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척추동물(脊椎動物)(포유류(哺乳類))위(胃)의 비만세포(肥滿細胞)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Mast Cells of the Vertebrates(Mammals) Stomach)

  • 강호석;김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11권1호
    • /
    • pp.39-50
    • /
    • 1981
  • 성숙하고 정상인 포유류 6종의 동물들을 이용하여 위에 분포하는 비만세포의 형태와, 세포내 과립의 구조적 형태의 종간차이를 비교하고자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을 하였다. 저자는 특히 관찰된 세포질내 과립을 편의상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동질성 과립 (homogeneous granule, GR1) 2) 미세 입자과립 (particulate granule, GR2) a. 고전자밀도 미세 입자과립 (dark dense particulate granule, GR2-1) b. 중전자밀도 미세 입자과립 (less dense particulate graunle, GR2-2) 3) 망상구조과립 (reticular granule, GR5) a, 고전자말도 망상구조과립(dark dense reticular granule, GR5-1) b. 저전자밀도 망상구조과립(light dense reticular granule, GR5-2) 포유류인 염소, 개, 고양이, 햄스터에서는 대부분 세포질내 소기관중 골지체 및 사립체가 나타났으며 세포질내 과립의 대부분이 전자밀도가 높은 동질성인 것 (GR1)과 미세입자형으로 된 것 (GR2)이 나타났다. 그러나 Guinea pig에서는 망상구조형의 과립들 (GR5-1, GR5-2)이 나타났다. 또한 개와 Guinea pig 에서 과립의 한쪽이 함몰되었거나 반월형인 것이 나타났다. 위 결과로 보아 표유류 각 종 간의 비만세포, 세포내 과립은 형태학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아마도 종 간의 기능에 따른 과립의 구조적 차이와 구성성분 및 성숙도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가잠에서 분리된 새로운 미포자충 K79의 병리학적 연구 II. 미포자충의 병원성 및 발육경과 (Pathological Studies on the New Microsporidia K79 Isolated from the Silkworm, Bombyx mori L. II. Pathogenicity and Developmental Progress of the Microsporidia.)

  • 윤재수;임종성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
    • /
    • 1985
  • 1979년 경북지방에서 발생한 병잠으로부터 분리된 새로운 미포자충 K79의 형태, 성장, 발육경과 및 분류학적 위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포자의 병원성, 광학현미경에 의한 감염조직의 소견, 전자현미경적 소견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K79포자의 병원성은 N. bombycis 보다 약하였고 누에에 대한 K79의 감염부위는 중양피막세포, 혈구, 기관피막, 지방조직, 견사선이었다. K79의 발육과정은 sporoplasm, schizont, sporont, sporoblast, spore의 단계로서 N. bombycis와 유사하였으나 발육속도는 늦었다. 미포자충 포자의 전자현미경적인 미세구조는 포자외각의 돌출부와 돌출부사이가 44.28mm였다. 또한 anchoring disk는 우산형이었고 polaroplast, lamellae는 manubroid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었다. 극사의 coil 전회수는 K79 16회이고 coil 각도는 75$^{\circ}$였고, 핵은 두 개의 연핵으로 되어 있어 분류학적으로 보면 Nosema 속에 속하는 신종의 미포자충이라고 사료되며 그 표기는 Nosema sp. K79로 기록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 PDF

볼락 (Sebastes inermis) 난병 유사구조의 전자현미경적 기재 (Electron Microscopical Description on the Egg Stalk-like Structure of the Rockfish, Sebastes inermis (Teleostei: Scorpaenidae))

  • 이정식;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0-134
    • /
    • 2002
  • 볼락의 난소는 낭상형이며, 다수의 난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난황축적 이전의 난모세포들은 난소소엽의 결체성 조직에 매몰되어 관찰되었다. 난모세포는 성장하면서 난소강으로 돌출되어 난병 유사구조를 가지고 포도송이와 같은 구조를 나타냈다 난소 소엽내에 매몰되어있는 직경 약 20$\mu$m 크기의 초기 난모세포에서 난황과립과 방사대는 관찰되지 않았다 직경 약 80$\mu$m의 초기 난모세포의 난병 유사구조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난황과려들이 다수 관찰되었으나, 방사대의 pore canal system에서 음세포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시기에 난병 유사구조에서는 미세섬유, 발달된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전자밀도가 낮은 과립상 물질 그리고 활성화된 multivesicular body들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볼락의 난병 유사구조는 난모세포의 부착과 초기 난모세포의 외재적 난황축적에 관여함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무지개송어 뇌하수체의 성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와 정자형성세포의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of Rainbow Trout Gonadotropes and Spermatogenic Cells)

  • 윤종만;박홍양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89-99
    • /
    • 1998
  • 본 연구는 미성숙 혹은 성숙된 3년생 무지개 송어(Oncorhynchus mykiss) 수컷 150마리의 뇌하수체와 정자형성세포의 형태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3월부터 그 이듬해 2월까지 번식주기에 따라 광학현미경, 투과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정자 형성과 정자완성시기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세포의 성숙은 휴지기 (3월부터 8월까지), 정자형성기 (9월부터 11월가지), 번식기 (12월부터 2월까지)의 3가지 시기로 구분되었다.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세포의 미세구조가 변하는 추세는 정소의 주기적 변화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 정자형성초기에는 여러 단계의 세포군이 하나의 세정관안에 위치해 있었다. 정원세포로부터 정자세포까지 사류ㅕ볼 때 핵과 세포질의 크기는 각 발달단게마다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제2차 정모세포 및 정자세포의 세포질 외측에 작은 크기의 미토콘드리아가 확인되었다. 정자세포의 2개의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질의 한쪽에 위치하면서 길게 늘어지기 시작하였다. 정자의 경우, 핵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핵막과 세포질막은 두부의 핵과 근접해 있었따. 2개의 미토콘드리아는 다른 척추동물과 달리 그 수가 적었고, 축사로부터 분리되어 있었다. 무지개송어의 축사구조는 축추동물의 전형적인 "9+2"형을 나타내었다. 투과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여러 단계의 정자형성세포들을 관찰한 결과 그 두부의 크기와 형태의 구체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ibricola seouenis 표피의 투과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ultastructure of the tegument of Fibricola seoulenis)

  • 손운목;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01-314
    • /
    • 1993
  • Fibricola seodenis(Trematoda: Diplostomidae)의 표피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표피는 3중막(trilaminated)의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원형질층의 기질에는 공포(vacuole)와 사립체(mitochondria) 및 과립성 물질들이 많이 내포되어 있었다. 전자밀도가 낮은 기저층은 폭이 약 330 nm이었으며 원형질층내로 무수히 많은 돌기들을 내고 있었다. 감각기는 주머니 형태로 원형질층내에 매몰되어 있었으며 원형질층의 바깥으로 $12{\;}{\times}{\;}0.19{\;}\mu\textrm{m}$ 크기의 섬모를 내고 있었다. 인두는 내강을 중심으로 양쪽에 $0.5{\;}\mu\textrm{m}$ 내외의 상피층과 보다 발달된 기저층 및 근육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우넛 모양인 흡반은 내강을 둘러싸는 폭 $0.4-0.5{\;}\mu\textrm{m}$인 원형질층, 기저층 및 잘 발달된 근육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흡반 근처의 원형질 및 실질내에서 4종류의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Tribocytic organ에는 폭이 5 nm 내외이며 7중막(heptalaminated)의 층상 구조인 미세응모가 작은 방의 형태로 분포하였고 내부에서 미세응모 쪽으로 나와 있는 관에는 크고 작은 2가지형의 분비과립들이 들어 있었으며 그 주위에는 길쭉한 사립체들이 다수 분포하였다. 실질내의 세포들은 비정형이었으며 핵들의 형태도 다양하였다.

  • PDF

적외선 온도감응기를 장착한 마이크로파 고정기에 의한 생체조직 고정효과와 조직화학적 특성 (Fixation and Histochemistry of Biological Tissues Using the Microwave Fixator Equipped with Infrared-Temperature Sensor)

  • 신길상;민소연;김완종;손태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17-425
    • /
    • 1995
  • 적외선 온도 감응기를 장착한 기존의 마이크로파 고정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주변 온도를 보상할 수 있는 고정기를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흰쥐의 혀, 췌장 및 소장을 고정(물리고정)한 후 몇 가지 염색법을 적용하여 염색성을 관찰하였고, 췌장의 내, 외분비 세포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 단백질의 양과 bands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결과들을 통상적인 화학고정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마이크로파에 의한 생체물질의 고정효과를 검증하고 조직화학에 응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흰쥐 혀의 횡단면을 H-E 염색하였을 경우, 두 고정법에서 염색성은 유사하였으나 물리고정에 비해 화학고정에 의한 관찰된 조직은 근육층의 분리가 관찰되었다. 췌장조직을 Feulgen 반응을 이용하여 염색하였을 경우, 물리고정한 군에서 반응산물이 보다 명확하게 관찰되었으며, 십이지장 융모에서 PAS 반응에 의한 염색성도 물리고정의 경우에서 배상세포에 특이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물리고정을 한 후 짧은 시간동안 2차로 화학고정했을 경우, 췌장 내, 외 분비세포들의 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는 막 구조 및 세포기관이나 분비과립등의 보존상태 등에서 통상적인 화학고정법의 결과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물리고정한 시료의 질과 염색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단백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물리고정시 단백질의 추출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마이크로파로 생체조직을 고정할 경우 대부분의 단백질들의 불용성화가 일어남으로써 미세구조의 고정 및 염색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상에는 반드시 rosy transformant의 염색체 삽입에 의해서 만이 아니라 세포질내에서도 construct내의 rosy 유전자의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형질전환율에 있어서는 Pc[(ry+)B]와p[(ry+)$\Delta$SX9] construct 간에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험 목적에 따라 자율적인 P element 또는 helper DNA를 이용한 비자율적인 P element를 효과적인 vector 로 선택 이용함으로써 특정 유전자를 곤충집단내로 침투 및 고정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사람 위선암과 HeLa 세포에 관한 저에너지 마이크로파 고정효과의 조직화학 및 전자현미경적 연구 (The Fixation Effects in Immunohis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Using Low Energy of Microwave (LEM)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nd HeLa Cell)

  • 양승하;손태호;신길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85-197
    • /
    • 2001
  •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일정성이 유지되지 않는 다는 단점이 있는 마이크로파 고정 효과를 "저에너지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람 위선암(gastric adenocarcinoma)을 저 에너지 마이크로파(low energy of microwave, LEM)로 고정하여 미세구조와 항원-항체반응 수준에서 그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LEM으로 고정한 시료에서 항원-항체반응은 monoclonal 생쥐-항-사람-p53 (IgG2b, kappa)과 토끼-항-사람-c-erbB-2로 처리하여 결과를 냉동 절편과 비교하였다. 암세포 특이 항원은 LEM으로 처리한 시료에서 발색반응 산물의 확산이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고 보다 쉽게 인지될 수 있었다. LEM으로 고정한 위선암 조직의 미세구조는 보존된 것으로 보였으나 그 고정효과는 2차 원인에 의해 손상되는 것으로 보였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LEM 고정 후 저농도 화학 고정액으로 재차 처리하여 다소의 일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위선암 조직은 더 낮은 마이크로파 에너지 요구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암세포가 요구하는 "최소 마이크로파 요구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배양 HeLa 세포를 더 낮은 에너지의 마이크로파와 저농도 화학고정액으로 처리한 결과 HeLa세포 미세구조가 보존되는 등 비교적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보면 LEM 조사(照射)로서 생체 저분자 및 수용성 단백질이 crosslink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았고 이를 저농도 화학 고정액으로 재차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미세구조 및 항원성 보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므로 이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 PDF

Echinochusmus juponicus 표피 미세구조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Echinochasmus japonicus Tegument)

  • 이순형;손운목;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51-58
    • /
    • 1987
  • 극구흡충의 하나인 Echinochasmus iaponicus의 표퍼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붕어(Pseuderasbora larva)의 두부로부터 분리, 수집한 피낭유충을 Sprague-Dawley계 흰쥐에 경구 감염시킨 후 5일, 7일 및 14일에 성충을 회수하여 고정, 건조 및 순금표면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ISI-Korea의 CL-6 및 DS-130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 japonicus의 충체는 작고 통통한 표주박 모양으로 전단이 뾰족하고 후단은 등근모양이었다. 충체의 전체표면은 가로로 불연속적인 주름이 져 있었고, 자갈모양의 원형질 돌기로 덮혀 있었다. 2. 두관에는 24개의 두극이 원형질 주머니에 박혀서 일렬로 배열하였으나, 이중 양끝에서 두번 째, 네번 째의 두극은 밖으로 더 벌어져 있었다. 또한 이 배열은 두관의 등쪽 정증선에서 끊어져 있었다. 구흡반은 근육성이었고 구순에는 많은 수의 감각유두가 존재하였다.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생식공이 개구하고 있고, 동심원 모양의 복흡반은 복측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었으며 15∼17개의 II형 감각유두가 일열로 래열되어 있었다. 3. 상모양의 피극은 충체표퍼의 복측 앞쪽측면과 배측 전반부에 밀집되어 있었고, 구흡반에서 복흡반에 이르는 복측 정중면과 배측 후반부에는 분포하지 않았다. 4. 감각유두는 type I , type II 두 종류만 관찰되었으며 type I은 복측 전반부에 주로 많이 분포하였고 type II는 구흡반과 복흡반의 구술에만 주로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E. japnicus의 표퍼 미세구조가 다른 극구흡충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적인 것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이 특징들이 다른 극구흡충류의 표피 미세구조 및 분류학적 연구에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굴큰입흡충 표피층의 투과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TEM ultrastmcture of the tegumental layer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innophallidae))

  • Min SEO;Jong-Yil CHAI;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65-172
    • /
    • 1995
  • 참굴큰입흡충(Gymophazloides seoi)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층(일반 표피. 흡반 부위 및 ventral pit)의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자연감염된 굴에서 분리하 였고. 성충은 실험감염시킨 C3H 마우스에서 획득하였다. 일반적으로 표피층은 합포체의 응기 및 굴곡이 심하지 않았고, 다수의 미토콘드리아와 수많은 작은 공포들이 관찰되었으며. 근육층 아래에 는 표피세포의 핵이 위치하고 있었다. 피낭유충과 성충에서 표피층의 구조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구흡반에는 잘 발달된 근육층이 분포하였고. 복흡반은 구흡반과 비슷한 구조였으나 합포체의 fold수가 구흡반보다 많았다. Ventralpit은 합포체층의 두께가 얇았으며. 많은 수의 microtubule 과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주위에는 종주근과 윤주근 다발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굴큰입흡충 표피층의 미세구조는 피낭유충과 성충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흡충류의 일반적인 구조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이 흡충의 특징적 구조물인 ventralpit은 괄약근 또는 보조 흡착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 PDF

한국재래산양태아 및 신생아 뇌에서 별아교세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Ultramicroscopical Study on the Astrocytes in Fetal and Neonatal Brains of Korean Native Goat)

  • 송치원;김무강;류시윤;이강이;박일권;이미영;권효정;박미선;이경열;이두환;신현국;최윤석;장규태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67-173
    • /
    • 2001
  • 한국재래산양의 임신60, 90, 105, 120일령 태아 및 신생아의 뇌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방법을 통하여 면역반응을 나타낸 방사아교세포를 투과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그 미세구조를 연구한 결과 임신 60일령 태아의 방사아교면역반응세포는 소수의 사립체와 많은 당원질 및 과립형질내세망이 관찰되었으며 임신90일령 태아 이후에서도 소수의 사립체, 많은 당원질 그리고 소수의 형질내세망이 관찰되었으며 임신95일령 태아에서 골지체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임신 120일령에서 혈관에 부착되어 종말발을 뻗고 있는 GFAP 면역반응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