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합물질

Search Result 2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lectrode Bonding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High Density Rechargeable Battery Using Induction Heating System (유도 가열 접합 시스템을 이용한 대용량 이차전지 전극의 접합 방법 및 특성)

  • Kim, Shin-Hyo;Kim, Eun-Min;Cho, Dea-Kwe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7
    • /
    • pp.2-1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기자동차 및 소형 레저용 선박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 중인, 대용량 이차전지의 용량 증대를 위하여 필요한 내부 전극 접합 기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종래의 초음파 용접으로 적층할 수 있는 적층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극 소재에 직접 가열을 통한 용접 방법이 아닌 용가제 금속을 적용하여 전극을 접합시켜, 통전성과 인장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열적요인으로 인한 전극표면에 화학적 활성물질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온 접합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부연하여 용접을 위하여 무리하게 출력을 상승시킬 경우 용접열의 영향으로 전극의 변형 및 활성물질의 변성을 야기함과 동시에 최종 페키징 이후 출력저하, 발열 등, 배터리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통한 유도 가열 방식의 접합 방법과 용융 도금을 통한 용가제 금속의 전처리를 통한 종래와는 차별화된 전극접합 방법을 소개한다.

  • PDF

Heteroepitxial p-n 접합을 위한 합리적 물질 설계

  • Lee, Sang-Hun;Lee, Tae-Il;Hwang, Seong-Hwan;Hwang, Seong-Hwan;Myeong, Jae-M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86.2-86.2
    • /
    • 2012
  • 산화금속은 높은 결정성, quantum size effect, 높은 투과도, 대기중의 안정도 등과 같은 탁월한 성질들로 인하여 오늘날 실리콘의 대체물로서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산화물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며 대량 생산하기 위한 합성방법으로 가수분해, 금속양이온 응축법과 같은 다양한 수용액상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2차원 단일 층에 나노물질을 정렬하고 전기적 접합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나노물질을 기판 위에 자유롭게 성장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많이 보고 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저온의 수용액에서 1차원의 나노막대가 2차원의 스피넬 구조 위에 heteroepotaxial 접합을 이루며 성장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P-n접합 형성을 위하여 (0001)방향으로 배향된 n-type ZnO 나노막대를 (111)방향의 p-type Co3O4 나노플레이트 위에 성장시킨 구조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이오드소자를 제작하여 ideal factor, turn-on voltage, rectifying ratio등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A stable solid state quantum dot sensitized solar cell with p-type CuSCN semiconductor and its dopping effect

  • Kim, Hui-Jin;Seol, Min-Su;Yong, G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378-3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ZnO 나노선 기판을 제작하여 그 위에 밴드갭이 낮은 물질인 CdS, CdSe를 증착시킨 후 p-type 반도체 물질인 CuSCN을 증착시켜 안정성이 향상된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ZnO 나노선 기판은 투명한 FTO 기판 위에 ZnO를 진공증착시켜 seed layer를 제작하고 그 위에 $10{\mu}m$정도의 길이의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킨 후, 밴드갭이 낮은 CdS, CdSe 물질과의 다중접합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이러한 나노선 구조위에 chemical solution deposition을 이용하여 ${\beta}$-CuSCN을 형성시켰다.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는 ZnO 나노선을 photoanode로 이용하고 ZnO 나노선은 암모니아수와 아연염을 이용한, 비교적 저온의 수열합성법을 통해 합성하였고, sensitizer로 쓰인 CdS, CdSe 물질은 CBD방식을 통하여 합성된 나노선 위에 in-situ로 접합시켰다. 또한, 기존의 액체전해질을 이용한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type의 반도체 물질인 CuSCN물질을 propyl sulfide를 이용, ${\sim}80^{\circ}C$의 열을 가하여 in-situ 방식으로 다공성 구조에 효율적으로 접합이 가능하도록 deposition하였다. 일반적으로, CuSCN film은 홀 전도체로서의 장점을 지닌 반면, 전도성이 낮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제를 이용, 농도에 따라서 전도도가 향상되고 셀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합성된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EM), X-선 회절(XRD), 솔라시뮬레이터 등의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태양전지로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시간에 따른 셀의 특성변화도 비교하였다.

  • PDF

열처리 시간 변화에 따른 유기태양전지의 특성 변화

  • Choe, Cheol-Jun;Yang, Hui-Yeo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445-445
    • /
    • 2013
  • 유기태양전지는 간단한 제조공정, 낮은 제조단가, 가벼운 무게 및 우수한 유연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응용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종접합 유기태양전지의 광전 변환효율이 낮기 때문에 유기태양전지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광전변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효율을 증진하기 위하여 열처리 시간 변화에 따른 이종접합 유기 태양전지의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전자 주게 물질인 P3HT와 전자 받게 물질인 PCBM 물질을 특정용매에 녹여 패턴화된 ITO를 코팅한 glass 기판 위에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glass/ITO/PEDOT:PSS/P3HT:PCBM/Al 구조를 가진 이종접합 유기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UV-Vis 분광학, X-선 광전자 분광학 및 원자힘 현미경 측정을 하여 제작한 소자의 광학적 및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종접합 유기태양전지의 우수한 광흡수율과 평탄한 표면을 가지는 최적화 조건을 열처리 시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제작한 소자들을 열처리를 하지 않은 소자와 다양한 시간 동안 열처리를 한 소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제작한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최대의 광전 변환효율을 가지는 최적의 열처리 조건을 결정하였다. 열처리를 할 경우 열처리를 하지 않은 소자보다 광전 변환효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생물의 성 pheromone

  • 정영기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 no.1
    • /
    • pp.11-19
    • /
    • 1992
  • pheromone은 생물의 체내에서 합성되고 체외로 분비되어 동종개체에 작용함으로써 특정의 생리적 변화를 유발하는 물질이다. 생물 중에서는 성장의 어느 단계에서 pheromone과 같은 물질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단세포생물에서 세포 외로 분비하여 2개의 세포를 서로 접합시키는 물질이 있는데 이러한 물질을 성pheromone이라 부르고 있다. 특히, 효모 버섯, 조류, 섬모충류에서 연구되고 있다. 효모는 성접합형을 달리하는 두 균주가 상호pheromone을 분비, 수용하여 성분화를 행하여가고 있다. 그리고 세균에 있어서도 pheromone 양상의 물질이 세포 외로 분비되고 이 물질에 의하여 세균의 생리적 조건에 영향을 주는 예가 있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미생물의 성 pheromone에 대하여 크게 나누어 보면 지용성 성 pheromone과 수용성 성 pheromon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세균과 자낭균효모, 담자균효모유래의 성 pheromone 중 peptide(수용성) 성 pheromone에 대해서만 집약하였다.

  • PDF

Field Emission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on Metal Binder/Glass Substrate

  • Jo, Ju-Mi;Lee, Seung-Yeop;Kim, Yu-Seok;Park,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86-386
    • /
    • 2011
  • 탄소나노튜브는 큰 길이 대 직경 비와 뛰어난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전계 방출 소자로 주목 받고 있다. 실질적인 전계방출 디스플레이로의 응용을 위한 대면적 제작과 유리 기판 사용을 위해 이용되었던 페이스트(paste)법은 높은 전기장 하에서 장시간 전계방출시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과 페이스트(paste)간의 낮은 접착력 때문에 발생하는 탄소나노튜브의 탈루현상(omission)과 유기물질(organic paste)에서 발생하는 탈기체(out-gassing)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기물질(organic paste)를 대체하여 금속바인더(metal binder) 물질을 사용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기판 위에 제작된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의 수명 향상을 위하여 금속바인더와 후속 열처리법의 변화에 따른 전계방출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금속바인더는 접합층/ 접착층(soldering layer/ adhesive layer)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소다석회유리(soda-lime glass)에 스퍼터(DC magnetron sputtering system)를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접착층은 유리기판과 접합층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접합층은 기판과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을 접합하는 역할과 전계방출 측정시 전극이 되기 때문에 우수한 전기 전도성과 내산화성을 필요로 한다. 본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리기판과 접착력이 좋다고 알려진 Cr, Ti, Ni, Mo을 접착층으로 사용하였으며, 접합성과 전기전도성, 내산화성이 뛰어난 귀금속 계열의 금속을 접합층으로 사용하였다. 탄소나노튜브를 1,2-디클로로에탄(1,2-dichloroethane, DCE)에 분산시킨 용액을 스프레이방법을 이용하여 증착시켰으며, 후속 열처리 방법을 통하여 접합층과 결합시켰다. 금속바인더와 후속 열처리법의 변화에 따른 접착력과 표면형상(morphology)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이오드 타입에 디씨 바이어스(DC bias)를 사용하여 전계방출특성을 측정하였다[1,2].

  • PDF

Study on the Change of Physical Characteristics by Polarity and Additives of SiC DPF Binder for Diesel Engine Application (디젤엔진에 적용하기 위한 SiC DPF용 접합제의 극성 및 첨가물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Jinwon;Ryu, Yo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7
    • /
    • pp.974-981
    • /
    • 2019
  • Fine dust has become a significant social problem. Diesel engines are used as the main propulsion power source in ships. This study introduces a 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that is used as an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for diesel engine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known as diesel fine dust. Two materials are used for the DPF: Cordierite and silicon carbide (SiC).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inder used in the SiC DPF, cordialite was used instead of the SiC-based materials used as the conventional binder to evaluate the thermal durability against high-temperature deformation through the change o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ilica sol, a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coating solution for determining the bond between the binder and the segment, were confirmed. Based on this, the change effect of the binder physical properties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by either adding a silane coupling agent or SiC to increase the reactivity of the silica sol.

이달의 과학자 - 성균관대 약학부 이강춘 교수, 단백질 의약품에 변형물질 결합 차세대 새로운 치료제개발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4 s.383
    • /
    • pp.22-23
    • /
    • 2001
  • 성균관대학교 약학부 이강춘 교수는 생물접합기술분야의 연구로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과학자이다. 이 교수가 연구하고 있는 생물접합기술은 기존의 단백질 의약품에 또 하나의 생리활성 변형물질을 결합시키는 분자구조변형을 통해 원하는 치료특성을 체내 내에서 발현토록 하는 단백질 의약품의 차세대 치료제의 개발이다.

  • PDF

n-type ZnO 위 수직 성장된 p-type ZnO 나노와이어 구조의 동종접합 다이오드

  • Hwang, Seong-Hwan;Lee, Sang-Hun;Mun, Gyeong-Ju;Lee, Tae-Il;Myeong, Jae-M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87.1-87.1
    • /
    • 2012
  • 넓은 밴드갭 (3.37eV)과 높은 엑시톤 결합에너지 (60meV)를 가지는 ZnO 물질은 ultra violet light 센서 및 light emitting diode (LED)의 재료로써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나노와이어 구조를 이용하여 소자를 만들 경우 양자효과와 1차원적 캐리어 수송경로 효과로 인하여 그 특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이종접합 p-n 다이오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ZnO와 격자상수가 비슷한 GaN, NiO, CoO와 같은 물질들이 나노구조 접합에 많이 쓰이고 있지만, 격자상수 차이로 인해서 접합부분 캐리어 수송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n-type과 p-type ZnO를 만들어 동종 접합을 만들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지만, 도핑되지 않은 ZnO가 n-type을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정적인 p-type ZnO 합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p-type ZnO 합성을 위해서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phosphorus (P) 도핑을 하였고, 나노와이어 diode 구조를 만들었다. P 도핑으로 인한 격자상수 변화는 x-ray diffraction (XRD)를 사용하여 확인하였고,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를 통해 도핑 원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때의 recification ratio, turn-on voltage 등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