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 재료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27초

웹기반 전통흙건축재료 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arth Material Information Service for Korean Traditional Building)

  • 이상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2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전통 건축을 위해 사용되었던 흙건축 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웹 환경에서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 기반 정보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전통흙건축재료 정보서비스는 특히 고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하므로, 일반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 한자 용어 중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 검색이 수행되는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병행되므로 데이터의 확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흙 건축재료를 위한 정보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주요 이슈들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는 여러 방안들을 제시한다.

단게 겐조(丹下健三)의 건축에서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 형식적 측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ity in the Architecture of Kenzo Tange - Focused on formal aspects -)

  • 권제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79-188
    • /
    • 2020
  • 단게 겐조는 현대건축의 창작 과정에서 전통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관심을 가졌고, 일본건축의 전통성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현대건축에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단게는 자신이 주장했던 '신(新)전통'의 관점에서 전통을 건축재료나 구성요소적 측면에서 표현하였다. 단게는 건축재료와 구성요소 등에서 일본 전통건축의 조형을 서양의 기술과 조화시킴으로써 국제 건축계의 담론과 상응하면서도 서양의 것과는 구별되도록 전통건축에 근간을 둔 '일본적인 건축양식'을 창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게가 건축에 사용한 건축재료와 구성요소에서의 전통의 표시나 흔적을 찾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서구의 문명을 거의 비슷한 시기에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소화하여 전통건축과 접목하는 데는 일본과 매우 다른 과정과 결과를 가졌던 우리 건축계에 시사점을 갖고자 한다.

이달의 과학자-서울대 임산공학과 이전제 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1권4호통권347호
    • /
    • pp.82-83
    • /
    • 1998
  • 새로운 목재사용 전통목조건축 재현 연구-우리나라에서 건축 부자재로 사용되는 목재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시멘트 등을 재료로 한 건축이 늘면서 전통적인 우리의 건축양식이 사라져 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대 임산공학과 이전제교수(47세)는 우리의 전통목조건축을 새로운 목질재료를 사용하여 재현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서울대 미식축구부 지도교수 겸 감독을 맡고 있는 이교수의 학문세계를 조명해본다,

  • PDF

전통.대륙.나라 - 환상의 궁합을 이룬 발효식품 - 김치에 쓰이는 좋은 재료와 양념 -

  • 강순아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1권2호
    • /
    • pp.11-16
    • /
    • 2008
  •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미국 "Health"지에 선정된 우리의 김치는 발효식품이자 가장 과학화된 기능성을 가진 식품으로 다양한 재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품이다. 음식이 약이 된다는 약식동원(藥食同源)이란 말이 있듯이 우리의 자존심이라 할 수 있는 김치는 어머니의 손맛과 사랑이 담겨져 있는 우리의 대표적인 식문화이면서 전통음식이다.

  • PDF

한국 전통 가옥 내부 기류 전산 해석 (Numerical Analysis of Air Flows inside Korean Traditional House)

  • 김재원;안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9-471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전통건축 중 한옥을 중심으로 건축설계물 내부의 기류현상을 분석하여 전통건축의 설계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통 건축물의 주요부재에 관한 열역학적 물성치를 대표 값으로 설정하고 물성치의 변화를 실험 결과를 활용하여 보정하여 한옥 내부의 유동장과 온도분포 예측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건축 부재의 열역학적 특성이 현대의 다양한 기능재료에 비해 열악할지라도 이를 부재간의 배치와 조합을 통해 소정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한 사례를 규명할 것이다.

  • PDF

건축문화유산 보존과 관련된 전통기술 논의 고찰 - 숭례문 복구에 있어서의 전통기술 적용 논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bate on traditional technique for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 Focusing on the dispute over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for the restoration of the Sungnyemun gate -)

  • 강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208-223
    • /
    • 2014
  • 최근 2008년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복구된 숭례문(崇禮門)의 단청 문제가 제기되면서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의 전통기술 적용 문제가 논쟁거리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의 전통기술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전통기술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으로 '전통'에 대한 관념에 기초하고 있다. 전통은 '고정불변하는 존재'가 아니라 '계승 발전하는 존재'로 보아 '살아있는 존재'로 규정되며, 그에 따라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연행, 전통공예 등'은 '고정된 실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문화재 보존의 기본원칙인 '원형 보존'에서 '원형'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규정하기 어려운 존재로 보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이렇게 원형을 규정하기 어려운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기술'이 유형문화재의 보존현장에 적용될 때 그 개념이 명확히 하지 않음으로 인해 보존 현장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전통기술'의 적용범위와 한계에 대한 논의 없이 현장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즉 '전통재료'를 사용하여 '전통기술'로 수복을 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은 어디까지이며 문화재의 보존에서 이것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한 논의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통기술의 적응문제를 국제적인 보존원칙 변화 과정의 검토와 함께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 결과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기술'의 보존도 중요하지만 '유형문화재에 남아 있는 기술', 더 나아가 '제작 당시의 기술을 담고 있는 원래의 재료 보존'이 더욱 중요한 문제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The Types of the Rural Housing in the Sea Islands of Gyeongna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 이전;성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0-672
    • /
    • 2015
  •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촌락 가옥에 대한 지리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민가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경남 도서지역 가옥의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지역의 가옥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촌락 가옥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하는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 우진각 맞배지붕과 같은 전통적인 지붕 형태를 가진 가옥이 많고, 전통적인 지붕 형태 이외의 가옥 유형에서는 단순평지붕 가옥이 많다. 두 개 이상의 지붕 형태를 가진 결합양식지붕 가옥 유형의 경우, 경사-평지붕 가옥이 경사-경사지붕 가옥보다 10여 배나 많다. 지붕 재료 중에서는 시멘트,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특정 지붕 재료가 특정 지붕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연구지역의 주요한 가옥 유형을 '지붕 재료와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 PDF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의 정원 디테일에 나타난 재료 표현기법 및 상징성 연구 (A Study on Material Expression and Symbolism of Carlo Scarpa's Garden Details)

  • 이형숙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4-60
    • /
    • 2018
  • '디테일의 거장'이라고 불리는 이탈리아 디자이너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는 당시 시대적 조류였던 모더니즘의 한계를 넘어 지역성과 역사성이 담긴 감성적이고 시적인 정원을 창조한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는 스카르파 정원작품 속 디테일의 표현기법, 재료사용, 상징성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디자인 철학 및 접근방법, 현대 정원설계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 및 현장조사 방법을 통해 베니스 및 인근지역에 위치한 스카르파 정원 및 공원의 디테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카르파는 재료의 물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의 병치, 대비, 혼합을 통해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풍부하고 흥미로운 정원공간을 연출하였다. 둘째, 재료의 연결과 병치에 있어서도 유리세공과 같은 수공예적인 기법이나 덧대기 등의 텍스타일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여 섬세하고 세련된 정원 디테일을 구성하였다. 셋째, 지그라트 모티브나 기하학 등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언어를 통해 단조롭고 삭막해 보일 수 있는 모더니즘 정원에 풍부하고 화려한 장식성을 부여하였으며, 물, 지형, 식재 등의 자연적 소재들을 통해 장소, 역사, 문화, 인간의 삶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공예가적인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섬세한 재료이용과 디테일을 통해 서술적이고 시적인 정원을 설계한 스카르파의 모더니즘 정원은 오늘날 전통재료 및 문화의 현대적 재해석 방법에 있어 많은 시사점을 준다.

한국의 전통 - 역사의 부침과 함께해온 전통주

  • 박록담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2권1호
    • /
    • pp.32-37
    • /
    • 2009
  •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어떤 재료,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됐든 고래(古來)로부터 우리나라 사람이 주식(主食)으로 삼아온 쌀로 빚는 술로서, 지금처럼 내다 파는 술이 아니라 가정에서 빚어 상비(常備)해두고 나눠 마시는 가양주(家釀酒)를 그 뿌리로 하여 발달해왔다. 특히 천신목적(薦新目的)에서 출발하여 신인공음(神人共飮)하는 음식으로, 반주(飯酒)를 비롯하여 부모와 향리(鄕里)의 노인 봉양(奉養)과 손님 접대, 그리고 농사일에 쓰는 농주로 사용되었다는 공통된 문화와 역사를 바탕에 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