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막질환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수포성, 궤양성 및 백색구강점막질환

  • Gi, U-Cheon;Choe, Jae-Gap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5 no.4 s.215
    • /
    • pp.335-345
    • /
    • 1987
  • 협점막, 치은, 구순막, 혀, 경구개, 연구개 및 구강저등으로 구성된 구강점막은 다양한 형태의 외상성 자극, 면역반응 이상, 세균감염, 유해한 환경등으로 인해 여러가지 질환이 발생된다. 이러한 질환들은 만성적이고 다른 질환에 비하여 발생빈도가 낮으며 병인이 불확실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강점막에 발생되는 질환들은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크게 수포성, 궤양성 질환과 백색 구강점막 질환으로 나누어 그중 비교적 호발하는 몇몇 질환들에 대해 기술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gastric mucosal eosinophilia and the pres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 Republic of Korea Air Force soldiers (대한민국 공군 장병을 대상으로 한 위점막 조직 호산구 증가증과 유문나선균 간의 관계 연구)

  • Kim, Hyun-Soo;Lee, Sang-Hwa;Lee, Seok;Choi, Won-Ho;Kim, Ji-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0 no.1
    • /
    • pp.34-38
    • /
    • 2012
  • 호산구는 염증 반응에 의해 활성화되며, 주로 기생충 감염이나 알러지 질환 등에 대한 면역 작용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호산구 증가증은 약물 반응, 알러지, 국소적인 기생충 감염 등에 의한 경우가 많지만, 자가면역성 질환이나 종양에 의한 경우도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위염의 대표적인 원인균 중 하나인 유문나선균 역시 위점막에서 나타나는 조직 호산구 증가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혀지고 있으나, 유문나선균에 의한 호산구 증가증 발생 기전이나 빈도는 아직까지 확립되지 않고 있다. 위점막 내 호산구 침윤과 동반되는 위염은 복통, 오심, 구토, 설사, 장폐색 등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위식도 역류, 염증성 장질환 등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위염 및 다양한 관련 질환에 의한 증상은 공중 근무자들의 임무 수행 능력을 저하시켜 항공기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항공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호산구성 위염이나 유문나선균 감염의 치료 여부가 공중 근무자에게 일시적 또는 영구적 비행임무정지를 부과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공군 장병 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을 통해 얻은 위점막 조직 내 호산구수를 측정하고, 이를 위점막 표면의 유문나선균 존재 유무와 관련지어 보았다. 111명 중 20명의 환자에서 한 고배율 시야 당 30개 이상의 호산구가 관찰되었고, 63명의 환자의 위점막 표면에서 유문나선균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점막 내 호산구의 밀도와 유문나선균의 존재 간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 공군 장병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 호산구 증가증과 유문나선균의 빈도 및 상호 관계를 최초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유문나선균이 어떤 기전으로 위점막 조직 내 호산구의 증가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병의 타깃, 만성질환 - 만성위장질환의 대표적인 원인, 위나선균과 관련된 소화기계 질환

  • Kim, Jae-Gyu
    • 건강소식
    • /
    • v.34 no.6
    • /
    • pp.18-19
    • /
    • 2010
  • 한 유제품 CF로 인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위 점막에 기생하는 나선균으로 위나선균으로도 불린다. 이 세균은 환자에게서 분리된 균주마다 서로 다른 유전체 구조를 가진 특이한 세균집단으로 만성 전정부 위염, 소화성궤양, 위 MALT(점막연관림프조직형) 림프종, 위암 등의 원인이다.

  • PDF

후두미세수술시 성대 점막하주입술(submucosal infusion technique)의 유용성

  • 김형태;조승호;김민식;박영학;선동일;유우정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185-185
    • /
    • 1998
  • 배경 : 양성성대질환에 대한 기저막영역과 성대고유층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양성성대질환의 조직병리학적 특성이 밝혀지고 있으며, 질환발생과 관련된 병인과 병태가 밝혀지고 있다. 목적 : 양성성대질환의 병리학적 특성에 맞게 후두미세수술시 성대 고유층 최상층을 최대한 보호하고 병변부위만을 제거할 수 있는 성대점막하주입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Personality Type Test(MBTI) of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Symptoms of Oral Mucosa Disease (구강점막질환증상자의 성격유형검사(MBTI))

  • Park, Hye-Soo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8 no.1
    • /
    • pp.7-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ymptoms of oral mucosa disease. 393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9.2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Dysgeusia(p<0.05) and xerostomia(p<0.01) occurr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I type than E type. 2. Herpetic stomatitis, recurrent aphthous ulcer, glossitis, dysgeusia, burning mouth syndrome and xerostomia seemed to occur more frequently in S type than in N type. 3. Most symptoms of oral mucosa disease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the type including NF among 16 types of personality of MBTI. 4. Most subjects had negative attitude in curing their symptoms of oral mucosa disease(p<.0001). Significantly more subjects with I type than E type had negative attitude in curing herpetic stomatitis(p<0.01) and dysgeusia(p<0.05). 5. Most symptoms of oral mucosa disease appear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nervous or sensitive subjects. Therefore a guideline for the individual cure of oral mucosa diseases meeting personality type is necessary.

성대 점막하 출혈에 관한 연구

  • 안철민;정덕희;한규철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9.11a
    • /
    • pp.178-178
    • /
    • 1999
  • 배경 : 치유 과정에서 성대점막에 반흔을 형성하여 영구히 음성변화를 유발시킬 수도 있는 성대 점막하 출혈은 드물지 않게 접하게 되는 질환이지만, 이것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많지가 않았다. 목적 : 저자들은 성대 저막하 출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원인과 이것에 영향을 주게 되는 요소들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중략)

  • PDF

Videokymographic Findings of Benign Vocal Fold Lesions (성대양성질환에서 Videokymography 소견)

  • 안철민;윤선영;정덕희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183-183
    • /
    • 1998
  • 음성이 성대진동에 의해서 생성된다는 것이 밝혀진 이래로 이것을 확인해 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특히 성대의 빠른 진동을 느린 움직임으로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서 후두스트로보스코프같은 기구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실제 시간에 따른 성대움직임을 보는 것이 아니고, 또 불규칙한 진동이 나타날 경우에는 성대점막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저자들은 초 당 8000 개의 연속된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videokymography를 이용하여 성대점막의 실제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관찰해보고, 후두질환에서 나타나는 영상을 확인해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중략)

  • PDF

Intramural Dissection and Mucosal Laceration of the Esophagus in a Patient Who Was on Antiplatelets Medication - A case report - (항혈소판 제재 복용 중 발생한 식도 벽 박리 및 점막 열상 - 1예 보고 -)

  • Kim, Kyung-Hwa;Kuh, Ja-Hong;Lee, Jung-M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2 no.5
    • /
    • pp.657-661
    • /
    • 2009
  • Intramural esophageal dissection is a rare disorder that's characterized by a lengthy laceration between the mucosal and submucosal layers of the esophageal wall, and the esophageal wall is without perforation.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acute esophageal injury are a mucosal tear (Mallory-Weiss syndrome), full-thickness rupture (Boerhaave's syndrome) and intramural esophageal dissection. Most intramural esophageal dissections respond to conservative management with a very good prognosis. This rare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ho present with acute chest pain, dysphagia or odynophagia, and particularly in the presence of a bleeding disorder or where there has been recent administration of antiplatelet medication, anticoagulantsorthrombolyticsto avoid inappropriate treatment with surgery. We present here a rare case of intramural dissection of the esophagus that occurred when the patient was taking anti platelet med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