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주시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38초

명품코리아 - '전주 한옥마을'

  • Willy, Willy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50호
    • /
    • pp.42-47
    • /
    • 2009
  • 1910년대부터 조성된 전주시 전통한옥은 민족정신이 생생히 살아 숨쉬는 격조 높은 문화 유적으로 연간 80만명이 즐겨찾는 전북의 명소로 자리매김하였다. 대통령 자문 '건설기술 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위원장 : 김진애)에 건축환경문화로 '전주 한옥마을'을 선정된 바 있는 전주시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위치한 '전주 한옥마을'을 소개한다.

  • PDF

문화관광콘텐츠 기획전략에 관한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lanning Strategy for Culture and Tourism Contents : Focusing on the Jeonju city)

  • 문윤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9-360
    • /
    • 2014
  • 관광산업은 지역발전전략에서 최우선과제로 꼽히고 있다. 전주시의 경우 한옥마을이 크게 성공했지만 최근 한옥마을 위기설 등 많은 관광객의 방문에 따른 부작용이 심각하다. 따라서 지역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광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먼저 최근 문화관광트렌드와 문화관광수요의 변화요인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요인으로부터 전주시 문화관광콘텐츠 기획을 위한 검토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요인에 따라 새로운 문화관광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를 제안하였다.

  • PDF

전주지역의 바람길 특성 분석 및 활용 방안 (Analysi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Ventilation Corridor Characteristics in Jeon-ju Area)

  • 엄정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6-374
    • /
    • 2019
  • 본 연구는 폭염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계획요소인 바람길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해보고자, 전주시를 대상으로 바람길의 특성을 분석하고, 바람길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호남정맥에 위치하는 전주지역 일대의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 층 높이 등 찬공기 특성을 분석하였고, 전주시의 주요한 바람길을 특정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주시 일대의 산림관리 및 도시계획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이용하여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주시 외곽 북동쪽 및 동쪽에 위치한 산림에서 생성된 찬공기의 흐름이 뚜렷해지고, 계곡지역과 농경지 일대에서 찬공기층의 높이가 증가하였다. 특히, 전주시의 찬공기 흐름은 북동쪽과 동쪽에서 생성된 찬공기가 전주시 중심 시가지로 유입되어 남쪽으로 흘러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상적인 바람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찬공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산림지역 일대를 '찬공기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원활한 찬공기 흐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찬공기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찬공기 흐름을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주시의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바람길숲 조성 사업 등 폭염과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