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절단술

Search Result 26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RLN ANASTOMOSIS REMOVAL ON PHONATION (반회신경 문합과 후윤상피열근 절제가 발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김영모;이영구;이정식;이준열;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홍식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11-12
    • /
    • 1991
  • 편측 성대마비의 음성개선을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방법은 teflon 또는 silicone 주입술, 외과적 성대 내전술, 갑상연골 성형술, 신경재식술, 등이 있으며, 근래까지는 Teflon 또는 Gelform 주입술이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음의 높낮이 조절능력의 한계가 있고, 신경재식술의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발성기능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후두와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반회신경을 절단하여 편측 성대 마비를 유발한 뒤, 동측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후 절단된 신경을 문합하여, 성대의 외전근 작용의 소실과, 발성시에 주로 작용하는 내전근만의 작용을 유도하여,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전운동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임의적으로 신경을 자극시킬 수 있는 신경자극기와, 주위조직으로부터 신경만을 분리하여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대의 발성음을 임의대로 유발시킬 수 있는 생체 내 후두발성 모형(in vivo laryngeal phonation model)을 Moore(1987, 1988)등이 발표한 모형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13마리의 개를, 반회신경 절단군(3 마리), 반회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3 마리), 후윤상피열근 절제군(3 마리), 반회신경 문합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4 마리)등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3 개월 후, 현수후두경, 후두 내시경, videolaryngoscopy, 신경자극 검사 등으로 성대의 내전운동 및 위치 변화의 관찰, 발성음의 음향분석 및 갑상피열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회신경 절단군과 반회 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은,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움직임이나 각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음향분석 결과 발성음이 아닌 잡음만이 포착되었다. 즉, 절단된 신경의 문합 없이 후윤상피열근 절제 만으로는 음성개선은 기대할 수 없었다. 2.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에서는 수술 후 3 개월에 정상적인 성대의 내전운동이 관찰되었으며, 음향분석상 기본주파수 동요율 및 발성음의 강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즉, 반회신경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윤상피 열근 만을 절제하면, 발성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3. 반회신경을 절단후 문합하고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한군 에서는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보였고, 음향분석상 수술직후에는 잡음만이 포착되었으나, 3 개월 후에는 잡음이 아닌 발성음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 발성음의 기본주파수 및 강도는 수술전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나, 기본주파수 동요율은 증가되어 있었다. 즉 이 술식으로 인한 뚜렷한 발성음의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편측 신경 절단으로 인한 성대마비시, 절단된 신경을 봉합하고 성대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하면,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향운동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 Lee, Doo-Hyung;Shin, Kyoo-Ho;Lee, Soo-Hyun;Hahn, Soo-Bo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1 no.2
    • /
    • pp.126-133
    • /
    • 2005
  • Purpose: to know the treatment resul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had poor prognosis with risk factor including burn scar and chronic osteomyelitis.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Octorber 1993 and September 2002, 20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had no distant metastasis was got operation and followed over 36 months. Amputation was done when it was hard to get enough wide margin or neurovascular structure was involved instead of wide excision. Mean age of patients was 57.2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was 16 to 4. TMN staging and histologic grading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ere 6 metastasis (30%) in 20 cases for mean 48.3 months (36-84 months). 3 metastasis to local lymph node and 3 distant metastasis were happened at lung (in 3 cases) and thorasic vertebra (in 1 case). Survival was 18 cases at last look. 5-year survival rate was 50%. 3 local recurrence was developed at average 11 months (4-18 months). Complication was focal skin defect after wide excision and skin graft in 2 cases. The patients by wide excision got average 1.9 time operation and by amputation got average 1.3 time. Conclusion: Squamous cell carcinoma at extremity in Korea had high metastasis rate due to burn scar and chronic osteomyelitis, and it showed equal treatment result which treated by wide excision compared with amputation.

  • PDF

Radiographic Evaluation and Triple Pelvic Osteotomy for the Treatment of Immature Canine Hip Dysplasia (어린 개 고관절 이형성의 방사선 평가 및 3중 골반골 절단술에 의한 치료)

  • 김남수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4 no.2
    • /
    • pp.370-375
    • /
    • 1997
  • 8개월령의 체중이 40.4kg인 로트와일러 수컷 어린개와 9개월령의 체중 34.6kg인 골 든 레트리버 수컷 어린개가 각각 2주령과 1개월령부터 파행 및 통증을 주중으로 머독대학 동물 병원에 내원 하였다. 내원 했을 때 호흡과 심박수 및 체온은 정상이었다. 일반 보행 및 신경검사 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확인한 결과 양측 고관절 이형성(Hip displasia)과 퇴행성 관절질환 (Degenerative joint disease)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증상의 정도는 우측에 비하여 좌측이 더 심하게 나타냈다. 외과적 치료는 Slocum과 Devine에 의한 3중 고관절 절단술(Triple pelvic osteotomy)를 실시하였으며 특별한 외부 고정은 하지 않았다. 수술 후 5개월 동안 지켜본 결과 증 상은 매우 좋아졌으며 골반골의 완벽한 고정 유지에 따른 교정된 고관절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The Surgical Correction for Pectus Carinatum - One Case Report - (새가슴 수술치험 1례 보고)

  • 목형균;신호승;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5
    • /
    • pp.489-493
    • /
    • 1999
  • The pectus carinatum or anterior protrusion of the sternum is a less common than pectus excavatum. It occurs more frequently in boys than girls and associated musculoskeletal abnormalities, spinal scoliosis is most common. Ravitch first reported correction of chondromanubrial prominence in 1952, resecting the multiple deformed costal cartilages and performing a double osteotomy on sternum.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pectus carinatum and obtained satisfactory postoperative results. The deformity was corrected by the subchondral resection of multiple deformed costal cartilage, bilaterally, with single osteotomy on sternum and fracture of the posterior cortex to correct anterior angulation.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We repor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PDF

Case Report of Maxilla/Mandible Simultaneous Distraction with Molina$^{(R)}$ Distractor (Molina distractor를 이용한 상/ 하악 동시 신장술 증례의 보고)

  • Baek, Kyung-Won;Kim, Keun-Woo;Choi, Jin-Yeong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9 no.2
    • /
    • pp.55-62
    • /
    • 2006
  • 1980년 일리자로프가 하지에서의 골 신장술을 발표한 이래 수많은 외과 의사들이 임상연구와 발표를 거듭해 현재의 골 신장술을 이루었다. 악골에서 골 신장술의 적용은 1992년 8명의 악골 기형 환아에게 하악지 신장술을 적용한 맥카시의 발표를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골 신장술의 장점은 부족한 골조직과 함께 주변 연조직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복합적 조직 결손을 보이는 선천성 악골 기형 환자들에게 특히 유리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반안모 왜소증은 안면 반측의 상/하악골 및 악관절, 연조직의 저성장 및 결손을 보이는 비교적 흔한 악골 기형이다. 하악지 신장술의 활발한 연구로 이를 이용한 악관절 증상과 안면 비대칭의 해소가 일차적 치료기법으로 선택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악관절 증상과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내원한 성인 반안모 왜소증 환자에게 상악 및 하악의 동시 골 신장술을 적용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발표한다. 상악골의 Le Fort 제1형 골 절단술과 이환측의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 후에 Molina distractor를 하악지에 적용하고 악간 고정을 통해 동시 신장을 꾀하였다. 수술 기법 및 평가 기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T2 Sympathico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안면부 다한증 환자의 제2흉부 교감신경절단술)

  • 성숙환;김태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5
    • /
    • pp.465-470
    • /
    • 1999
  • Background: Facial hyperhidrosis patients have as much difficulty in 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palmar and axillary hyperhidrosis patients. There have been no appropriate treatment, but recently, satisfactory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rough sympathetic blockade. Thorac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has been known to resect cervicothoracic (stellate) ganglion, but its inherent complications such as Horner syndrome have made the surgeons hesitant to use this method. We, through our experiences in treating palmar and axillary hyperhidrosis for the past 6 years, believed that T2 sympathicotomy would be enough for facial hyperhidrosis and have experimented and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Material and Method: From June 1997 to May 1998, 38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bilateral thoracoscopic T2 sympathicotomy with 2mm instrum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 All patients were relieved of excessive sweating in their faces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Postoperatively, 5 patients (13.2%) required insertion of chest tubes because 3 had incomplete reexpansion of the lung, and 2 had hemothorax from severe adhesion. Other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surgical procedures, such as Horner's syndrome, and brachial plexus injury, were not detected in any cases. The mean hospital stay was mean 1.7$\pm$0.9 days after surgery. Conclusion: T2 sympathetic ganglion is the appropriate resection site for facial hyperhidrosis, and complications such as Horner syndrome can be prevented by not cutting the stellate gangl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by using a 2 mm thoracoscopic instrument, and may obtain much better results.

  • PDF

The Effect of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at the 4th Rib (R4) for Treating Palmar Hyperhidrosis (수부 다한증에서 제4번 늑골 위 교감신경절단술(R4)의 효과)

  • Noh, Dong-Sub;Park, Chang-Kwon;Kum, Dong-Yoon;Kim, Jae-Bu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1 no.3
    • /
    • pp.343-346
    • /
    • 2008
  • Background: Thoracoscpic sympathicotom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essential hyperhidrosis. Pati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urgery at the early post operative period, but they suffer from recurrence and compensatory sweating at the late post operative period. There are many sympathicotomy methods for minimizing recurrence and the compensatory sweating. We compared the outcome from between the R3 and R4 sympathicotomy methods for the symptoms, atisfaction, recurrence and compensatory sweating. Material and Method: From January 1999 to July 2007, 39 cases of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at the 3rd rib (R3) and 72 cases of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at the 4th rib (R4) for treating palmar hyperhidrosis were compared for the early and late satisfaction, the compensatory sweating and recurrence. Result: There is no difference of gender and age for the 2 groups. Early satisfaction was reported by 94.9% of the R3 patients and by 98.7% of the R4 patients. 84.6% of the R3 patients reported late satisfaction and 87.5% of the R4 patients reported late satisfa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the early and late satisfacti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compensatory sweating (23.1% in the R3 group and 9.7% in the R4 group (p=0.020)). The reoperation rate due to recurrence was 5.1% in the R3 group and 4.2% in the R4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recurrence. Conclusion: R4 sympathicotomy has excellent therapeutic results for compensatory sweating as compared to R3 sympathicotomy for treating palmar hyperhidr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