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아말감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광중합 Glass Ionomer Cement와 Amalgam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D STRENGTHS OF LIGHT-CURING GLASS IONOMER CEMENTS TO DENTAL AMALGAM)

  • 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7-364
    • /
    • 1996
  • 소아치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3 종의 광중합형 GIC의 아말감에 대한 접착능을 평가 할 목적으로 60 개의 아말감 부착시편을 이용하여 중간결합제인 Scotchbond 의 사용여부에 따른 경화된 아말감에 대한 광중합 GIC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경계부의 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말감에 대한 광중합형 GIC의 전단강도는 Fuji II LC, Vitremer, Vitrebond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중간결합제인 Scotchbond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서 Scotchbond 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결합파절면은 Scotchbond를 사용한 경우의 대부분에서 Scotchbond와 아말감의 경계부에서 시편의 탈락이 나타났다. 아말감과 광중합 GIC의 결합을 시도할 경우에는 Scotchbond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유구치 아말감 수복물에서 레진 접착성 이장재의 미세 변연 누출에 관한 비교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MICROLEAKAGE OF AMALGAM USING RESIN ADHESIVE LINERS IN PRIMARY MOLAR TOOTH)

  • 김종태;최병재;이제호;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01-41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arginal leakage of resin liner which was used as a liner to amalgam restoration. Control group composed of no liner group, copalite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All-bond 2, Vitrebond, Superbond D-liner applied groups were evaluated. Cl.V preparation with a size of $3{\times}2{\times}1.5mm$ on 70 extracted primary molars were made and applied appropriate liners for each groups. After amalgam filling and polishing, polished specimens underwent temperature changed from $5^{\circ}C\;to\;55^{\circ}C$ a thousand times. After thermocycling, specimens were placed in 2% methylene blue dye solution for 72 hours in an incubator set at $37^{\circ}C$. The teeth were sectioned buccolingually and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was observed with a spectroscopy. (${\times}3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Vitrebond, All-bond 2, Superbond D-liner group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no liner and copalite group. (Kruskal-Wallis analysis, P<0.05) 2. No liner group and copalite group exhibited a similar degree of dye penetration. (Mann-Whitney analysis, P>0.05) 3. All-bond 2 group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Vitrebond group, (Mann-Whitney analysis, P<0.05) Superbond D-liner group also exhibited a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Vitrebond group bu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Mann-Whitney analysis, P>0.05)

  • PDF

고려시대 금동제십일면천수관음보살좌상의 보존처리 및 제작기술 연구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a Seated Avalokiteshvara with a Thousand Hands of Goryeo Dynasty)

  • 곽홍인;권미혜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3-258
    • /
    • 2019
  •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고려시대 금동제십일면천수관음보살좌상(金銅製十一面千手觀音菩薩坐像)을 대고려 특별전 전시를 위해 보존처리 하였다. 보존처리를 위해 성분분석(XRF)과 제작기법(CT)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관음보살상은 Cu-Sn-Pb 삼원계 청동으로 합금하였고, 들떠 있는 도금 층을 제외한 표면은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하였다. 관음보살상의 몸체와 좌 우측팔, 손목(지물을 든 손 포함)을 별도로 주조하여 붙였다. 특히 각각의 지물을 정교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손목을 하나하나 별도로 주조하여 끼워서 철 못으로 고정하였다. 관음보살상 내부에는 5개의 철심[머리(2), 왼쪽 팔꿈치(1), 오른쪽 가슴(1), 오른쪽 허리(1)]이 확인되었다. 보존처리는 바탕 금속을 보호하고 들떠 있는 도금 층을 접착하기 위하여 천연접착제[우뭇가사리, 아교(20%)]와 알코올을 혼합하여 접착하였다. 관음보살상의 손상된 부분은 합성수지(CDK 520+SN-시트)를 사용하여 불상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복원하였다. 재질 분석과 보존처리를 통하여 천수관음보살좌상의 안전한 상태로 연구와 전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