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절삭 공구

검색결과 730건 처리시간 0.027초

최적 설계된 정면밀링용 공구의 절삭성에 대한 연구

  • 김정현;백대균;김희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85
    • /
    • 1993
  • 정면밀링은 급속 가공을 매우 효율적으로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밀링커트는 단속 절삭 공구로서 절삭날의 단속절삭작용에 의한 변동적삭력과 여러날의 동시가공에의한 절삭력의 교란 때문에 절삭성이 기계가공에 문제가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설계자들은 절삭 력의 교란에 의하여 일어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기계구조의 강성을 증가시켰으나 이것은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공구 형상을 개선하여 안정된 절삭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절삭력 모델을 이용하여 변위 발생의 원인인 절삭력변동을 최소로 하는 커터의 형상을 3차원으로 최적 설계하였다. 최적 설계 제작된 공 구와 재래식 공구를 사용하여 절삭력, 공구수명, 표면조도를 측정하였다. 최적 설계 제작된 공구와 재래식 공구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들을 비교 검토하여개발된 공구의 절삭특성을 규명하였다.

엔드밀 가공시 공구 변형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ool Deformation in End-Mill Process)

  • 정성찬;김국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9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절삭 가공시 공구가 받는 절삭력과 칩-공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절삭 열에 의한 공구의 변형을 예측하였다. 3D CAD를 이용하여 공구를 모델링 하였으며 절삭력과 절삭 열을 하중조건으로 부여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조건으로 사용한 절삭력과 절삭 열은 절삭이론을 이용한 절삭력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어떠한 사전 실험도 없이 절삭조건과 재료 물성치 그리고 공구 형상만을 알면 이에 따른 절삭력성분 및 절삭열 등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절삭 가공시 공구의 변형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절삭력을 이용한 공구마멸의 감지에 관한 연구 (Detection of Tool Wear by Cutting Force Measurement)

  • 윤재웅;양민양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8-442
    • /
    • 1994
  • 절삭가공에서 공구의 마멸은 생산의 최적화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라고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시스템이 자동화되고 유연성 및 생산성이 증대되면서, 공구의 수명이 끝났을 때의 공구교환을 위한 최적 의사 결정전략(Decision making stratagy)은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한편, 공구는 마멸의 진행에 따라 그 수명을 예측하여 교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구의 마멸은 여러가지 요인들의 복합적 작용에의해 발생하는 현상 이므로 그것을 정확히 예측한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절삭력을 이용하여 공구의 여유면마멸 (Flank wear)과 경사면마멸을 감지하고자 한다 먼저 절삭력을 정적인 성분(Static component)과 동적인 성분(Dynamic component)로 구분하여 공구의 마멸을 감지하는데 이용하였다. 절삭력의 정적인 성분은 절삭조건의 변화에 대해 정규 화된(Normalized) 절삭력으로 모델링하여 공구의 여유면 마멸을 감지 하였다. 또한 공구의 경사면마멸이 발생한 경우에는 절삭력의 동적인 성분이 크게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ojected Line Beam을 이용한 공구의 Crater마모 계측

  • 송준엽;박화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6-175
    • /
    • 1991
  • 공구수명에 관한 신뢰성 높은 기준 절삭데이타의 수집은 기계가공시스템을 설계, 운영하는데 중요한 것이다. 이제까지 발표된 절삭공구의 마모측정용 센서로는 절삭저항, AE센사, 진동, 절삭온도 등이 있으며, 이 센서들은 공구마모 특히 플랭크 마모(flank wear) 와 간접적인 관계를 갖고서 별도의 사전 절삭실험에 의해 마모량과 신호 level의 상관관계 및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팀에서는 직접적으로 공구마모 상태를 검출하고, 신뢰성이 높은 절삭공구의 마모정보를 얻기 위해 최근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영상처리기술을 응용한 공구마모 측정장치를 구성하였다.

정면밀링용 공정의 최상설계에 대한 시뮬레이션

  • 김정현;김희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62
    • /
    • 2001
  • 밀링은 회전공구를 사용하여 금속을 제거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특히 수직밀링은 고능률절삭의 이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는 금속절삭 가공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밀링커터는 단속절삭 공구로서 절삭 날의 단속절삭작용에 의한 변동절삭력과, 여러 날의 동시가공에 의한 절삭력의 교란 때문에 가공능률, 가공정밀도, 기계와 공구의 수명향상에 문제가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설계자들은 절삭력의 교란에 의하여 일어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기계구조의 강성을 증가시켰으나 이석은 고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공구 형상을 개선하여 안정된 절삭을 시도하였다.

엔드밀 가공에서의 공구 변형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A study on Finite Element Analysis of Tool Deformation in End Milling)

  • 김국원;정성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83-8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절삭 가공시 공구가 받는 절삭력과 칩-공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절삭온도에 의한 공구의 변형을 예측하였다. 3D CAD를 이용하여 공구를 모델링 하였으며 절삭력과 절삭온도를 하중조건으로 부여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조건으로 사용한 절삭력과 절삭온도는 절삭이론을 이용한 절삭력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절삭조건과 재료 물성치 그리고 공구 형상만을 알면 이에 따른 절삭력 성분 및 절삭온도 둥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공구의 변형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DSP를 이용한 밀링공구의 실시간 파단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 Time Detection of Tool Breakage in Milling Operation Using a DSP)

  • 백대균;고태조;김희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25
    • /
    • 1994
  • 절삭공정의 자동화의 무인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험을 가진 작업자의 역활이 컴퓨터에 의한 자동적인 감시 및 제어시스템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특히 공작기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체의 고장이나 절삭과정중에 발생하는 이상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원인을 자동적으로 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절삭가공 공작기계의 이상상태 감시 및 진단의 현황을 살펴보면 주로 공구상태의 감시와 채터 감시가 연구의 대상 이 되고 있다. 공구상태의 감시는 공구의 마모와 파단을 검출하고 있다. 이 중에서 공구의 파단은 발생 즉시 실시간으로 감시되어야 한다. 밀링작업에서는 1회전 이내의 공구회전에 파단을 검출하고 기계를 정지시켜야 한다. 최근의 절삭가공에서는 절삭공구로 강력절삭을 위해 고경도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공구의 파단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정면밀링과 같은 단속절상에서는 절삭날이 큰 충격을 받으므로 더욱 파단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 PDF

절삭공구개발의 역사 및 최근 동향

  • 양민양
    • 기계저널
    • /
    • 제30권1호
    • /
    • pp.36-41
    • /
    • 1990
  • 절삭공구의 발달사 및 최근 개발동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기계공업에 관련된 생산공정중 많은 부분을 절삭가공이 담당하고 있으며, 절삭가공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절삭공구는 소량의 마 멸 또는 파손에 의하여 사용이 불가하여 교체된다는 것을 생각할 때, 절삭공구의 세계 시장규모 가 매우 클 것이라는 것에 쉽사리 짐작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채광공구, 금형다이와 공구, 내마멸재 등에도 절삭공구재가 응용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그 수요는 엄청난 것이다. 그런데 이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수준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크게 뒤떨어져 있으며 그 격차 또한 점점 더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오랜기간 축적되어온 그들의 기술 수준을 따라 잡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기술축적에 대하여 업계 및 학계의 부단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정밀 고속 가공을 위한 절삭공구의 개발

  • 고성림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29
    • /
    • 1994
  • 기계산업의 발달과 함께 꾸준히 공작기계의 발달에 발맞추어 절삭가공 공구도 꾸준한 발전을 요구받아왔다. 점차로 기계가공이 고정밀도를 요구하고 원가절감을 위한 생산성의 극대화를 오래전부터 추구한 결과 공작기계의 위치정밀도의 향상과 고강성구조 및 computer와 robot의 발달에 따른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에 따른 절삭가공의 최첨병인 절삭공구의 성능도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 아무리 공작기계의 정도 및 강성이 뛰어난다 할지라도 공구의 성능이 따라가지 못할 때에는 그앞의 모든 노력이 결실을 거두기는 어렵다. 절삭공구에 요구되는 성능을 요약하면 첫째로 고정밀 가공용공구, 둘째로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공구(즉 고속, 고이송에서 수명이 긴 공구), 그리고 세째로는 산업의 다양화에 따른 피삭재의 변화에 민감한 공구, 즉 난삭재 가공이 가능한 공구로 분류할 수 있다.

저순도 알루미나 예비소결체 절삭시의 공구 수명

  • 이재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47-247
    • /
    • 2004
  • 세라믹의 완전 소결체는 높은 경도와 취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삭과 같은 입자가공이 행해지게 되어, 가공능률이 매우 낮고, 복잡한 형상 창성이 어렵다. 완전소결된 세라믹의 절삭가공에서는, 공구수명이 짧고, 가공속도가 매우 늦어 일반의 부품가공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소결이 전혀 행해지지 않은 성형체의 절삭가공은 공작물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가공속도, 가공능률, 부품의 척킹 및 치수 정밀도 등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엔지니어링 세라믹의 고능률, 고품위 절삭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