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문화

Search Result 2,86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 to Raise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 인식 고취를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고등학교 1학년 '가정생활 문화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 Ban, Youn-Ja;Kim, Nam-Eun;Lee, Hye-Ja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3 no.4
    • /
    • pp.1-17
    • /
    • 2011
  • We investigated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in order to promote it, and we developed and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related to clothing life chapters. We analyzed 12 types of high school freshman tex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selected 5 major subjects of learning 'traditional culture', 'History of Han-bok', 'colors of Han-bok', 'pattern & material of Han-bok', 'globalization of Han-bok' related to 'change of home life & culture' chapter. Also we developed 5-period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and 48-teaching materials(22 for students, 22 - for classes, 4 for teachers) and applied it to usual classes. The mean score of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pre-test. We concluded it was highly efficient in the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as right awareness about traditional clothing life cultur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positive attitude i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about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educa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so we recognized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rough it. We suggest that various themes on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developed and more reinforced. Also we need various traditional culture succession research as field of food life, house life and study Korea's cultural heritage.

  • PDF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China's Reconstruction Movement of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and its Future (당대(當代) 중국(中國)의 전통문화(傳統文化) 복원운동(復原運動)의 철학적 함의와 그 전망)

  • Yeon, Jae-heum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30
    • /
    • pp.311-344
    • /
    • 2010
  • Over 100 years in Mainland China,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e past must be sublated' to 'the heritage must be preserved.' Today, China hopes to deal with the negative effects of industrial development such as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the absence of common values etc.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especially that of Confucianism. The Chinese government superficially accepts Confucianism for the purpose of the social stabilization and ongoing economic development while they keep the Socialism as the nation's ideological system. In the private sectors, there is endeavoring move to make the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global paralleled to their economic growth. There are also scholars who find the cultural unification and the spiritual comfort from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They, so called 'the critical successionists' or 'the cultural conservativists,' believe that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could play a role in the Chinese modernization, and the new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ir tradition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ir future. In my view, we need a careful survey on the view of the critical successionists or the cultural conservativists who regard tradition and culture as a power (力量). With this, we are required to investigate our own problems through the new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Influences of Protestantism on som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of Hmong Ethnic People in Lao Cai Province of Vietnam (베트남 라오까이 지역 흐몽족의 전통적 문화가치관에 미친 개신교의 영향)

  • NGUYEN, Van Hieu;DO, Quang Son
    • SUVANNABHUMI
    • /
    • v.1 no.2
    • /
    • pp.43-71
    • /
    • 2009
  • 베트남 소수민족 공동체 중 Hmong족은 중요한 구성원이라고 여겨져 왔다. 타지에서 베트남으로 이민 와서 다른 민족들과 함께 오랫동안 살아 왔지만 Hmong족은 자기의 민족문화 특색을 잘 지켜왔다. 그런데 지난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종교와 달리 새로운 종교를 믿게 되는 방향으로 Hmong족의 심령의 종교는 많이 변하고 있다. 그 중에 특히 주목받은 것은 개신교의 유입이다. 개신교는 직접적, 간접적 선교 방법으로 Lao Cai에 있는 Hmong족 공동체에 자연스럽게 유입되었다. Lao Cai의 많은 지방에서 사람들이 개신교를 믿게 되었고 그 중에는 가족이나 종족 환경에서 강제적 선교도 일어났다. 개신교는 Hmong족의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Hmong족의 전통 종교, 신앙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 글에서는 Hmong족이 살고 있는 Lao Cai 지방을 선택하여 고찰하며 Hmong족의 전통문화가치에 대한 개신교의 영향 및 원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Hmong사람들은 전통신앙을 버리고 개신교를 믿게 되는 원인을 살펴보자. 주 원인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있다고 본다. -경제와 관련된 원인 -성별 불평등과 관련된 원인 -학문 수준과 정보 습득 희망과 관련된 원인 -전통문화, 심리와 민속의식과 관련된 원인 그리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각도에서 전통문화 가치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첫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 둘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풍속습관 및 전통 신앙에 영향을 준 점이다.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은 여러 방면에서 보인다. 전통적인 가치와 개신교의 새로운 규정 사이의 충돌도 있고 가족 안에서 부부의 위치상 충돌도 있다. 또한 Hmong사람들에게 전통 종족의 역할, 위치를 약화시키는 영향도 주었고 산골 마을에서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과 믿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 일어난 새로운 충돌도 있다 개신교와 개신교의 교리는 역시 풍속습관과 전통신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첫째는 예수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고 조상 숭배나 "집에 있는 귀신 숭배"같은 것보다 강력한 것이다. 그래서 Hmong사람의 신앙, 종교는 원시적 다신교부터 일신교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이 Hmong족의 전통 민속축제를 점차 멀리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 사람들이 자기 민족의 전통문화 환경을 떠나 버리는 일도 있었다. 셋째는 개신교의 교리가 Hmong족의 풍속 규정을 바꾸게 하였고 Hmong사람들이 새로운 종교의 교리를 집행시켰다. 넷째는 인간 인생 주기에 관한 풍속습관 및 민속의례들은 의례 대상보다 의례 주제를 중심으로 삼는 것으로 점차 변화했다. 대체로 개신교가 Hmong족 공동체에 유입하여 이 민족의 전통문화 가치는 변화했다. Hmong족 공동체에 오래 존재해 왔던 낙후한 습관을 개선하는 점에서 개신교는 적극적 역할을 했다. 현재 문제점은 어떻게 전통문화가치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교와 같이 존재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다음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 PDF

Application Methods of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Landscape Design of Korea and China -Focused on Seoul and Beijing Olympic Park- (한국과 중국의 현대조경설계에서 전통문화의 적용방법 - 서울·북경 올림픽 공원을 중심으로 -)

  • Liu, Bing;Shim, Joon-Young;Wang, Qiao;Lee, Shi-Yo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5 no.3
    • /
    • pp.224-237
    • /
    • 2012
  • Based on the Olympic Park in Seoul and Beijing, respectively, a analys is of the two successful examples of the designers in a traditional way to design a unique culture of a traditional folk culture. Rooted in traditional culture to create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by studying abroad, a good way to design a unique work not to pursue the international trend has been displayed now. Based on the above two parks of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analysis and studying the literature, I summarized the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landscape application methods as follows:Firstly,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 Secondly, the method can be divided into four steps, namely, to preserve, to reproduce, to imitate, and to learn from. 1. A reservation is divided into functional retention and conversion of the prototype. 2. Reproduction is also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is the site of reproduction and the reproduction of literature or legend. 3. Simulation includes three types, the original use, changed use and re-creation. Imitation. 4. Reference. In a garden design, the other art forms or cultural phenomena reference are always allowed and encouraged.

Development of Virtual 3D Contents f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Culture Archetype of BanChaDo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 개발)

  • Kim, Hye-Weon;Kim, Eun-Jin;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67-37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료 검증을 바탕으로 반차도의 문화원형(文和元型, Culture Archetype) 가상복원을 통한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반차도란 의궤에 담긴, 조선 시대 왕실의 행차를 그린 그림을 의미한다. 조선의 왕실문화를 활용한 궁궐콘텐츠는 한국 고유의 것이며, 스토리텔링이 풍부한 반차도를 활용한다면 국민의 전통문화 향유를 증대시킬 수 있다. 현대에서는 재현행사를 통해 왕실의 행차를 재현하고 있지만, 실내에서는 재현하기 어려워 왕실 행차에 대한 문화유산 접근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닷컴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제공하는 반차도 관련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반차도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므로 심도 있는 반차도 학습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료 고증 메타데이터에 기반을 두어 문화원형 가상복원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문화원형 가상복원을 위한 3D 증강현실 콘텐츠의 활용 가능 모습을 살펴보고, 기록유산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를 제안하다.

  • PDF

AIchatbot service plan for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creation field (전통문화콘텐츠 창작분야 AI챗봇 서비스 방안 - 스토리테마파크를 중심으로 -)

  • Kim, Ki-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3-424
    • /
    • 2019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딥러닝, 자연어처리 기술이 챗봇(채팅+로봇)에 적용되어 금융, 헬스케어, 여행, 방송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챗봇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통문화 관련 개방 데이터를 활용한 전통문화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문화 소재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소재로 활용 폭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나 현대적인 재창조의 폭넓은 대상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팩트를 다루는 역사적 사실은 물론, 그 당시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 발굴에 대한 창작자들의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정보서비스로서의 전통문화 분야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는 예비창작자와 일반인에게 창작의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Intelligent Traditional Culture Retrieval System based on 3D Digital Timeline (3D 디지털 연표 기반의 지능형 전통문화 검색 시스템 개발)

  • Shin, Yutak;Jo, Jaechoo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10
    • /
    • pp.154-162
    • /
    • 2019
  • Despit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has a great impact on society and culture, there is no platform that provides a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state-of-the-ar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a traditional culture retrieval system capable of convergence services with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based on automatically generate and visualize the 3D timeline. This system provides the function of collecting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classifying and storing collected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3D digital timeline based on stored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In addition, a system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system, and 19 students participated in verifying the syste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atisfaction of the system showed that all items were 'satisfied' on a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