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파전파특성

Search Result 2,305,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A Study on Measuring Technique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Characteristics of Microwave Absorbers (전파흡수체의 전파흡수특성 측정기법에 관한 연구)

  • 김동일;안영섭;정세모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4 no.1
    • /
    • pp.10-19
    • /
    • 1993
  • As a method to measure the absorbing characteristics of microwave absorber, the various microwave measuring method can be used fundamentally. There is, however, a big problem in measuring errors, since the wavelength of microwave such as used for radar is very short.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design and fabricate a converting adaptor of 20mm .PHI. coaxial tube from a Type - N connector to $20mm\phi$ coaxial tube and to use it for evaluating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microwave absorber. Furthermore, the measurements of absorbing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constants have been performed and reviewed, which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coaxial tube and by using rectangular waveguide, res- pectively.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asuring method has been confirmed.

  • PD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Solitons in Nonlinear Ken Media (비선형 Ken 매질에서의 공간 솔리톤의 전파특성)

  • 최봉필;김재관;정제명;장호성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310-311
    • /
    • 2003
  • 비선형 Kerr 매질에서 광파의 전파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수치해석 방법들이 연구되어오고 있다 그중 FDTD 방식은 시간의 종속적인 Maxwell curl 방정식에 대해 어떠한 시간적, 공간적 근사를 사용하지 않고 광파의 전파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유도되었기 때문에 산란과 같은 종축방향 불연속 문제나 비종축 파의 전파 특성 문제에 대해 보다 신뢰성 있는 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비선형 Kerr 매질에서의 광파의 전파 특성에 대해서 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Broad-Band Design of EM Absorberfor for Anechoic Chamber (전파무향실용 전파흡수체의 광대역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 손준영;배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343-343
    • /
    • 2001
  • 최근 전자산업과 전파통신산업의 발달에 따라 불요전자파에 의한 전자파장해가 심각한 수 준에 이르게 되었다. 그 결과 국 . 내외 전자파환경은 나날이 악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 회적 문제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CISPR(Comite Internationale S Special des Perturbations Radioelectrique),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s) A ANSI(Amerci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둥이 주축이 되어 국제 규정이 제정되어 각종 전자기기들에 대해 방사(EMI) 및 내성(EMS)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제규정이 요구하는(30 MHz - 18 GHz) 주파수 범위에서의 EMIjEMS 측정을 하기 위해 광대역(Broad-band) 전파무향실(Anechoic Chamber)이 필요하지만1 기존의 Ferrite T Tile 또는 그리드형 전파홉수체는 20 dB 이상 전파를 홉수할 수 잇는 주파수 대역이 30 M MHz - 400 MHz 또는 780 MHz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전파무향실 을 구성하기에는 곤란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 규격을 만족하는 전파무향실을 위한 광대역 전파홉수체를 개발하기 위해, 다충형으로 구성하고, 전파흡수체의 형상을 변화시켜 등가재료정수법을 사용하여 설계하고 그 특성을 평가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실에서 기폰에 제안한바 있는, 금속판 위에 타일형 페라이 트 충, 그 위에 원추절단형 페라이트 층과 원통형 페라이트 층을 적층시칸 형상의 전파홉수 체는 30 MHz - 6 GHz 정도까지 커버할 수 있으나, 1 GHz 부근의 주파수 대에서 16 dB 정도의 홉수능 밖에 가지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금속판 위에 타일형 페라이트 층 을 형성하고 그 위에 원통형 페라이트 충, 원추절단형 페라이트 충I 원통형 페라이트 충, 타 원형 페라이트 충을 형성한 새로운 형태의 전파홉수체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 제안한 새로운 형태의 전파흡수체의 시물레이션 결과 30 MHz - 20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전반적으로 25 dB이상의 전파흡수능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기폰에 제안한 전파홉수체와 비교하면,1GHz 부끈에서의 전파홉수능을 10 dB 이상 개선하였다. 나아가서/ 실재로 제작한 전파흡수체의 측정된 주파수특성이 시율레이션에 의한 이론치와 3 30 MHz - 6 GHz의 범위에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y 전파 홉수체의 전체 높이는 2 27 mm 밖에 되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파 홉수체를 사용할 경우 전파무향실의 유 효공간 확보에 매우 유리한 이점을 가진다

  • PDF

Propagation delay due to irregular terrain of DGPS medium frequency signal (DGPS 중파 신호의 지형에 의한 전파 지연)

  • Yang, Seung-Chur;Yu, D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63-165
    • /
    • 2005
  • 최근 GPS의 이상 현상에 대한 대비 핀 독자 항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유럽의 갈릴레오 일본의 QZSS 등 세계 선진각국의 GPS에 독립적인 위성항법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GPS의 백업 용도로 지상항법 시스템인 Loran의 현대화 작업 등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독자항법에 대한 필요성이 거론되었고 해양수산부는 해상 밀 국내 전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신호 영역을 가진 DGPS 신호의 대체항법 및 시각동기 인프라로서의 활용성에 대해 정책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GPS 보정 정보를 방송하는 DGPS 비콘 신호는 중파 대역으로 지표를 따라 전파되는 특성이 있다. 지표를 따라 전파되는 지표파는 지형의 전도율과 고도에 의해 전파의 전파시 추가 지연이 발생하고 이 추가 지연은 항법 린 시각동기에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은 DGPS 신호가 지형의 특성에 따라 지연되는 전파 특성 및 전파지연모델을 소개하고 해당 전파지연모델 구현 결과를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cdot$검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 PDF

PCB상의 전자파노이즈 억제용 전파흡수체 개발

  • Choe, Dong-Su;Kim, Dong-Il;Choe, D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3-1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Flake Sendust 금속분말을 이용하여 ISM 대역에서 PCB 노이즈 억제용 전파흡수체를 설계 제작하고 검토한 결과를 보고한다. 먼저 자성손실 재료인 Sendust 금속분말을 사용한 전파흡수체의 특성을 예비 시험한 후, 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Flake Sendust 분말과 CPE의 조성비를 각각 60 : 40 wt.%, 70 : 30 wt.%, 80 : 20 wt.%로 하고, 두께 1 mm, 2 mm의 sheet형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하였다. Network Analyzer를 이용하여 제작한 샘플의 반사계수를 측정하고, -2법으로 재료정수(복소비유전율, 복소비투자율)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재료정수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전파흡수체를 설계하여, 조성비 Flake Sendust : CPE = 70 : 30 wt.%, 두께 0.55 mm의 전파흡수체를 제작하였다. 이 전파흡수체는 2.44 GHz 대역에서 5.45 dB의 흡수능을 나타냄으로써 목표치인 5 dB를 달성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s with Alnico Magnets (Alnico magnets를 이용한 전파흡수체의 개발)

  • 신승재;문상현;김동일;송재만;김기만;최동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23-27
    • /
    • 2004
  • Developing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s for GHz frequency, we used cast Alnico magnets. It is the first research paper to show that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s with Alnico magnets have good reflectivity in the GHz frequencies. Especially in this study, we used recycled cast Alnico magnets for natural resources problems and natural environment problems. New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useful for X-band and C-band.

  • PDF

EPLD를 이용한 전파세기 측정기 Proto-type 제작

  • Gang, Yong-U;Je, Do-Heung;Wi, Seok-O;Han, Seok-Tae;Byeon, Do-Yeong;Kim, Gwang-Dong;Kim, Su-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2.1-72.1
    • /
    • 2011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orean VLBI Network, KVN)을 이루는 21m 전파망원경 수신기들의 전파세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전파세기 측정기를 설계, 제작 중에 있다. 이 장치는 수신된 우주전파신호를 주파수로 변환해서, 전파관측 중의 모니터링이나 수신신호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장치이다. 지난 연구(강용우 외, 2010)에서 이러한 회로 특성 파악과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게 전파세기 시험용 측정기를 제작하고 시험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용 측정기의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EPLD(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s)를 이용한 전파세기측정기를 새로 개발 중에 있다. 이에 지금까지의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3D Wave Propagation Loss Modeling in Mobile Communication using MLP's Function Approximation Capability (MLP의 함수근사화 능력을 이용한 이동통신 3차원 전파 손실 모델링)

  • Yang, Seo-Min;Lee, Hyeok-J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10
    • /
    • pp.1143-1155
    • /
    • 1999
  • 셀룰러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의 유효신호 도달범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전파전파 모델을 이용한 예측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전파과정에서 주변 지형지물에 의해 발생하는 전파손실은 매우 복잡한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며 수식으로는 정확한 표현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의 함수 근사화 능력을 이용하여 전파손실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전파손실을 송수신 안테나간의 거리, 송신안테나의 특성, 장애물 투과영향, 회절특성, 도로, 수면에 의한 영향 등과 같은 전파환경 변수들의 함수로 가정하고, 신경회로망 학습을 통하여 함수를 근사화한다. 전파환경 변수들이 신경회로망 입력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3차원 지형도와 벡터지도를 이용하여 전파의 반사, 회절, 산란 등의 물리적인 특성이 고려된 특징 추출을 통해 정량적인 수치들을 계산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훈련데이타를 이용한 신경회로망 학습을 통해 전파손실 모델을 완성한다. 이 모델을 이용하여 서울 도심 지역의 실제 서비스 환경에 대한 타 모델과의 비교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모델의 우수성을 보인다.Abstract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ave propagation models are used in most cases to predict cell coverage. The amount of propagation loss induced by the obstacles in the propagation path, however, is a highly non-linear function, which cannot be easily represented mathematical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ethod of producing propagation loss prediction models by function approximation using neural networks. In this method, we assume the propagation loss is a function of the relevant parameters such as the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antenna, the specification of the transmitter antenna, obstacle profile, diffraction effect, road, and water effect. The values of these parameters are produced from the field measurement data, 3D digital terrain maps, and vector maps as its inputs by a feature extraction proces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reflection, diffraction and scattering. The values produced are used as the input to the neural network, which are then trained to become the propagation loss prediction model. In the experimental study, we ob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improvement over COST-231 model in the prediction accuracy using this model.

Development of Impulse Propagation Model between Lanes through Temporal-Spatial Analysis (시공간적 분석을 통한 차로간 충격량 전파모형 개발)

  • Kim, Sang-Gu;Ryu, Ju-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3
    • /
    • pp.123-137
    • /
    • 2011
  • In general, flow propagation has been explained using the shock wave theory which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variations in volume and density. However, the theory has certain limitation in portraying heterogeneous flow, e.g., flow propagation between lanes. Motivated by this fact, this study seeks a new measure for analyzing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 at three sections of highway (i.e., merging area, weaving section, and basic section) from temporal and spatial perspectives, and then develops a model for estimating the measure for the flow propagation. The "shock wave speed" which is the measure widely adopted in literature, was first applied to describe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but it was hard to find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propagation. This finding inspires to develop a new measure named "Impulse Volume". It is shown that the measure better explain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t the three study sections of highway. In addition, several models are also developed by performing multi-regression analyses to explain the flow propagation between lanes. The model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sections and the lane placement.

전파이용 지능화를 위한 기지국 안테나 제어기술

  • 장대석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7 no.1
    • /
    • pp.32-38
    • /
    • 1996
  • 우리나라 전파 이용현황은 사회경제의 발전, 전파 이용기술의 진보등에 의하여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파이용 시스템의 기능은 다양화, 고도화 되고 있다. 1995년 현재 우리나라 무선국 수는 2,021,771국이며, 특히 육상 이동국은 1,768,260국이다. 이런 상 황에서 안정되게 주파수 공급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양적 확대 뿐만 아니라 주파수 유효 이용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는 전파를 최대한 능률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1991년부터 전문 연구회를 조직하여 전파이용 지능화에 필요한 기술, 기술개발 과제, 제도상의 과제, 기술개발과 도입을 위한 대책에 관한 조사연구를 수년간 활발하게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부터 전파지원 이용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전파이용 지능화 기술에 관한 연구를 하지 못하였다. 외국의 전파이용 지능화 기술 개발현황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전파 이용 지능화 기술개발의 기반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전파이용 지능화를 위하여 중점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기술로서 기지국 안테나 제어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전파이용 지능화를 위한 기지국 안테나 제어기술에 관하여, 통신시스템을 요구되는 조건, 방식 및 효과, 특징 및 특성 등을 고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