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주거건축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초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한동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노형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e Evaluation of Old Dwelling Façade Design Factor

  • Park, Jin-A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33-340
    • /
    • 2013
  • 생활양식이나 형태 변화에 따른 전통적인 주거건축들의 전통성, 공공성과 사유권의 균형, 계승 발전, 보존에 부가되는 공동체의 활성화와 효용성 등 환경 개선이라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들 역사 경관 권역의 경관훼손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적 경관의 고유한 특성과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속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입면디자인 평가척도 (지붕, 창호, 기둥, 벽면, 마루, 주초석, 기단)를 기준으로 쌍대비교를 실시하여 도출된 Synthetic Evaluation Value를 Fuzzy 방법을 통해 Fuzzy Integral (Choquet Integral) value를 추정하여, 가치속성을 규명하였다. 속성 간 가중치 산정결과에 ${\lambda}$-value를 이용하여 Sensitivity Analysis를 실시하여 유효함을 검증하였다.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가치속성을 추정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방법론이며, 복합 가치속성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 PDF

한국 전통건축공간의 퍼지성에 관한 연구 - 전통주거건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zziness of the Korea's Traditional Architecture)

  • 이진길;남해경;박한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9-18
    • /
    • 2000
  • The fuzzy theory is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the subjectivity and the ambiguity. The paradigm of the fuzzy theory is to explore a regularity from the subjectivity and the ambiguity. Nowadays, the fuzziness, the main concept of the fuzzy theory, is widely applied to a lot of fields as the theory which is positively accepted and actively interpreted. In the science, the fuzziness is officially called as multi-valence. On the other side, there exists the other theory called Han-ism which is presumed as a prototype of korean philosophy. The basic concept of the Han-ism - one, many, middle, same, about - includes the fuzz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fol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uzzy theory and Han-ism, and furthermore, to interpretate the cultural phenomenon and architectural spaces in koreas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a viewpoint, the fuzziness of the Han-ism.

  • PDF

한국 전통건축의 미학적 특성을 통한 주거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현대 주거공간의 단절성 해결방안으로서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using Design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focu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as solution of severance in modern housing -)

  • 박희정;모정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19-42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so that it resolve severance problems in modern housing. The main method adopted this study was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y on traditional architecture. This study did the followings; First, it reviewed literature about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severance problems in modern housing. Second, it identified the mai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lessen severance problems in modern housing in the context of severance among people, architecture and nature. Third, it applied the analyze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modern housing and showed the housing design exam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