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주시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1초

전주팔경의 시원(始原)과 변용(變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Jeonju-Palkyung)

  • 노재현;손희경;신상섭;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15
    • /
    • 2015
  • 전주를 대상으로 한 11개 집경(集景)의 표제어 및 시어(詩語)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전주 팔경의 형식과 내용상의 시원 및 변용과정을 시계열분석으로 살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재(秋齋) 조수삼(趙秀三, 1762~1849)의 팔경시 이전에는 전주팔경의 골격과 유사한 형식의 집경 사례가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추재집"에 실린 여덟 편의 시를 전주팔경의 시원(始原)으로 보기에는 큰 무리가 없으며 그 시기는 1829년경으로 추정된다. 이후 19세기 말 작품인 '완산승경'과 '열녀춘향수절가에 기재된 팔경'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시인 신석정이 전하고 있는 팔경' 중 '동포귀범'만이 행정구역의 변화에 따라 동지포에서 봉동의 동촌으로 대상장이 변용되었지만 모두 조수삼의 팔경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표제어 일치율 분석 결과, 전주팔경은 최소한 19C 후반에 정착(定着)된 이후 일제강점기에도 줄곧 전주를 대표하는 경관으로 지속된 것으로 확인되며 이후 '남천표모'와 '곤지망월'이 추가되어 전주십경으로써 외연(外延)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팔경 제영의 형식성에도 불구하고 "패향십영(沛鄕十詠)"이나 "견도십영(甄都十詠)" 그리고 "빈일헌십영(賓日軒十詠)" 등 조선 전기의 집경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 일본인 나루시마 슈쿠시(成島淑士)의 집경 속에도 경기전 건지산 조경단 오목대 그리고 기린봉 덕진연 만경대 등 조선왕조의 발생지이자 전라감영의 수부(首府)로서의 상징성이 높고 전주십경의 연원(淵源)이 되는 명소들이 자리하고 있음을 볼 때 전주팔경의 의미론적 태동기는 조선 전기까지로 그 전범이 소급(遡及)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기에는 견훤도(甄萱都)와 같이 후백제 도읍지로서의 회고(懷古) 관성(慣性)이 큰 승경 뿐 아니라 만경대와 같이 고려말 정몽주와 이성계를 상기시키는 내용의 경물 또한 전주 팔경에 등장함으로써 후백제 도읍지로서의 전주의 위상을 높이고, 조선 왕조의 발흥지로의 역사적 간극을 좁히고 있음이 확인된다. 전주팔경은 후백제 이후 조선시대 역사문화를 담는 유기체적 존재로 다소 부침(浮沈)을 거듭하였지만 지역의 대표적인 승경으로 꾸준히 변용되어 왔다. 전주 팔경은 '전주 한풍경(韓風景)'을 이해할 수 있는 문화족보로, 이를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한 노력은 오늘을 사는 전주인의 몫이라 판단된다.

제10호 자랑스런안전인 - 대한방직(주) 전주공장 이인탁 안전관리자

  • 임재근
    • 안전기술
    • /
    • 제151호
    • /
    • pp.18-19
    • /
    • 2010
  • 월드컵 열기가 한창이던 6월 중순의 어느 날, 높은 습도와 뜨거운 열기로 잠깐의 움직임에도 이마에서는 땀이 흘러내린다 소나기라도 내려주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뜨거운 아스팔트길을 달린다. 서해안 고속도로를 달려 다시 당진상주간고속도로, 천안논산간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를 달려 도착한 전북 전주시 효자동에 위치한 대한방직 주식회사, 새로 들어선 도청과 네모반듯한 아파트 숲에 1975년에 지어진 공장의 모습은 사뭇 대조적이지만, 어딘가 모를 여유가 느껴지는 풍경을 자아낸다.

  • PDF

다중 회귀 모델을 이용한 전주시 보행 환경 점수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lkability Scores in Jeonju City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 이기춘;남광우;이창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10
    • /
    • 2022
  • 컴퓨터 비전을 활용하여 인간의 시각을 해석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영상으로부터 영상의 의미론적 분할 결과를 통해 보행 환경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도로영상을 수집하기 위해 카카오 지도 API를 활용하였으며 전주시지역의 약 5만 점에서 4방향 영상을 수집한다. 수집된 영상의 20%는 크라우드 소싱기반 쌍체 비교를 통해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쌍체 비교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회귀 모델을 훈련한다. 영상 데이터의 보행성 점수를 도출하기 위해 순위 알고리즘인 Trueskill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랭킹 점수를 계산하고,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회귀모델을 사용한 보행성 평가 및 분석 작업을 수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람의 시각이 아닌 픽셀 분포 분류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만으로 전주시의 보행 환경을 평가하고 점수를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밝은 도시환경조성을 위한 보안등 설치 ESCO사업 실시"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ESCO지
    • /
    • 통권19호
    • /
    • pp.20-23
    • /
    • 2002
  • 전주시는 올해 보안등의 신설 또는 개체가 필요한 일부지역에 ESCO사업을 통한 보안등 교체공사를 실시해 밝은 거리 조성에 나섰다. 예산부족에 따른 사업비부담과 전력요금부담을 덜면서 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ESCO사업을 추진한 것이다. 에너지절약성과가 가시화되고 사업의 성패여부가 판가름나는 내년부터는 다른 지역의 자치단체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전국과학관을 찾아서-기초과학교육의 산실 전라북도과학교육원

  • 최생인
    • 과학과기술
    • /
    • 제28권8호통권315호
    • /
    • pp.85-87
    • /
    • 1995
  • 초ㆍ중등 학생들의 탐구학습 활동과 교원들의 과학기술교육 정보지원을 위해 1975년 문을 연 전라북도과학교육원은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에 자리잡고 있으며 41명의 직원들이 봉사자로서 지역과학발전에 헌신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