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근 제언

Search Result 36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uggestion of Home Network using IoT (IoT를 활용한 홈네트워크 제언)

  • Kim,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51-152
    • /
    • 2017
  • 최근에 제4차 산업혁명을 거론하면서 사물인터넷(IoT)을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으며, 사물인터넷의 한 방향으로 홈네트워크인 홈IoT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의 경제적, 사회적인 변화로 1인 가구, 독거노인,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인한 주거환경 변화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새로운 수요 증가를 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홈IoT와 관련하여 다양한 이슈화가 있지만 크게 두 부분으로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하나는 사물인터넷(IoT)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인 전원으로 에너지 자립형 IoT와 관련하여 에너지 하베스팅을 기반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홈IoT 설비의 관점에서 단순하게 접근하고자 한다. 두번째로 정보보안 관련으로 최근에 랜섬웨어와 같은 네트워크 침입을 통한 해킹 및 접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으로 네트워크 보안관점을 보고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홈IoT는 무선전력방식이나 전원접근방식을 저전력 방식으로 새롭게 표준화나 전원 서비스를 함으로서 좀 더 용이하게 IoT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네트워크 보안은 개인의 경각심과 더불어서 IoT 장비 개발사의 지속적인 보안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인증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 PDF

Non Precision Approach Procedures Accident Case Studies (비 정밀 접근절차 사고사례 연구)

  • Gil, Ho-Seong;Jeon, Je-Hyeong;Song, Byeong-Heum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257-260
    • /
    • 2015
  • 국적기의 사고 및 국내에서 발생한 사고를 분석해보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된 사고의 유형들을 접할 수 있다. 운항중인 항공기에 특별한 결함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종사의 잘못된 판단에 의한 사고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같이 많은 부분들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비 정밀접근(Non Precision Approach)의 선회접근(Circling Approach) 및 시계접근(Visual Approach)절차에서 자주 발생되는 지상충돌 사례들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유사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종사의 입장에서의 교육 및 절차에 관해 분석하여 비 정밀 접근 절차 수행의 기준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n Web Accessibility of medical Institutions (의료기관의 웹 접근성 실태에 관한 연구)

  • OH, Kun-Seok;Kim, Yo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9-182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하는 환경은 매우 다양하여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누구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접근성에 주목하여 국내외의 웹 접근성 동향을 살펴보고 웹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 제도와 웹 접근성 실태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지침을 근거로 종합전문요양기관에 대한 웹 접근성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웹 접근성을 제대로 준수한 의료기관은 거의 없었으며, 향후 웹 접근성 확보를 위하여 인식의 제고,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 법 제도적 보완 등을 제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 A Quality evaluation of library services by using KANO-LibQual+ (KANO-LibQual+ 적용 도서관 서비스 품질분석 방법론 제안)

  • Kim, Mi-R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153-156
    • /
    • 2014
  • 도서관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서비스 품질에 대한 속성을 분석하여야 한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서비스 품질 속성과 만족도와의 관계를 선형관계로 접근함으로써 서비스 품질 속성을 구분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원적 인식방법을 제시한 KANO의 3요인 이론을 적용하여 서비스 품질 속성과 만족도와의 관계를 비선형관계로 접근하여 서비스 품질 속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관점에서 도서관 서비스 품질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수중음파통신 표준화 전략 및 계획

  • Sin, Su-Yeong;Park, Su-Hy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8
    • /
    • pp.89-93
    • /
    • 2016
  • 지구상에서 70%이상을 차지하는 해양 특히 해저에서 음파를 이용한 통신은 해저자원, 대체에너지 개발 등을 견인할 차세대 핵심기술로써 주목받고 있다. 수중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하는 수중음파통신 기술의 국내외 표준화 동향 및 진행 방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역할 및 표준화로부터 얻을 수 있는 파급효과와 향후 전략적 접근을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칼럼 / 현대원의 디지털콘텐츠 집중조명

  • Hyeon, Dae-Won
    • Digital Contents
    • /
    • no.9 s.124
    • /
    • pp.20-23
    • /
    • 2003
  • 월간<디지털콘텐츠>는 이번 호부터 서강대학교 현대원 교수의 '디지털콘텐츠 집중조명'이라는 칼럼을 연재한다. 본 칼럼에서는 그간 디지털콘텐츠 분야에서 다각적인 활동을 펼쳐온 현대원 교수가 디지털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제언들을 풀어낼 것이며, 향후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는 커다란 패러다임의 전환도 주요 주제로 다룰 예정이다. 이번 호에서는 그 첫 번째 기획으로 디지털콘텐츠 산업에서 정통부와 문광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Social Service Agencies: Comparative Analysis of Distance and Space-time Measures (사회복지시설의 공간접근성에 관한 실증연구 - 거리측정과 시간거리측정에 대한 비교분석 -)

  • Hong, Hyun-mee-r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7
    • /
    • pp.35-62
    • /
    • 2008
  • This study starts form the inequity of the spatial accessibility in social services. This study has purpose to descript and analyz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social service agencies. While analys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this paper uses comparative method of distance and space-time measure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It needs (1) to enhanc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aged and the disabled. (2) to facilitat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arginal area or community like rural community. (3) to recognize utilities of distance and space-time measures in the spatial acce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