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민속마을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직지'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 민속체험 행사서 인기 '짱'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51호
    • /
    • pp.72-73
    • /
    • 2006
  • 왕곡마을은 동해안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진 기와집들은 모두 강원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이는 긴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구조로, 특히 부엌 앞 처마에 외양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들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자연경관 전통주택.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전체에 잘 지켜져 오고 있어 전통 민속마을로 의미가 있다.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1리에 위치한 왕곡마을은 중요민속자료 제 235호로 지정되어 있다.

  • PDF

중국 민속(民俗)마을의 전통(傳統)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북경(北京)시 문두구(門頭溝)구 천저하마을(爨底下村)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lor Analysis of Chinese Historic Village - Focus on Cuandixia Village of Mentougou District in Beijing -)

  • 마원;임진강;김동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2-128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민속마을에 대한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중국 천저하 민속마을을 대상으로 전통 민속마을의 색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한국표준색분석(KSCA: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채를 분석하고 'I.R.I 형용사 Image Scale'을 통해 색채이미지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첫째, 천저하마을의 색상 분포는 YR, R, Y, GY 계열의 순으로 나타났고, G계열과 BG계열, B계열은 전혀 나타나지 않은 반면 YR계열의 색상이 많은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둘째, 명도와 채도에 있어서는 전체가 중명도와 저채도에 해당하는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상업고택에서만 고채도가 추출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저채도 위주의 중 저채도의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다. 셋째, KS계통색(KS Color System)의 분석 결과 대부분 어두운 색이 도출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어두운 적회색과 갈회색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마을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정적이고 딱딱한 분위기이고 점잖은 이미지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통마을의 보전 관리에 있어 추출 된 색채 팔레트를 참고하여 국가와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색채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더불어 해당 마을의 문화가 반영된 색채는 보전하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색채계획을 적용한다면 민속마을의 정체성 있는 색채 연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칠석동 민속축제복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stume for the Folk Festivals of Chilseok-dong)

  • Kim, Eun-J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97-1404
    • /
    • 2003
  • 2002년 월드컵 전야제에서는 한국문화를 소개해 세계인의 환호를 받았는데 그 중에는 칠석동 민속축제인 고싸움놀이가 펼쳐졌다. 칠석동 민속축제는 일반 서민복식의 전통복 형태를 보여주는 복식(服飾)을 실제 착용하고 축제를 행하고 있으므로,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복식을 놀이문화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화 시대에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해 가는 민속복식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칠석동 고싸움놀이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을 통한 고싸움놀이의 전수과정에서 형성되어 온 민속축제복식의 구성과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지역인 광산구 칠석동 마을을 중심으로 자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자료조사는 민속에 관련된 전공서적과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행사팜플렛 등을 참고하였고, 현장조사는 고싸움 축제에 참가하여 복식 전반에 대한사진촬영과 마을축제 참여하는 마을사람들을 중심으로 축제복식에 관한 면담조사를 하였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은 행사가 진행되는 내용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격적인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날 밤에 당산나무에 제를 지내는 당산제 복식, 마을의 평안과 고싸움의 흥을 돋우기 위한 농악복식,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에 아낙네들이 손과 손을 맞잡고 둥글게 돌며 화합을 다짐하는 강강수월래 복식, 한해 풍년을 기원하는 고싸움복식이 있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면에서는 농경제의(農耕祭衣)와 안택축원(安宅祝願的)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축제복식으로 일상생활에 착용하는 복식을 이용한 농경 의례복의 다(多)기능성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색상은 우리조상의 백의(白衣)의 상징인 일상복인 백색 위에 오방색을 사용하여 화려하고도 강렬한 원색의 색상조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형태면에서는 양쪽어깨와 허리선의 면 분할이나 비례를 통해 허리부분의 동작에 따른 유동적인 선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평면구성의 단조로움은 흔들리는 몸동작에 따른 고름의 율동미와 축제복식의 착장 방법에 따른 한국복식의 형태미를 보여주었다.

민속마을 거주자의 법적 제약으로 인한 충돌과 절충 K지역의 Y마을 고가옥 거주자를 중심으로 (Conflicts and Compromises due to Legal Limitations among the Residents of Folk Villages With a focus on the residents of old houses in Y village of K)

  • 손대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74-95
    • /
    • 2009
  • 민속마을로 지정된 마을은 다른 마을에 비해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마을로서 지금까지 전통적 요소가 상당히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현재 민속마을로 지정된 곳은 7개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서 마을 전체가 보호를 받고 있다. 민속 마을에 적용되는 문화재보호법은 개별적으로 지정되는 일반 유형문화재와 달리 마을 내 전체 주민이 실제 거주 사용하는 가옥과 부속건물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문화재보호법이 마을 전체를 지정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마을 안에 있는 건축물을 마음대로 개보수할 수 없다. 그 결과 민속마을 거주자들은 일상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되는데, 그 중에서 주거생활의 제약이 가장 크다. 민속마을 지정은 마을 보존의 측면에서 보면 긍정적이지만, 거주자의 입장에서 보면 법적으로 주거생활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부정적이다. 왜냐하면 현대사회의 첨단 기술이 주거생활에 도입되어 일반 사람들은 편리한 생활을 하고 있는데, 민속마을 주민들은 전통문화의 보존이라는 명목으로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국 민속마을 지정과 함께 주민들은 각종 건축규제를 받으며 직간접적으로 주거생활뿐 아니라 다양한 생활부문에까지 상당한 영향을 입게 된다. 그러므로 민속마을 주민들은 문화재보호법에 적지 않은 불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재보호법에 의거한 전통문화 보존을 추구하는 국가와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거주자 사이에는 충돌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민속마을 거주자들 역시 일상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려는 욕구는 당연하다. 그래서 거주자들은 불법적으로 가옥 개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국가기관에서도 일정부분 알고 있지만, 무조건 법의 잣대로 그들의 일상생활을 제약만 할 수 없다. 이런 불법 개조의 암묵적 허용은 거주자의 사유재산을 사용하는 권리와 국가의 문화재보호정책이 절충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거주자들도 국가 기관에서 법적 제재를 가하지는 않는 범위 내에서 개조를 하려고 하고, 국가 역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가옥 내 개조를 허용해준다. 이는 곧 국가와 거주자들이 가지고 있는 각자의 불만을 봉합하고 절충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안동 하회마을과 헛제사밥

  • 전기환
    • 건강소식
    • /
    • 제28권11호통권312호
    • /
    • pp.36-37
    • /
    • 2004
  • 안동은 경북 북부지역의 중심도시로서 동으로 영양, 청송, 서에는 예천, 남으로는 의성, 북으로는 영주와 봉화에 맞닿아 있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빼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고가옥 등 한옥으로만 이루어진 하회민속마을, 퇴계 이황 선생이 후학을 양성하던 도산서원, 현존 최고의 목조건물이 있는 봉정사 등 273점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문화의 도시이기도 하다. 그 가운데 하회마을은 조선시대에 지어진 건축물들이 고스란히 보존돼 그 가치가 높다. 안동 하회마을은 충남 외암리, 순천 낙안읍성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전통 가옥과 풍속을 잘 살펴볼수 있는 민속마을이다.

  • PDF

전통민속마을 소방방재 기본구상 - 아산 외암민속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asic Ideas for Fire Fighting Prevention System in Traditional Folk Village - Focused on Oeam Folk Village in Asan -)

  • 이정수;이왕기;오규형;신교영;권흥순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1호
    • /
    • pp.71-90
    • /
    • 2010
  • This research has set up the fire protection and early suppression plan for Asan Oeam folk village which is composed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instinct or compl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require attentive considerations about the fire property of the Waga and the straw roofed house. Especially, as the straw roofed house has property that the transfer and development of the fire is fast. Therefore we studied on the transferring possibilities of the fire dangerous instinct through measuring the distance from of the eaves edge and trees in neighboring house. 2. This research proposes the tools for the priority protective building through consideration of fire risk and cultural priority because the fire prevention for all is impossible at the same time. 3. The most important thing is preserve the cultural identities of traditional folk village in establishing the fire hydrant and fire prevention facilities. Traditional folk village landscape should be considered.

전통민속마을의 주거변형실태에 관한 연구 - 낙안민속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formation of Folk Village)

  • 박익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63-74
    • /
    • 2004
  •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Nagan Folk Village, primarily because of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ly, analysis the fact of the dwelling change through spot-survey and case-investigation, and is to find a way to improve for the rational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dwelling analyzing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reason for such changes in the Nakan Folk Village. The dwelling change is stemmed from the physical factors, and some modifications of internal composition, exterior formation, building equipment. As a result, The changes of internal composition are included in the reduction of garnering room, the enlargement of bed/service room, the establishment of mechanical room. The changes of exterior formation with structural material are included in the glass door for the internalization of 'TOEMARU', the extra glass door for the brightening of room, the cement plastering for the endurance of wall. The changes of building equipment are included in the establishment of oil-boiler, wash closet, sink for convenient life All houses should be graded on their qualitative value, managed in a cycle. And its own criterion for acceptable deformations should be established.

  • PDF

전통 마을 공동체 신앙의 공간적 해석 - 전통 문화마을 장흥군 방촌을 사례로 - (Spatial Analysis of Communal Folk Belief in Traditional Village - A Case Study on Bangchon Traditional Village -)

  • 박의준;이정록;천득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1-142
    • /
    • 2002
  • 인간에 의해 형성된 공동체와 그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신앙체계는 인간이 특정 지역을 점유하고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발현된 하나의 공간적 행태라고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신앙의 하나인 공동체 신앙은 마을이라는 공간을 점유하고 발현되었다는 점에서 전통 사회 마을 구성원의 공간인식을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의 특성을 공간적 관c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지역으로는 전통문화마을로 지정된 전라남도 장흥군 방촌마을을 사례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인 방촌마을은 내동, 계춘, 탑동, 호동. 호산, 산저, 신기의 7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마을의 입지과정은 고려시대 이후 시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지고 진행되어 왔다. 둘째, 방촌마을의 공동체 신앙은 크게 7개의 입석과 돌장승, 별신제터와 허제비골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방촌마을 공동체 신앙은 크게 마을과 마을의 경계 표시, 마을의 존재를 외부에 알리는 기능, 마을의 중심공간 표시, 마을의 입구와 외곽 경계 표시라는 공간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은 민속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는 신앙과 상징이라는 의미 이외에. 과거 전통사회 자연마을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게 해주는 지시자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예술.문화 - 강릉 서지마을 질밥과 씨종지떡

  • 김순경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1권2호
    • /
    • pp.123-125
    • /
    • 2008
  • 1천년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강릉(江陵)은 태백준령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하천이 수놓은 기름진 들녘과 수자원이 풍성한 동해바다를 거느리고 있어 음식문화 또한 다채롭다. 날로 먹어도 꺼릴 것이 없는 청정한 해산물과 반가에 전래해오는 전통한식, 사천 한과를 비롯한 서지마을 질밥과 씨종지떡 등 고유한 민속음식들이 유구한 경지를 자랑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