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 가동 타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to Improve the Lift Performance of a Full Spade Rudder with the Coanda Effect (콴다효과를 이용한 전 가동 타의 양력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Seo, Dae-Won;Lee, Seung-H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50 no.1
    • /
    • pp.25-32
    • /
    • 2013
  • The shape of a conventional full spade rudder has been modified to implement the Coanda effect and consequential changes in the flow characteristics are carefully examined to show the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 lift performance. A preliminary numerical study has been done to identify the optimum configuration of the modified rudder sections. For the purpose, chord wise locations of the jet slit and the radii of the trailing edge were varied in several ways and the changes in the lift characteristics have been observed at the various angles of attack,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usefulness of the Coanda effect upon delaying the stall or increase in the circulation. Making the most use of the results so attained, full spade rudder of a VLCC has been reformed to realize the Coanda effect. A series of model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Coanda effect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ified rudder. It is found that considerable enhancement in the lift performance of the rudder is plausible at any rudder angle if an optimum jet momentum is provided.

Capacity Modulation of a Ground Source Multi-Heat Pump in the Part Load Condtions (축열형 지열원 냉난방 시스템의 단기 성능 특성 연구)

  • Kim, Namtae;Cho, Chanyong;Choi, Jong M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19-119
    • /
    • 2010
  • 무한 지속 가능한 지열 에너지를 활용한 공조시스템인 지열원 냉난방 시스템은 기존의 공조 시스템보다 열원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높은 효율과 우수한 성능을 가지므로, 기후변화협약 대응의 주요수단으로서 기술개발과 보급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하여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하절기 냉방 성능을 분석하였다. 대수층 축열 냉난방 시스템은 주입정과 양수정의 2개의 우물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겨울 난방 운전 중에 한 개의 우물공으로부터 지하수를 열펌프로 유입한 후 낮은 온도의 지하수를 타 우물공에 축열하고, 하절기에 겨울에 저온으로 축열된 우물공으로부터 지하수를 열펌프로 유입하여 온도가 증가된 지하수를 타 우물공에 주입한다. 즉, 계절별로 열펌프에서 생성된 냉수와 온수의 대수층 축열을 위하여 계절별로 주입정과 양수정이 바뀌게 된다. 본 연구의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2009년 8월의 주요일자별 시스템 운전 중의 평균 냉방 열펌프 유닛 COP와 냉방 시스템 COP는 각각 4.7과 3.4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모든 일자에 대하여 외기온도가 $31.6^{\circ}C$$22^{\circ}C$까지 변화가 크게 나타났지만 열펌프 유닛 COP와 시스템 COP의 변화는 미소하였다. 이는 양수정으로부터의 지중 순환수가 운전기간 중에 $17.5^{\circ}C$로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양수정과 주입정 사이에 5개의 관측공을 설치하였으며, 양수정 측에 인접한 관측공의 온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단기간이지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직밀폐형 시스템과 달리 지속적인 냉방운전 중의 양수 온도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성능을 나타냈다. 주입정에 인접한 모니터링 홀의 온도는 심도가 깊은 곳의 온도가 낮은 곳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냉방 운전 시 열펌프 유닛의 실외열교환기에서 지중 순환수가 냉매로부터 열을 취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서 주입정측에 온열이 축열이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며, 하절기의 냉방 운전 시간이 증가할 경우 축열 효과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수정과 주입정 중간의 모니터링 홀의 온도는 2009년 8월 가동 중에 온도변화는 없었는데, 이는 양수정과 주입정 사이의 열간섭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자별로 운전 중의 열펌프 유닛 COP는 차이가 없었지만, 운전 및 정지 시간을 모두 포함한 시스템 소비전력과 냉방용량을 모두 합산하여 산정한 일일 평균 냉방 열펌프 유닛 COP와 냉방 시스템 COP는 일자별로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각 일자별로 열펌프 유닛 가동율의 차이로 인하여 열펌프 유닛 가동 전에 먼저 작동되는 지중순환펌프의 운전 소비전력의 차이와 열펌프의 단속운전 시의 열손실과 추거 소비전력의 차이 때문이다.

  • PDF

A Numerical Performance Study on Rudder with Wavy Configuration at High Angles of Attack (Wavy 형상 적용에 따른 대 각도에서의 러더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 Tae, Hyun June;Shin, Young Jin;Kim, Beom Jun;Kim, Moon-Ch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54 no.1
    • /
    • pp.18-25
    • /
    • 2017
  • This study deals with numerically comparing performance according to rudder shape called 'Twisted rudder and Wavy twisted rudder'.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rudder, rudder with wavy shape has showed a better performance at high angles of attack($30^{\circ}{\sim}40^{\circ}$) due to delaying stall. But most of study concerned with wavy shape had been performed in uniform flow con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behind a rotating propeller, the present study numerically carries out an analysis of resistance and self-propulsion for KCS with twisted rudder and wavy twisted rudder. The turbulence closure model, Realizable $k-{\epsilon}$, is employed to simulate three-dimensional unsteady incompressible viscous turbulent and separation flow around the rudder. The simulation of self-propulsion analysis is performed in two step, because of finding optimization case of wavy shape. The first step presents there are little difference between twisted rudder and case of H_0.65 wavy twisted rudder in delivered power. So two kind of rudders are employed from first step to compare lift-to-drag ratio and torque at high angles of attack. Consequently, the wavy twisted rudder is presented as a possible way of delaying stall, allowing a rudder to have a better performance containing superior lift-to-drag ratio and torque than twisted rudder at high angles of attack. Also, as we indicate the flow visualization, check the quantity of separation flow around the rudder.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Bukpyeong Industrial Complexes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Park, Woon Ji;Shim, Jung Min;Choi, Yong Hun;Lee, Gwan Jae;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5-425
    • /
    • 2021
  •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6,500톤/일)의 가동률은 30% 이하로 매우 저조하며, 폐수배출업체는 29개소로 그 수가 적어 배출오염부하량 비율에 따른 처리비용이 일부 업체의 경우 과도하게 부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입주업체 운영비용 부담을 저감하기 위해 해당 지자체에서는 운영비용의 65% 이내에서 일정금액을 지원하고 있으나, 동일업종에 대한 원인자비용부담금 비율의 경우, 동해시 A업체는 30.18%로 타 지역 B업체의 4.83%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자체 지원금을 제외한 순수 처리부과금의 경우 A업체가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전체 운영비 절감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현황을 검토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운영시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법률 및 계획등을 검토한 결과, 북평산단 지역은 하수처리 구역이 아닌 공공폐수처리구역으로 산업폐수의 공공하수도처리시설 연계처리 지침에 따라 인근 공공하수처리시설과의 연계처리가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가동률이 저조한 처리시설에 대해서는 시설개선을 통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현 처리시설의 공정개선을 통한 운영비 절감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현재 생물 반응조 후단에서 운영 중인 가압 부상조에 새로운 배관을 설치하여, 최초 침전지 유출수를 가압부상조 처리 후, 생물 반응조로 유입하고, 최종 침전 후 총인을 제어 할 수 있는 약품투입 시설을 설치하는 공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생물 반응조 이전에 가압부상조를 설치하고, 후단 가압 부상조 미운영시 공정개선 전·후에 따른 총 슬러지 발생량은 24.2%, 탈수케익 처리비용은 27.6%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며, 전체 처리시설에 대한 총 운영비 감소율은 13.4%로 분석되었다.

  • PDF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 주기 (DUPIC)관련 핵물질 보장조치 (Safeguards)

  • 나원우;이용덕;차홍렬;김호동;홍종숙;박현수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3
    • /
    • pp.447-452
    • /
    • 1995
  •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 주기 (Direct Use of Spent PWR Fuel in CANDU : DUPIC ) 기술개발의 핵물질 보장조치(Safeguards)는 경수로 사용후 핵연료를 중수로에 재 활용하기 위한 DUPIC 공정에 대한 최적 보장조치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제 원자력 기구(IAEA) 및 국제 원자력 사회에서 핵 투명성확보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개발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DUPIC 공정은 고립된 차폐시설내의 고준위 방사선장 하에서 가동되므로 타 시설에 비해 핵 물질 전용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전 공정이 원격제어 되야 하고, 조업조건이 정복해야 하므로 기존의 보장조치 기술보다 더욱 발전된 계량관리시스템, 측정시스템 및 감시시스템 등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항목에 대한 요소 분석 및 각 항목별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DUPIC 공정 전반에 대한 핵물질 계량관리를 위해 물질수지구역 (Material Balance Area : MBA) 및 주요측정 지점 (Key Measurement Point : KMP )을 설정하여 각 측정지점별 측정방법 및 재고검증(Inventory Verification) 방법을 분석하였다. 최적 측정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비파괴분석 방법들을 분석한 결과, 핵분열성 물질 함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동적 중성자 측정법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전용전략의 주요 요소 및 전용경로 등을 분석하였으며, 핵물질 및 시설에 대한 물리적 방호체제를 DUPIC시설에 적용하기 위하여 물리적 방호에 필요한 방호체제 요소를 분석하여 DUPIC 시설을 위한 가상적인 방호체제를 구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intensive health care program for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재가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집중건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Song, Mi-Sook;Song, Hyun Jong
    • 한국노년학
    • /
    • v.29 no.1
    • /
    • pp.37-50
    • /
    • 200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community-based intensive health care program for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to strength their functional status and to verify the effect on their geriatric syndrome.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A total of 69 frail elderly, who lived in the area within 20 minutes by car, were committed themselves to the day care center(Sangikjae), and had the ability of verbal communication were selected from G city in Kyunggi province.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sub-score of frailty, fall, urinary incontinence, malnutrition, and mild cognitive disorder domain, using the Otasha-Kensin through the physical examinations and interviews. After 4 weeks of intervention, the outcome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McNemar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score of frailty, fall, urinary incontinence, and malnutrition domai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except thos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ild cognitive disorder domain, implying that the risk of frailty, fall, and malnutrition was decreased.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community-based the intensive health care program is effective for relieving geriatric syndrome of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Cohort Observation of Blood Lead Concentration of Storage Battery Workers (축전지공장 근로자들의 혈중 연농도에 대한 코호트 관찰)

  • Kim, Chang-Yoon;Kim, Jung-Man;Han, Gu-Wung;Park, Jung-H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3 no.3 s.31
    • /
    • pp.324-337
    • /
    • 1990
  •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in working environment and personal hygiene for the occupational exposure to the lead, 156 workers (116 exposed subjects and 40 controls) of a newly established battery factory were examined for their blood lead concentration (Pb-B) in every 3 months up to 18 months. Air lead concentration (Pb-A) of the workplaces was also checked for 3 times in 6 months interval from August 1987.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cluded the local exhaust ventilation and vacuum cleaning of the floor. Intervention of the personal hygiene included the daily change of clothes, compulsory shower after work and hand washing before meal, prohibition of cigarette smoking and food consumption at the work site and wearing mask. Mean Pb-B of the controls was $21.97{\pm}3.36{\mu}g/dl$ at the preemployment examination and slightly increased to $22.75{\pm}3.38{\mu}g/dl$ after 6 months. Mean Pb-B of the workers who were employed before the factory was in operation (Group A) was $20.49{\pm}3.84{\mu}g/dl$ on employment and it was increased to $23.90{\pm}5.30{\mu}g/dl$ after 3 months (p<0.01). Pb-B was increased to $28.84{\pm}5.76{\mu}g/dl$ 6 months after the employment which was 1 month after the initiation of intervention program. It did not increase thereafter and ranged between $26.83{\mu}g/dl\;and\;28.28{\mu}g/dl$ in the subsequent 4 tests. Mean Pb-B of the workers who were employed after the factory had been in operation but before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initiated (Group B) was $16.58{\pm}4/53{\mu}g/dl$ before the exposure and it was increased to $28.82{\pm}5.66{\mu}g/dl$(P<0.01) in 3 months later (1 month after the intervention). The values of subsequent 4 tests remained between 26.46 and $28.54{\mu}g/dl$. Mean Pb-B of the workers who were employed after intervention program had been started (Group C) was $19.45{\pm}3.44{\mu}g/dl$ at the preemployment examination and gradually increased to $22.70{\pm}4.55{\mu}g/dl$ after 3 months(P<0.01), $23.68{\pm}4.18{\mu}g/dl$ after 6 months, and $24.42{\pm}3.60{\mu}g/dl$ after 9 months. Work stations were classified into 4 parts according to Pb-A. The Pb-A of part I, the highest areas, were $0.365mg/m^3$,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levels were decreased to $0.216mg/m^3\;and\;0.208mg/m^3$ in follow-up tests. The Pb-A of part II was decreased from $0.232mg/m^3\;to\;0.148mg/m^3,\;and\;0.120mg/m^3$ after the intervention. Pb-A of part III and W was tested only after intervention and the Pb-A of part III were $0.124mg/m^3$ in Jannuary 1988 and $0.081mg/m^3$ in August 1988. The Pb-A of part IV not stationed at one place but moving around, was $0.110mg/m^3$ in August 1988. There was no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Pb-B and Pb-A. Pb-B of the group A and B workers in the part of the highest Pb-A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workers in the parts of lower Pb-A. Pb-B of the workers in the part of the lowest Pb-A incerased more rapidly. Pb-B of group C workers was the highest in part I and the lowest in part IV.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b-B is more valid method than Pb-A for monitoring the health of lead workers and intervention in personal hygiene is more effective than environmental interv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