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파 손실

Search Result 465,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Neural Network Approach to Modeling PCS Wave Propagation Loss Prediction Using 3D Digital Terrain Maps (지형데이터를 이용한 신경회로망 PCS 전파손실 예측모델)

  • 정성신;양서민;이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57-359
    • /
    • 1998
  • 무선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 안테나를 떠난 전파가 수신안테나에 도달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전파 손실은 매우 복잡한 비선형 함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을 사용한 전파 손실 모델을 제안하고, 3차원 지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파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특징을 추출하여 이를 신경회로망에 적용함으로써 전파손실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각 필드 측정 데이터에 대한 특징 값을 이용하여 신경회로망을 학습하여 예측모델을 완성한다. 또한, 서울 도심 지역의 실제 PCS 서비스 환경에 대한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모델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Prediction Model of Propagation Path Loss of the Free Space in the Sea (해수면 자유공간의 전파경로손실 예측 모델)

  • 류광진;박창균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7
    • /
    • pp.579-584
    • /
    • 2003
  • All of propagation path loss prediction models, which have been presented up to date, are oかy for ground living space. In reality, sea surface free space is different from ground living space in physical hierarchical structure. If the propagation path prediction model for ground living space is applied to the sea surface free space, propagation path loss will be smaller than actual value, while the maximum service straight line will become shorter. Thus this paper proposed and simulated the propagation path loss prediction model for predicting propagation path loss more accurately in sea surface free space, with its focus on CDMA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Then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to actual survey to verify its practicality.

An Analysis of Propagation Model in Half-Canyon Structure with Slope using Multi-Ray Model (경사면을 갖는 반-협곡 구조에서 다중-광선 모델을 사용한 전파 모델 해석)

  • Lee, Hwa-Choon;Choi, Tae-I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1
    • /
    • pp.173-178
    • /
    • 2020
  • A multi-ray model has been used to interpret radio transmission losses in half-canyon structures with slope and to formulate a multi-ray propagation model depending on the angle of slopes. The cut-off angles for the third and fourth paths, which are the slope-sided reflection paths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determined by the inclined angles of the slope, were calculated with the height and location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To predict transmission losses in an inclined plane environment, the embankment environment where the actual slope exists was modeled and simulated to calculate the loss of propagation transmission, and the radio wave transmission loss was confirmed by the measurement for the frequency band 1 to 6 GHz. Simulation results and measurement results showed similar trends in radio transmission loss, and radio transmission loss predictions and measurement results for various terrain information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radio propagation service.

An Analysis of Radio propagation path loss in the sea (해수면에서 주파수에 따른 전파 경로손실 분석)

  • 최대식;김진만;김경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55-258
    • /
    • 2000
  • 최근 경제 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통신 서비스에 대한 이동성, 편의성, 및 개인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현재 세계각국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인 셀룰라 이동통신과 개인 휴대 통신인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가 상용화되고 있다. 1900MHz 대역은 셀룰라 800 MHz에 비해 전파 특성상 전파환경에 따른 전파의 감쇄 및 회전손실 등으로 인한 전파 경로 손실이 증가 할 것으로 본다. 본 논문에서는 바다 해수면의 영향에 따른 800MHz대역과 1900MHz 대역에서 주파수에 따른 경로 손실 차를 실측 Data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실측 Data를 이용하여 전파모델을 만들어 LGE에서 자체 개발한 전파 분석 시뮬레이션 툴로 Coverage 영역을 비교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Simulator for Radio Propagation Path Loss in a Tunnel (터널에서의 전파경로손실 시뮬레이터 개발)

  • Nam, Myung-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353-35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터널환경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전파의 경로를 정확히 분석하기 위하여 image theory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직선 터널 구간뿐만 아니라 곡선 터널 구간에서도 전파 손실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시뮬레이터는 다양한 변수들을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전파 경로를 도식화하여 결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송신부와 수신부의 위치를 변경하며 결과를 예측할 수도 있다. 개발된 시뮬레이터를 다양한 직석터널과 곡선터널에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Wave Propagation in Lossy Tunnel (유한요소법을 사용한 손실터널내의 전자파 전파특성 해석)

  • 문정익;안창회;김기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9 no.5
    • /
    • pp.621-629
    • /
    • 1998
  •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waves in lossy tunnels are analys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with edge basis fun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lossy dielectric wall on the tunnel highly aff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ves in the tunnel. Also higer modes are separated using mode orthogonality principle, and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higer modes are investigated. To verity the numerical results, miniatures of the tunnels are constructed and measurements of the waves are accomplished.

  • PDF

FEC-based Error control for Interactive video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인터넷상에서 대화식 비디오 전송을 위한 FEC기반 오류 제어 기법)

  • 지명경;최태욱;박성호;강정구;정기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178-180
    • /
    • 2001
  • 인터넷은 가변적인 지연, 손실, 제한된 대역폭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비디오는 품질을 보장받지 못한다. H.261, H.263과 같은 진보된 비디오 압축 표준은 제한된 대역폭의 인터넷에서 비디오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압축 표준들은 움직임 예측.보상기법을 사용하여 압축된 프레임들은 시간적인 연관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에서의 패킷 손실은 해당 프레임에 오류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오류는 손실되지 않은 이후의 복원된 프레임으로 전파되어 비디오의 품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린다. 기존에 연구된 오류 전파 방지 기법에는 NEWPRED, Error Tracking(ET), Intra-refreshment가 있고, 패킷 손실 복구 기법에는 재전송 기법과 FEC등이 있다. 그러나 비디오의 전체적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오류 전파 방지와 손실 복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대화식 비디오를 전송하는 데 있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손실 자체를 복구할 수 있는 FEC기법에 기반 하면서 참조 프레임 선택(Reference Picture Selection)을 이용하여 패킷 손실에 의한 오류 전파를 방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은 제안된 비디오 오류 제어 기법이 FEC기법과 RPS기법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비디오의 높은 품질을 유지함을 보인다.

3D Wave Propagation Loss Modeling in Mobile Communication using MLP's Function Approximation Capability (MLP의 함수근사화 능력을 이용한 이동통신 3차원 전파 손실 모델링)

  • Yang, Seo-Min;Lee, Hyeok-J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10
    • /
    • pp.1143-1155
    • /
    • 1999
  • 셀룰러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의 유효신호 도달범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전파전파 모델을 이용한 예측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전파과정에서 주변 지형지물에 의해 발생하는 전파손실은 매우 복잡한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며 수식으로는 정확한 표현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의 함수 근사화 능력을 이용하여 전파손실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전파손실을 송수신 안테나간의 거리, 송신안테나의 특성, 장애물 투과영향, 회절특성, 도로, 수면에 의한 영향 등과 같은 전파환경 변수들의 함수로 가정하고, 신경회로망 학습을 통하여 함수를 근사화한다. 전파환경 변수들이 신경회로망 입력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3차원 지형도와 벡터지도를 이용하여 전파의 반사, 회절, 산란 등의 물리적인 특성이 고려된 특징 추출을 통해 정량적인 수치들을 계산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훈련데이타를 이용한 신경회로망 학습을 통해 전파손실 모델을 완성한다. 이 모델을 이용하여 서울 도심 지역의 실제 서비스 환경에 대한 타 모델과의 비교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모델의 우수성을 보인다.Abstract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ave propagation models are used in most cases to predict cell coverage. The amount of propagation loss induced by the obstacles in the propagation path, however, is a highly non-linear function, which cannot be easily represented mathematical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ethod of producing propagation loss prediction models by function approximation using neural networks. In this method, we assume the propagation loss is a function of the relevant parameters such as the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antenna, the specification of the transmitter antenna, obstacle profile, diffraction effect, road, and water effect. The values of these parameters are produced from the field measurement data, 3D digital terrain maps, and vector maps as its inputs by a feature extraction proces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reflection, diffraction and scattering. The values produced are used as the input to the neural network, which are then trained to become the propagation loss prediction model. In the experimental study, we ob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improvement over COST-231 model in the prediction accuracy using this model.

Microwave Reflective Properties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전파반사 특성)

  • Kim, Seong-Su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8 no.2
    • /
    • pp.161-164
    • /
    • 1998
  •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전파 반사특성을 전파전송 이론에 근거하여 해석하였다. 탄소섬유 복합재료의유전상수를 투과/반사법에 의해 4-12GAz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재료정수로부터 반사손실을 시편의두께와 주파수의 함수로 계산하였다. 탄소섬유 복합재료는 높은 유전상수와 도전손실 특성에 의해 전파의 반사율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파장에 비해 시편의 두께가 작은 경우 반사손실은 두께에 매우 민감하였으며, 이는 입력 임피던스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전자파 차폐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저주파 대역에서 시편의두께 조절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3D Propagation Prediction Model for Indoor Environment (실내 환경에서의 3차원 전파예측 모델)

  • 고욱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0 no.1
    • /
    • pp.133-141
    • /
    • 1999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ndoor propagation prediction model which is based on a three-dimensional ray-tracing technique. In this model, instead of considering all obstacles such as furnitures and fixtures, etc., only main obstacles to the propagation such as walls, ceiling and floors are modeled as slabs with finite thickness and conductivity, and the significant phenomena of propagation are considered, so we can calculate simply and predict accurately the propagation losses. The propagating rays are considered to be reflected and transmitted specularly at the boundaries of obstacles, and diffracted at edges.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losses on flat obstacles are calculated by using ray tracing method, and the diffraction losses at edge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uniform theory of diffraction (UTD) for finite conductivity media. The results simulated for some cases by this propagation model good agree with the measured value of pathlo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