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목선인장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9초

밝은 진적색 비모란 접목선인장 '다홍' 육성 (A New Grafted Cactus 'Dahong' with Bright Dark Red Color)

  • 박필만;정명일;이동우;김영진;김원희;이은경;김성태
    • 화훼연구
    • /
    • 제16권3호
    • /
    • pp.196-199
    • /
    • 2008
  • 접목선인장 신품종 '다홍'은 흑적색의 '9508021'계통을 모본으로 진적색의 '진홍'을 부본으로 2002년에 교배한 후대이다. 2003년 기외에서 접목한 후에 2006년까지 3회에 걸쳐 그 특성이 조사되었다. 구는 진적색의 편원형이며, 가지자리에 같은 색의 자구가 모구하부에 정연히 착생된다. 또한 몸체에 8~10 결각이 있으며, 회색의 반직립 가시를 가지고 있다. 자구 착생수는 평균 13.6개로 10.4개의 대조품종 '진홍'보다 우수하였다.

2단 벤치를 활용한 담배수 관수 시스템이 수경재배 비모란선인장 '이홍'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bb-and-flow System with Double-tier Bench on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Gymnocalycium mihanovichii 'I-Hong')

  • 박기영;이정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2-138
    • /
    • 2023
  • 비모란선인장은 한국 화훼산업에서 중요한 품목으로 해외 수출량이 많지만 생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비모란선인장의 수경재배와 토경재배 방법에 따른 생육과 수량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모란선인장(Gymnocalycium mihanovichii) '이홍'을 이용하여 실증농가에서 생육 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비모란선인장에서 ebb and flow 재배방식을 1단과 2단(상·하단) 재배방법으로 벤치 수를 달리하여 여러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경재배 방법에 따라 비모란선인장 생육에 다소 차이가 있어 ebb and flow 재배방식인 1단 재배방법은 구경과 생체중에서 토양재배보다 생육이 좋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ebb and flow 재배방식인 2단(상·하단) 재배방법은 구경과 생체중에서 생육량은 떨어지지만 단위 면적당 생산량 증가로 상품수량을 크게 늘렸다. 재배방법에 따라 일부 색상의 차이가 있었지만 외관으로는 큰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모란선인장의 효율적인 생산량 증대를 위해 ebb and flow 재배방식인 2단 재배방법과 같은 재배기술이 농가에 지속적으로 보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접목선인장의 생육 억제에 미치는 CCC, Diniconazole 처리 효과 (Effects of CCC and Diniconazole on the Growth Retarding of Grafted Cactus)

  • 최이진;정명일;김미선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34-238
    • /
    • 2008
  • 본 연구는 수출용 접목선인장의 연중 출하물량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목적으로 생장억제제인 CCC와 diniconazole을 처리하여 접목선인장의 생육을 단기간 억제하는 방법을 알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비모란선인장에 diniconazole을 처리하여 구경을 조사한 결과 약 1.1mm 정도 구경이 감소하였으며 자구수는 무처리의 경우 7.2개였으나 $100\;mg{\cdot}L^{-1}$ 처리에서 6.4개로 자구수 감소에 유의성이 있었다. 산취선인장의 CCC 처리 30일 후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구경, 구고, 자구수 등에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150\;mg{\cdot}L^{-1}$ 처리의 경우 무처리 보다 구경이 3.3 mm, 구고가 13.4 mm 감소하였다. 따라서 산취선인장 정식 후 재배과정에서 출하시기를 조절할 목적으로 생장억제제를 시용할 경우 $150\;mg{\cdot}L^{-1}$ CCC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밝은 진적색 비모란 선인장 '고홍' 육성 (A New Gymnocalycium mihanovichii 'Gohong' with Bright Red Color)

  • 박필만;정명일;김영진;김원희;이은경;김성태;유봉식
    • 화훼연구
    • /
    • 제17권3호
    • /
    • pp.197-200
    • /
    • 2009
  • 접목선인장 신품종 '고홍'은 진적색의 'DR' 계통을 모본으로 진적색의 '설홍'을 부본으로 2004년에 교배하여 개발되었다. 이 품종은 처음 기내에서 파종한 후 유묘를 무병삼각주에 접목하고 100 mL 시험관에 정식하여 6개월을 재배하였다. 2005년에 기외에서 접목한 후에 2008년까지 3회에 걸쳐 그 특성이 조사되었다. 구는 진적색의 편원형이며, 몸체에 8~10개의 결각이 있으며, 회색의 직립 가시를 가지고 있다. 구의 직경은 44.1 mm로 대조 품종 '설홍'에 비해 구가 크고 생육 속도도 빠르다. 지구 착생수는 평균 12.1개로 12.2개의 대조 품종 '설홍'과 유사하다.

밝은 황색 비모란 선인장 '황운' 육성 (A New Gymnocalycium mihanovichii 'Hwangun' with Bright Yellow Color)

  • 박필만;김원희;이은경;김성태;정명일;유봉식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291-294
    • /
    • 2010
  • 접목선인장 신품종 '황운'은 해외 수출용 목적으로, 황색과 오렌지색을 가진 복색의 '황월' 품종을 모본으로 황색의 계통 '0111021'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2008년에 개발되었다. 이 품종은 처음 기내에서 무병삼각주에 접목된 후 100 mL 시험관에 정식되어 6개월간 생육되었다. 2005년에 기외에서 접목한 후에 2008년까지 3회에 걸쳐 그 특성이 조사되었다. 구는 황색의 편원형이며, 몸체에 7~9개의 결각이 있으며, 갈색의 직립형 가시를 가지고 있다. 10개월간 재배되었을 때 구의 직경은 40.9 mm로 대조 품종 '후광'에 비해 구가 작고, 자구 착생수는 평균 22.3개로 '후광' 품종에 비해 우수하였다.

접목선인장 산취 '희망'의 동절기 온도처리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Winter Growth in Grafted Cactus (Chamecereus silvestrii) 'Hee-Mang')

  • 남상용;소창호;박선미;조창휘;박인태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141-145
    • /
    • 2009
  • 동절기 산취(Chamecereus silvestrii) '희망'의 주 야 온도를 달리하며 처리한 결과 초장은 주간온도 $20^{\circ}C$와 야간온도 $15^{\circ}C$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구경은 주간온도 $25^{\circ}C$에서 구직경과 구고의 생육이 우수하였고, 주간온도 $25^{\circ}C$에서는 모든 야간온도에서 구직경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구고는 주간온도 $25^{\circ}C$에서는 $20^{\circ}C$에 비해 야간온도가 $25^{\circ}C$로 높을수록 생육이 좋았다. 주 야간온도 조합의 합산온도가 높을수록 구직경과 구고신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색도에서 Hunter 'a' 값은 야간온도가 높을수록 낮아졌으나 'b' 값은 높아져 야간온도가 높으면 탁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구직경과 구고변화의 증가가 다시 시작되는 기점은 정식 후 15일로 나타났다.

수송 전 Diniconazole과 D-mannitol, D-sorbitol, Wax의 혼용 살포에 따른 접목 선인장 산취의 품질과 표피의 변화 (Quality and Epidermal Changes of Chamaecereus silvestriiafter the Spray of the Mixtures of Diniconazole and D-mannitol, D-sorbitol, Wax before Transportation)

  • 박선미;남상용;이병철;이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4-149
    • /
    • 2011
  • 본 연구는 품질증진제 처리가 산취(Chamaecereus silvestrii) '희망'의 모구품질과 표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생체중은 D-sorbitol 처리구보다 D-mannitol 처리구에서 감소율이 낮아 효과적이었다. Diniconazole 200ppm처리는 산취의 자구생육을 어느 정도(수치화) 억제하여 장기수송(50일)에 더 적합하였으며 자구색의 발현 어느 정도(수치화)에도 효과적이었다. 산취 모구의 표피구조는 비모란에 비해 하피 발달이 저조하고 어느 정도(수치화) 단층이며 세포벽도 얇아 어느 정도(수치화) 수송조건에 불리하였는데 생육의 억제효과가 높은 diniconazole 200ppm + D-mannitol 10,000ppm과 발색효과가 좋은 diniconazole 200ppm + wax 살포가 저장 중의 품질 유지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자구 생성능이 우수한 진적색 비모란 선인장 '이홍' 육성 (A New Gymnocalycium mihanovichii 'Ihong' with Bright Red Color and Good Propagation)

  • 박필만;예병우;김미선;이영란;박부희;정명일;유봉식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248-250
    • /
    • 2011
  • 비모란 선인장 '이홍' 품종은 진적색의 계통 'DR'을 모본으로 진적색의 '설홍' 품종을 부본으로 2005년 교배하여 개발되었다. 파종된 종자는 기내에서 접목되어 6개월 동안 100 mL 시험관에서 6개월 동안 자랐다. 2006년 재접목되어 온실에 정식되어 2009년까지 다양한 특징이 조사되었다. 편원형의 모양과 진적색의 구색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8-10개의 결각과 갈색의 직립형 가시를 가지고 있다. 온실에 정식 후 10개월째에 '이홍' 품종의 구직경은 44.0 mm였으며 '설홍' 품종에 비해 큰 편이었다. 자구수는 10개월째에 15.8개로 '설홍' 품종에 비해 많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비모란 선인장(Gymnocalycium mihanovichii var. 'Ihong') 시설재배에서 지렁이분변토시용에 따른 생육특성 및 토양 화학성 변화 (Changed in Growth and Chemical Properties of Plastic Film House by Earthworm Cast on Gymnocalycium mihanovichii var. 'Ihong')

  • 최이진;조상태;김영문;김미선;이상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31-742
    • /
    • 2014
  • 본 연구는 다비 재배를 하고 있는 비모란선인장 재배토양에 친환경 부산물비료인 지렁이분변토를 혼합 재배할 때 구경, 구고, 자구수 및 토양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재배기간 동안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고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혼합비율을 규명하였다. 수출용 접목선인장인 비모란 선인장(대목: 9 cm 접수: $1.5{\times}1.3cm$ 접목묘) '이홍' 품종을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플라스틱하우스 내에서 수행하였다.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모래와 비료를 50:50으로 혼합한 것을 대조구로 하고, 모래와 음식물쓰레기를 먹이로 하여 생산한 지렁이분변토의 혼합비율을 80:20, 60:40, 40:60, 20:80, 0:100으로 한 5조합의 pH는 7.1-7.4로 거의 비슷하게 조사되었는데 비모란선인장 재배의 적정 pH가 6.5-7.5로 적합한 범위였다. 유기물함량은 지렁이분변토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관행처리구 55 mg/kg보다는 32-43 mg/kg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치환성양이온함량은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관행처리구보다 $K^+$, $Na^+$, $Mg^{2+}$ 양이 적었으나 $Ca^{2+}$의 함량은 관행처리구는 $9.1cmol^+/kg$이나 지렁이분변토 혼합시 $11.5-33.7cmol^+/kg$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지렁이분변토 혼합비율에 따른 비모란선인장 이식 3개월 후 구경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 31.39 mm 보다 지렁이분변토 혼합처리구가 32.46-37.59 mm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식 5개월 후 비모란선인장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구경은 32.63 mm 보다 지렁이분변토처리구가 32.49-37.59 mm로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성 있게 신장하였다. 구고는 대조구의 경우 2.63 mm이고 지렁이분변토 혼합비율에 따라 2.79-3.16 mm로 유의성 있게 조사되었다. 자구수가 많이 생기는 것은 농가에는 매우 유리한 상황인데 대조구는 2.7개이고 지렁이분변토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3.2-8.3개로 조사되어 고도로 유의하였다. 특히 지렁이분변토 80%와 100% 처리구에서 6.2개와 8.3개로 조사되어 대조구보다 2.5배 이상 증가하였는데 비모란선인장 재배농가에서 단기간 자구생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지렁이분변토 40%와 60% 혼합처리의 경우 자구수가 4.5와 4.8개로 대조구보다 많이 조사되었으며, 토양배수에도 문제가 없었고 이끼가 발생하는 현상도 없었다. 비모란선인장 생육특성을 조사해본 결과 지렁이분변토 40% 및 60% 혼합비율이 생육에 효율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접목선인장 줄기썩음병균, Fusarium oxysporum Schlecth. emend. Snyd. & Hans.의 균학적 특성과 병원성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Fusarium oxysporum Schlecht. emend. Snyld. & Hans. Causing Stem Rot of Cactus)

  • 현익화;이상덕;이영희;허노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63-466
    • /
    • 1998
  • A Fusarium species was isolated from stems of cactus(Hylocereus trigonus) showing rot symptoms at Koyang, Kyonggi province in 1997. This pathogen was identified as Fusarium oxysporum based on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ot symptom appeared at the soil line and roughly circular lesions, 1∼3 mm in diameter, appeared on basal stems. The pathogen formed both microconidia and macroconidia. Microconidia were formed abundantly in false-heads on short monophialides, oval to kidney-shaped. Macroconidia were slightly sickle-shaped, 3∼5-septated with an attenuated apical cell and a foot-shaped basal cell. Colony color on PDA was white, peach or purple. Chlamydospores were formed abundantly on PDA. The pathogen was able to cause stem rot symptoms to cactus by wound inoculation as well as non-wound inoc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