경우, 앵커볼트의 항복 또는 철골기둥의 항복으로 판별되었을 때이며 축력이 없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항복으로 판별된 경우이다. 파괴유형까지 같이 고려할 경우, 축력이 있으며 앵커볼트의 항복으로 판별된 경우에만 한계 상태함수의 사용이 가능하다.

개선소성힌지해석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반강접 강골조의 이산최적설계 (Discrete Optimum Design of Semi-rigid Steel Frames Using Refined Plastic Hinge Analysis and Genetic Algorithm)

  • 이말숙;윤영묵;강문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통권69호
    • /
    • pp.201-21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과 보-기둥 접합부, 부재, 그리고 구조물 전체의 재료 및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을 고려할 수 있는 개선소성힌지해석 방법을 접목시킨 평면 반강접 강골조 구조물의 최적설계법을 제안하였다. 개선소성힌지해석에서는 강골조 구조물의 기하학적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해 보-기둥 요소의 안정함수를 사용하였으며, 재료적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해 잔류응력, 소성힌지, 반강접 접합부 그리고 기하학적 불완전성 등에 의한 점진적인 강성감소모델을 사용하였다. 최적설계시 마이크로 유전자 알고리즘과 재생산을 위한 개체 선택 도구로 토너먼트 선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적합도 함수는 목적함수 및 벌칙함수로 나타낸 무제약 함수값의 조합으로 구성하였다. 목적함수로는 구조물의 중량을, 제약조건으로는 하중-저항능력, 사용성, 연성도, 그리고 시공성에 관한 기준을 사용하였다. 강접 및 반강접 접합부를 갖는 강골조 구조물의 최적설계결과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전단탭이 없는 상·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의 접합부상세 제안 (Proposal of Connection Details for a Double Split Tee Connection Without a Shear tap)

  • 양재근;이형동;김용범;배다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423-433
    • /
    • 2015
  •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는 보-기둥 모멘트 접합부로써 T-stub 플랜지의 두께, 고장력볼트의 게이지 거리, 고장력볼트의 개수 및 직경 등의 영향에 따라서 상이한 거동특성을 나타낸다.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는 일반적으로 접합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는 T-stub이 지지하고 전단력은 전단탭이 지지하는 것으로 이상화되어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중 저층 규모의 강구조물에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가 적용되는 경우, 작은 규격의 보 부재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 웨브에 전단탭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이 보 웨브에 전단탭을 설치할 수 없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가 충분한 전단력 지지능력을 갖도록 하는 접합부 상세를 제안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에 대한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중력하중을 받는 SRC기둥-합성보 접합부 실험 (Test of SRC Column-to-Composite Beam Connection under Gravity Loading)

  • 김영주;배재훈;안태상;장성훈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41-45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중력하중을 받는 SRC기둥과 합성보 접합부의 정적실험을 수행하였다. 합성보는 H형단면과 U형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 5개의 실대형 실험체를 설계하여 실험변수, 즉, H형단면 크기, 스터드커넥터의 유무, 스티프너와 상부근의 유무 등이 접합부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H형단면과 U형단면의 용접접합부의 구조성능을 초기강성, 내력 및 변형능력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로그 모델을 사용한 반강접 철골 골조의 탄성 해석 (Elastic Analysis of Steel Frame with Semi-rigid Connections using the Log Model)

  • 이상섭;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통권48호
    • /
    • pp.527-535
    • /
    • 2000
  • 철골 구조물의 접합부는 전통적으로 강접 혹은 단순 접합으로 이상화하여 설계되어 졌으나 많은 연구를 통해 이러한 모델링이 불합리할 수 있음이 밝혀져 왔다. 골조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 부재의 2차효과($P-{\delta}$효과) 및 구조물 전체의 2차효과($P-{\Delta}$효과)의 고려가 필수적이고, 무엇보다도 접합부의 고유한 강성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실험을 통해 얻은 접합부의 모멘트-회전각을 골조 해석시 있는 그대로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기 위해 모멘트-회전각을 표현할 수 있는 단일 수식의 개발이 필요하며 지금까지 다양한 수식이 개발되어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하학적효과 및 접합부 강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이론을 통해 유도한 접합부의 강성행렬에 모멘트-회전각 관계를 표현하는 수정지수 함수 모델, 멱함수 모델 그리고 제안한 로그함수 모델을 사용하여 골조 해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해 유도된 강성행렬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 제안한 로그함수의 유효성을 밝히고자 한다.

  • PDF

그린 프레임의 기둥접합부 특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lumn Connec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Frame)

  • 김근호;이택운;이성호;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5-425
    • /
    • 2012
  •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수월성, 장수명화, 자원저감, 친환경 구조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라멘구조인 그린프레임 공법이 개발되었다 그린프레임의 주요 구조부재인 합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는 접합부 철골과 콘크리트에 의한 접합으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린프레임의 접합부는 그 형상에 따라 네 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종류에 따라 각기 접합 특성과 시공방법이 다르다. 현장상황에 적합한 기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기둥 종류별 접합부 특성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둥 종류별 접합부의 공기, 원가, 품질, 안전성능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GF 공법의 설계단계에서 프로젝트 특성을 반영한 적정 합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선정하는데 활용된다.

돔 분리형 연소관의 접착 길이에 따른 체결부의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joint part by adhesive length of a composite pressure vessel with separated dome)

  • 전광우;신광복;황태경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33-937
    • /
    • 2011
  • 돔 분리형 복합재 연소관의 접합 체결부 최적의 설계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접합부 길이변화에 따른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접착 체결부의 길이는 50mm에서 300mm의 범위를 갖는다. 무응력상태의 초기 접합부 길이대비 응력구배가 발생하는 구간의 길이를 "응력구배 길이 비"로 정의하고 이를 목적함수로 선정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접착 체결부의 길이가 200mm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응력구배 길이 비의 증가가 서서히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접착 체결부에 적용되는 2,500psi 내압에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최적화된 접착 체결부의 길이가 200mm임을 의미한다.

  • PDF

비내진설계된 우리나라 RC 외부 접합부의 횡저항 능력에 관한 실험 (Experiments of the Lateral Loading Capacity of Exterior Joints of Non-seismically Designed RC Frames in Korea)

  • 이영욱;박형권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29-36
    • /
    • 2010
  • 국내 비내진 설계된 RC 골조 외부접합부의 횡저항 능력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1988년 이후의 건물을 대상으로 실물 크기의 70%의 T형 보-기둥 실험체 4개를 제작하여 보에 횡력을 가력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작용한 횡력은 총 9단계로 변위를 조절하여 최대 횡변위비 3.5%까지 가력하였고, 각 변위 단계마다 3싸이클의 반복하중을 가력하였다. 실제의 상황과 유사하게 하기 위하여 실험동안 기둥에 압축력을 지속적으로 작용하였다. 실험 결과, 부재가 휨 공칭강도에 도달하여야 하는 내력에 비하여 실험 결과는 85%이하로 나타났고 층간변위비 0.85% 미만에서 모든 실험체의 접합부에서 전단균열이 발생하여 국내 외부접합부가 취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접합부 균열발생시 주응력-층간변위비는 Priestly의 제안식과 유사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