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 건축

Search Result 73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etadata Schema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Based on FRBR (FRBR기반의 전통건축물 메타데이터 스키마개발에 관한 연구)

  • Lee, Youn-Yong;Kang, Eun-Bi;Lee, Jae-Na;Kim, Y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3
    • /
    • pp.29-57
    • /
    • 2014
  • As one of various cultural heritages created by humanity, traditional architectures are an archival heritage and cultural heritage reflecting social trends and historical facts. These traditional architectures show various featur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by local areas and climatic conditions. They can be expressed in diverse formats such as a picture, a floor plan, and a book. For managing and retrieving traditional architecture rec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adata schema based on the FRBR model.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blem of domestic and foreign metadata schema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and proposes the FRBR-based metadata schema for manag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Classical Tradition in the Modern Movements - Architectural Historical re-evaluation on the possibility of Italian Rationalism - (근대 건축과 고전 건축의 전통성 문제 - 이태리 합리주의 건축의 가능성에 대한 건축사적 재평가 -)

  • Yim, Seock-Jae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2 no.1 s.3
    • /
    • pp.126-135
    • /
    • 1993
  • Italian Rationalism held a specific position in the Modern Movements of Architecture, due to the fact that Italian Rationalism could not totally escape from the classical tradition of Italy. Until the seventies, Italian Rationalism had been criticized for having made no contribution to the progressive aspects of the Modern Movements owing to the very keeping of tradition. After the seventies, however, there emerged a movement which tries to reinterprete the Modern Movements of Architecture in relation to tradition and under this new situation, Italian Rationalism is believed to have a historical possibility of unifying tradition with modernity. This study is to show how Italian Rationalism struggled with the issue of tradition, why Italian Rationalism was under-evaluated and which historic lesson we can learn from it in the contemporary days of the revivalistic Post-Modernism.

  • PDF

A Study on Improvements of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Fields in the 6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제6판 건축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방안)

  • Kim, Songie;Chung, Yeon 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3
    • /
    • pp.7-27
    • /
    • 2014
  • Constructions and Architecture fields were divided into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in the 5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but those were combined in the 6th edition of KDC published in 201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problems and to suggest modifications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5th and the 6th editions of KDC,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Nippon Decimal Classification and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The necessity of reclassification, a long classification number for History of Architecture and addition of categories of traditional building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are required to improve the 6th edition of KDC and the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of those problems are suggested.

영혼이 쉬어가는 곳, 정원

  • 이승민
    • 주택과사람들
    • /
    • s.221
    • /
    • pp.92-95
    • /
    • 2008
  •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아름다운 정원을 보면 그 속에서 건축과 문화 예술적 가치의 정수를 만날 수 있다. 특히 중국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이화원, 졸정원, 유원의 세 정원을 보면 중국의 역사와 예술혼이 고스란히 숨어 있음을 느끼게 된다. 삶의 여유와 진정한 안식을 꿈꾸던 중국인들의 지혜를 탄생시킨 비밀의 정원으로 가보자.

  • PDF

풍수지리 이야기 5

  • Kim, Ho-Nyeon
    • 공원문화
    • /
    • s.76
    • /
    • pp.89-99
    • /
    • 1999
  • 인간은 그동안 자연의 위협을 많이 정복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예민할 필요가 없어져 전통적인 지혜에 무관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우리 선대들이 남긴 생활의 고급지혜다. 우리 조상들은 풍수지리설을 삶의 지혜로서 지금의 과학만큼 믿고 신봉해왔다. 우리의 전통문화, 특히 민중의 생활양식은 풍수사상과 얽히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다. 근래에 이르러 한때 토속신앙도 무너지고 풍수설은 미신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건축, 역사, 환경, 민속학,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수지리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풍수지리의 어제 오늘 내일을 이야기 식으로 재미있게 풀이한 저서 "땅을 알고 터를 잡자"(김호년 저)를 몇차례로 나누어 싣는다.

  • PDF

한국의 주택난방 변천과정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s.21
    • /
    • pp.67-78
    • /
    • 1990
  •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의 유물이 한반도 각지에서 발굴됨에 따라 이 시대부터라는 것이 자명한 사실로 인정된다. 그러나 이들 구석기인들이 우리의 직접적인 조상이 된다고 할 수 없는데, 구석기 시대를 뒤이은 중석기 시대의 유적발굴과, 연구의 부족으로 중석기문화에 대한 단절이 있으며 신석기 문화가 새로 생겨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 한국인의 조상으로부터 시작되는 한국주거사, 나아가 주택난방의 시작은 당연히 신석기 시대부터 고찰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조선시대까지의 한국전통주택건축의 난방설계를 이해케하며 이를 통하여 한국전통 생활사의 일부를 밝힌 고려대학교 주남철 교수의 논고 $ulcorner$한국의 주택난방 변천과정$lrcorner$을 전재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