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화 채널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gnition Characteristics of an Oxidizer Rich Preburner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점화특성)

  • Moon, Il-Yoon;Moon, In-Sang;Hong, Moon-Geun;Kang, Sang-Hun;Yoo, Jae-Han;Ha, Seong-Up;Lee, Seon-Mi;Lee,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6-109
    • /
    • 2012
  • It was designed and tested ignition that an oxidizer rich preburner for a staged combustion cycle liquid rocket engine propelled by kerosene and LOx. Operation conditions of the preburner are about 60 of OF ratio and 20 MPa of combustion pressure. Igni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y propellants flowrate. As the results, the higher propellants flowrate, the shorter the ignition delay time and the higher ignition stiffness. The ignition delay time was affected by incoming the oxidizer flowrate through the refrigerative cooling channels. The oxidizer flowrate from the cooling channels decreased by inflow of combustion gas during initial ignition. The oxidizer flowrate of the cooling channels increases, it is rapid recovery by cooling effect, eventually the ignition delay time decreases.

  • PDF

A Study on Reliability of Impulse Thruster Ignition Current (임펄스 추진장치 점화전류 신뢰성 확보에 관한 연구)

  • Kim Dae Joon;Kim Geon Su;Lee Tae Ky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4.11a
    • /
    • pp.81-84
    • /
    • 2004
  • 다수의 소형 추진모터가 배치된 유도탄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도탄 비행 중 추진모터를 선택적으로 점화할 수 있는 추력 점화제어기가 필요하다. 점화 제어기가 추진모터 점화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수십 채널의 많은 펄스 전류전원이 요구되며, 유도탄 특성상 소형으로 구현되고 고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 펄스 전류원의 고밀도 소형화 회로를 구현함에 있어 6Sigma 방법을 통하여 신뢰성을 분석하였고, 점화전류 확보를 위하여 필요한 회로경로의 최적화된 설계를 다루었다. 통계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설계 최적화는 실험결과를 통하여 그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 PDF

Study on Behavior of Spray and Spark Channel by Air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in Gasoline Direct Injection Engine (가솔린 직분사 엔진에서 운전 조건에 따른 공기 유동 특성에 의한 분무 거동 및 점화 채널에 관한 연구)

  • Hoseung Yi;Sungwook Park
    • Journal of ILASS-Korea
    • /
    • v.28 no.4
    • /
    • pp.198-206
    • /
    • 2023
  • In this study, visualization of in-cylinder spray behavior and spark channel stretching by air flow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engine operating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For in-cylinder spray behavior, increase in engine rpm did not alter the counter-clockwise air flow direction and location of in-cylinder dominant air flow but increased average air flow velocity, which hindered spray propagation parallel to the piston surface. When injection timing was retarded, direction of in-cylinder dominant air flow was changed, and average air flow velocity was reduc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spray penetration length and change in direction. For spark channel stretching, increase in air flow speed did not affect spark channel stretch direction but affected length due to increase in spark channel resistance and limitation of energy ignition coil can handle. Change in air flow direction affected spark channel stretch direction where the air flow was obstructed by ground electrode which caused spark channel direction to occur in the opposing direction of air flow. It also affected spark channel stretch length due to change in air flow speed around the spark plug electrod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ir flow and ground electrode.

Low Pressure Firing Tests of 75-tonf-Class Channel Cooling Thrust Chamber (75톤급 채널냉각 연소기 저압연소시험)

  • Lim, Byoung-Jik;Han, Yeoung-Min;Kim, Jong-Gyu;Choi, Hwan-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5 no.1
    • /
    • pp.69-75
    • /
    • 2011
  • Firing tests have been carried out for a technology demonstration model of 75-tonf-class combustor which is to be used on the liquid rocket engine of a Korean space launch vehicle. Firing tests were done at 50% of the nominal flow rate because of incapability of the test facility and limit of the test bed strength. Through the low pressure firing tests of 75-tonf-class channel cooling thrust chamber, operability and stability at the ignition and combustion phases were confirmed. Additionally it was foreseen that the 75-tonf-class thrust chamber would satisfy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케로신/액체산소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용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기술

  • Mun, Il-Yun;Yu, Jae-Han;Ha, Seong-Eop;Mun, In-Sang;Lee, Su-Y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51.2-151.2
    • /
    • 2012
  • 터보펌프 구동에 사용된 가스발생기 생성가스를 연소기로 공급하여 주추력 발생에 사용하는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은 고추력을 요하는 우주 발사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에 사용되는 가스발생기를 예연소기라 부르며 케로신과 액체산소를 추진제로 하는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에는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가 사용된다. 예연소기는 터보펌프 구동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예연소기 생성가스의 횡단면 온도분포는 터빈에 의해 제한되는 온도범위 내에서 균일하여야 하며 넓은 운전영역에서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져야 한다.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는 모든 추진제가 혼합헤드를 통해 분사되는 방식과 추진제를 혼합헤드와 연소실로 나누어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기술검증을 위해 산화제 일부와 연료를 혼합헤드를 통해 연소실에 공급하여 1차 연소시키고 나머지 산화제를 연소실 냉각채널을 거쳐 연소실 중앙의 분사공을 통해 연소실로 주입하여 기화시키는 형태로 최종적으로 연소압 20MPa, 혼합비 60에서 작동하는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를 설계하여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혼합헤드에는 별도의 점화용 분사기 없이 전체 연료 분사기를 통해 점화용 연료인 TEA/TEB 혼합물을 분사하여 점화하였다. 추진제를 2단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가압식 연소시험 설비에서 10회, 누적 60초 이상의 연소시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연소시험결과 넓은 작동영역에서 안정적 연소특성과 생성가스 온도 분포의 균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온 고압의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기술 확보를 통해 케로신/액체산소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 개발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Low Pressure Firing Tests of 75-tonf-Class Channel Cooling Thrust Chamber (75톤급 채널냉각 연소기 저압연소시험)

  • Lim, Byoung-Jik;Han, Yeoung-Min;Kim, Jong-Gyu;Seo, Seong-Hyeon;Ahn, Kyu-Bok;Kim, Mun-Ki;Lee, Kwang-Jin;Choi, Hw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5a
    • /
    • pp.71-74
    • /
    • 2010
  • Using the technology demonstration model of 75-tonf-class combustor which is expected to be used to the rocket engine of a korean space launch vehicle, 2 times of firing tests were carried out. Firing tests were done at 50% of the nominal flow rate because of incapability of the test facility and limit of the test bed strength. Through the low pressure firing tests of 75-tonf-class channel cooling thrust chamber, reliability and stability at the ignition and combustion phases were confirmed. Additionally it was foreseen that the 75-tonf-class thrust chamber would satisfy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 PDF

Combustion Performance Tests of Fuel-Rich Gas Generator for Liquid Rocket Engine at Design Point (액체로켓엔진용 가스발생기의 연소성능시험)

  • Han, Yeoung-Min;Kim, Seung-Han;Moon, Il-Yoon;Kim, Hong-Jip;Kim, Jong-Gyu;Seol, Woo-Seok;Lee, Soo-Yong;Kwon, Sun-Tak;Lee, Chang-Jin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125-13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액체로켓엔진에서 터보펌프의 160kW급 터빈을 구동하고, 액체산소와 케로신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가스발생기의 설계점 연소성능시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충돌형 F-O-F 인젝터, 물냉각 채널을 가진 연소실, torch ignitor, turbulence ring 그리고 측정 링을 갖는 가스발생기에 대해 기술하였고, 점화, 연소, 종료 등의 시험 cyclogram에 대해 언급하였다. 설계점에서의 연소시험 및 turbulence ring 장착여부, 연소실 길이 변화에 따른 연소시험의 결과들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소시험 결과 가스발생기는 설계점에서 안정된 작동성을 보여주었고, 연소압력 및 온도 등의 성능이 예측치에 근접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Turbulence ring은 출구에서의 가스온도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효과적인 혼합 장치임을 보여 주었고, 4-6msec 정도에서의 잔류시간에서는 연소효율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가스발생기 출구에서의 온도는 공급되는 추진제의 O/F ratio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