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근점제어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31초

SRU 프로토콜을 이용한 접근점제어 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d Applying Access Point Control System Using SRU Protocol)

  • 이지원;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9-248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접근점제어를 위한 국가적인 협력 모형을 전제로, 자관의 전거레코드를 별도로 구축${\cdot}$운영하면서 서지레코드와 연결하는 방안 대신, 기 구축된 국가 접근점제어 레코드를 자관의 서지레코드와 바로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ZING(Z39.50 International: Next Generation)의 SRU(Search and Retrieve URL Service)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축한 접근점제어 시스템은 로컬기관 전거제어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거형 선정을 배제한 접근점제어 레코드의 이용, XML 레코드 형식 및 SRU 프로토콜의 도입을 통하여 기존 전거제어 협력 모형에 비해 보다 편리하고 융통성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리정의를 이용한 인명접근점제어 온톨로지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cription of Personal Name Access Point Control Ontology Using Axiom Definition)

  • 강현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7-174
    • /
    • 2012
  • 본 연구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접근점을 제어하기 위해,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을 대상으로 인물과 이름간의 다양한 관계와 특질을 RDF/OWL의 공리정의를 통해 인명접근점제어 온톨로지를 기술하였다. 적용된 공리정의는 인물 이름클래스 간 서로 소 공리정의, 객체속성의 정의역 치역 공리 정의, 인물 이름클래스의 객체속성 값 출현횟수 제약 공리정의, 인물과 이름 개체 간 역함수 관계 공리정의, 인스턴스와 리터럴 간 데이터속성 공리정의 등이다. 그 결과 온톨로지 기반에서 전거와 표목의 개념을 배제하고 모든 표현형식을 대등하게 다룬 대등형접근점이 기존의 제어기능을 수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공리정의로 보다 강화된 표현력으로 공유성과 유일성이 광역적으로 확보된 인명접근점제어 온톨로지를 기술할 수 있었다.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을 이용한 BYOD(Bring Your Own Device) 접근제어 관한 연구 (Access Control Model using RBAC in BYOD(Bring Your Own Device))

  • 배요한;이희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9-382
    • /
    • 2014
  • BYOD 는 다양한 기기에서 상호 운용되고, 상황에 따라 다른 접근권한을 가질 수 있다. BYOD 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생산성 향상과 기기에 대한 비용 감소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보안의 중대한 취약점을 가지고 있고 기업은 개인이 사용하는 각기 다른 기기들에 대해서 통제하기 힘들다는 점과 관리비용은 오히려 상승할 수도 있다는 점 등의 단점들이 부각이 되고 있다. BYOD 에 접근 가능한 권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접근권한 관련 설정 오류를 최소화하고,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BYOD 환경에 적합한 접근 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YOD 시장의 급속한 발달과, 스마트 폰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발전에 맞춰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을 이용한 접근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 특성, 역할 특성, 시스템 특성에 따라 권한 활성화 제약이 가능하며, 권한 위임과 권한 상속 시에 시간, 위치정보, 위기 상황 발생여부에 따라 제약을 할 수 있다.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Name Access Point Control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from Institutional Repositories)

  • 김미향;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5-1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셀프 아카이빙(self-archiving)을 기본으로 메타데이터가 구축되는 기관 리포지터리의 인명 검색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도서관의 전거데이터를 활용하면서도 전거형을 인정하지 않고, 정보원에 기재된 형식을 모두 접근점으로 사용하는 그룹화 방법을 사용하고, 동명이인 처리를 위해 저작자의 주제분야와 저작정보를 확장해서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토대로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스템에 적용하여 검색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향후 기관 리포지터리 외에 도서관이 총괄하는 모든 메타데이터의 검색 기능 향상을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안드로이드 접근 제어 정책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Access Control Policy of Android)

  • 엄서정;조영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4-136
    • /
    • 2023
  •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로 많은 제조 업체들이 자신들의 서비스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하기도 한다. 다만, 접근 제어 정책들을 올바르지 못하게 수정하거나 추가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통해 공격자가 해당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우회하여 보안적 위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드로이드의 다양한 접근 제어 정책들을 살펴보고, 제조 업체가 추가하는 접근 제어 정책을 검사하거나 발생하는 취약점에 따라 우회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내는 최근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앞으로의 관련 연구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제시한다.

Smart Meter의 Gateway에 대한 접근제어와 취약점 분석 (A Study on Access Control and Vulnerability Analysis about Smart Meter Gateway)

  • 이재현;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115-118
    • /
    • 2011
  • 인류를 구할 8가지 기술 중 한가지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가 소개된 바 있다. 즉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여 전력량과 비용을 줄이고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실시간 정보교환이 가능한 지능형 전력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그리드의 취약점들로 인하여, Smart Meter가 해킹을 당해 정전으로 인한 대규모 피해가 예상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mart Meter에 대한 취약점 분석을 실시하고, Smart Meter의 Gateway 보안을 위해서 접근제어와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접근과 개폐에 대한 보안을 실시한다. 범죄가 발생했을 포렌식 자료를 통한 법적 책임에 관한 내용을 연구한다.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XML접근제어 모델 설계 (Design for XML-based Access Control Model in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정성우;박중선;이남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199-201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정보에 대한 접근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접근제어기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보안상의 취약점이 노출되어 중요한 정보자원의 유출의 위험을 가진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보안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한 신원확인 뿐만 아니라 사용자 속성 정보를 이용한 인증이 필요하다. 그리고 XML자원에 대한 상세한 접근제어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다양한 환경정보와 복잡한 접근 제어정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접근제어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PMI의 속성인증서와 표준XML접근제어 기술인 XACML을 적용한 접근제어 모델을 제시한다.

  • PDF

IFLA FRAD 모형이 관련 표준에 미친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FRAD Model on the Related Standards)

  • 안영희;이성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79-303
    • /
    • 2009
  • 이 연구는 IFLA에서 연구되고 있는 '전거데이터의 기능상의 요건'(FRAD)을 FRAR에서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FRAD가 RDA와 MARC21에 끼친 영향을 분석함으로 FRAD와 관련 규칙과의 관계를 정립하였고, 전거제어를 위한 IFLA의 활동에 비추어 국내 전거제어 관련 목록 규칙과 포맷, 주요 전거DB구축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국내 전거제어 표준을 위한 고려사항으로 접근점제어방식, 적용범위 확대, 개체-관계 모형과 같은 새로운 접근방식의 도입, 국가서지작성기관의 역할 강화 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결과는 전거제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DA의 저작과 표현형의 접근점 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s for Access Points Representing Works and Expressions in RDA)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48
    • /
    • 2012
  • 이 연구는 RDA의 저작과 표현형의 접근점 규정을 분석하였다. 저작과 표현형의 전거형 접근점은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기초로 작성하며, 가능하면 저작에 대하여 중요한 책임을 갖는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더하여 작성한다. 이형 접근점은 저작의 이형 표제를 기초로 작성한다.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이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더하여 작성된 경우 이형 접근점은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이형 표제를 더하여 작성하며, 저작의 채택된 표제만으로도 이형 접근점을 작성한다. RDA에는 특수한 유형의 자료들에 대하여 유형별 접근점 규정을 두고 있지만 일반 규정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RDA의 저작과 표현형에 대한 전거형 접근점 규정은 AACR2의 저자명 기본표목과 통일표제 기본표목의 원칙과 거의 일치한다.

IPSec-VPN 시스템에서의 속성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제어 방안 (An User Authorization Mechanism using an Attribute Certificate in the IPSec-VPN System)

  • 강명희;유황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21
    • /
    • 2004
  • Client-to-Gateway 형태의 IPSec-VPN 시스템에서 IPSec-VPN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접근 제어를 위해서는 통상 ID/Password 검증 방식 또는 IPSec-VPN 클라이언트가 인증되면, 묵시적으로 IPSec-VPN 게이트웨이가 IPSec-VPN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접근 제어가 수행된 것으로 간주하는 묵시적 사용자 접근제어 방식이 있다. 그러나 ID/Password 검증방식은 ID/Password 정보의 전송 방법이 용이하지 않고, 묵시적 사용자 접근제어 방식은 보안상 취약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사용자 접근제어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lient-to-Gateway 형태의 IPSec-VPN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사용자 접근제어 방안으로써, 속성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제어 방안을 제안하고, 사용자 접근제어 엔진을 설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IPSec-VPN을 위한 사용자 접근제어 방안은 기존의 IPSec-VPN 시스템에 구현이 용이하고, 다른 IPSec-VPN 시스템과의 상호 호환성이 보장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설계, 구현한 사용자 접근제어 엔진은 속성 인증서를 이용한 임의적 접근제어, 역할기반 접근제어 뿐만 아니라, SSO(Single Sign-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