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기술

검색결과 2,975건 처리시간 0.044초

전통정자의 표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 Model for Traditional Pavilion)

  • 홍광표;심대섭;이혁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387-395
    • /
    • 2020
  • 한국 정자의 표준모델은 한국전통의 미를 구현하고 시대적 흐름을 반영할 수 있으며, 보편적이고 현실적인 모델을 개발 함과 동시에 국제적으로 한국 전통미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정자의 사례조사를 통해 우리 고유의 전통기술을 계승하고 한국정자의 정통성을 보존하면서 생활화, 산업화, 활성화, 세계화 할 수 있는 표준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분석과 현대의 트랜드를 고려하여 각 부분별로 계획을 진행하여 전통정자의 대표적인 유형인 사모정, 육각정, 팔각정에 대해서 표준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다. 표준모델은 정통성을 고려하면서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난간마루를 설치하고 계자난간을 설치하는 등의 디자인 트랜드에 약간의 변화를 주었다. 이렇게 제시된 표준모델은 현재의 디자인 트랜드가 반영된 것으로 추후에는 그 때의 트랜드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한국 정자의 표준모델은 한국전통의 미를 재현하면서도 보편적이고 현실적인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미래 한반도의 비전통적 안보위협 예측 :육군의 집단지성 플랫폼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Forecasting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 Korea :by Republic of Korea Army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operating result)

  • 조상근;정민섭;문상준;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16-222
    • /
    • 2021
  • COVID-19 펜데믹 상황으로 인해 비군사·초국경적으로 발생하는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COVID-19로부터 발생한 국가적 피해 규모와 강도가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육군은 다양한 집단지성 플랫폼을 통해 미래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전통적 안보위협을 예측하는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향후 기후변화,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사회변화 및 기술발전으로 인해 비전통적 안보위협은 다양화될 것이다. 특히, 도시화율, 인터넷 보급률 및 대륙과 해양의 대기가 충돌하는 지리적 위치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에 가해질 비전통적 안보위협은 다른 나라의 경우보다 더욱 치명적일 것이다. 따라서 범정부 차원에서 민·관·군·산·학·연의 집단지성 플랫폼을 활용하여 비전통적 안보위협을 예측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한국 전통춤의 전승 및 보급을 위한 이러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arning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 이종욱;이지현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5-11
    • /
    • 2017
  • 한국 전통춤은 인류의 문화적 자산으로 문화적 활용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전수희망자의 부족과 대중적인 무관심으로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다. 네트워크 기술과 영상매체 기술을 활용한 전통춤의 이러닝(E-Learning)은 위에서 제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통춤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이러닝 교육과정 및 실시간 이러닝 교육시스템들을 제안하였다. 시스템들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사용자 평가법에 따라 비교평가하고 피드백 및 교육경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춤의 실시간 이러닝 교육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새로운 매체 경험을 통해 무형문화재로서 전통춤을 전승, 보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북포(北布)의 내력과 제섬(製纖) 기술의 변천 (Bukpo's History and Transition of the Hemp Fabric Production Technique)

  • 공상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3호
    • /
    • pp.44-63
    • /
    • 2017
  • 베 한필이 작은 대통이나 여인들의 식기인 바리 안에 들어간다 하여 '통포', '발내포' 등으로 불리기도 한 '북포'는 조선시대 함경도 육진 지역에서 생산하던 올이 가늘고 고운 삼베이다. 우리나라는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로 인해 국토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이에 북한 지역의 생활 관습이나 전통 기술 등, 그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그 지역의 삼베 제작 기술 또한 전해지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북포 제작 공정이 기록된 유일한 문헌인 "오주연문장전산고"를 통해 북포 제작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근대기 문헌 기록과 비교하여 기술의 변천과 그 의의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함경도 육진 지역의 제섬 방식이 유럽 및 중국 묘족의 제섬 기술과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19세기 중반 이후에서 20세기 이전 사이, 함경도 지역의 제섬 기술에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포 제섬 기술 변천은 기술사적 맥락에서 전통공예기술의 선후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겠다.

산업체 기술 교육을 위한 Cyber 강좌 제작 및 활성화 방안 (Development of Cyber Lectures for Technology Education in Industry Fields)

  • 조세홍;김정화;이수희;공범용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44
    • /
    • 2003
  • 평생 교육이 화두가 되는 현대 기술 및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사회인이 재교육 등을 위하여 전통적인 교육의 형태로 재교육을 받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전통적인 교육 형태가 제공하지 못하는 교육의 기회를 현재 널리 응용되고 있는 Cyber 강의가 줄 수는 있지만, 실험 실습 등이 요구되는 산업체 기술 교육을 위한 Cyber 강의는 일반적인 이론 강의를 위한 Cyber 강의에 비하여 새로운 제작 방법 등이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은 산업체 기술 교육을 위한 Cyber강의 제작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구현을 통하여 그 활성화 방법을 보이고자 한다.

  • PDF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Factors on Management Performance)

  • 권세용;강미례;김형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07-31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시장의 서비스품질, 청년몰 조성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 그리고 전통시장 활성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전통시장의 자생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특히 최근 전통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급속하게 생겨나고 있는 청년몰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을 선행요인으로 포함시켜, 청년몰 조성사업의 실질적인 효과성 또한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익산시 소재 5개 사설 전통시장의 소상공인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기술적 통계, 신뢰성, 타당성을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청년몰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는 정책이지만, 본 연구 결과 전통시장 내 청년몰 조성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통시장 활성화 및 경영성과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청년몰 조성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NFC 기반 모바일 전자소액결제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NFC-based Mobile Electronic Micro-payment System for Traditional Market Activation)

  • 차병래;김대규;김용일;김종원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2권3호
    • /
    • pp.23-3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광주광역시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현황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리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인 인프라와 환경 개선 사업보다 IT 측면에서의 소상인의 소액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NFC 기반의 소액 결제 모델과 토큰화 기술을 제안한다. 소액결제 모델은 NFC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결제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암호화 및 토큰화 기술에 의한 사용자들의 간접 인증과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