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관찰(觀察)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32초

다람쥐(Tamias sibiricus asiaticus Gmelin) 소장 점막 상피세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Mucosal Epithelial Cell in the Small Intestine of Ground Squirrel, Tamias sibiricus asiaticus Gmelin.)

  • 노영복;정경아;정지숙;김정삼;김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88-394
    • /
    • 1995
  • 동면동물인 다람쥐를 활동기와 동면기로 나누어 소장 점막 상피세포인 원주세포와 점액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활동기의 원주세포에서는 많은수의 미토콘드리아와 과립형질내세망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면기의 원주세포에서는 많은수의 리보소옴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활동기의 점액세포에서는 크고 많은수의 점액과립과 세포소기관으로 미토콘드리아와 과립형질내세망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현저한 분비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면기의 점액세포에서는 수와 크기에서 감소된 점액과립과 활동기보다 증가된 리보소옴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분비작용은 활동기에 비해 감소하였다.

  • PDF

소아 비박형 기저막신증의 임상 및 병리학적 분석 (Clinical and Pathologic Analysis of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in Children)

  • 고명진;양태진;김영주;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1호
    • /
    • pp.1-8
    • /
    • 2001
  • 목 적 : 혈뇨의 가족력을 가지는 무증상성 혈뇨의 가장 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비박형 기저막 신증(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은 흔한 빈도수에 비해 임상적 양상이나 병리학적 소견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인구에서는 비박형 기저막 신증 환아들을 대상으의 임상적 및 병리학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부터 2000년까지 무증상성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 중 신장조직검사를 시행하여 비박형 기저막 신증으로 진단된 26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병리학적 소견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들의 혈뇨의 발현시기는 9.4${\pm}$3.2세(3.0-15.8세)였고, 신생검 당시의 나이는 평균 11.1${\pm}$2.2세(4.7-16.3세)였다. 이중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아가 8례, 여아가 18례의 여아에서 더 많았다. 환아의 부모와 형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검사상 혈뇨의 가족력이 나타난 겅우는 8례(30.7$\%$) 였다. 입원 당시의 임상적 소견을 살펴보면, 육안적 혈뇨를 가진 경우가 3례(11.5$\%$), 현미경적 혈뇨 23례(88.5$\%$), 단백뇨 1례(3.8$\%$)로 대부분의 환아에서 현미경적 혈뇨가 주된 소견이었다. 임상경과의 관찰도중 현미경적 혈뇨는 전례에서 지속되었다. 신조직 검사상 광학현미경 소견에서는 이상소견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면역형광현미경 소견에서는 대부분에서 면역글로불린과 보체의 침착을 관찰할 수 없었고 일부에서 메산지움에 IgM, C3와 fibrinogen의 침착이 관찰되었다. 전자 현미경 소견으로는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는 180.9${\pm}$35.8nm로 얇아져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비박형 기저막 신증은 현미경적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소아의 흔한 원인이며 혈뇨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약 30$\%$에서 관찰되었다. 임상경과는 대부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생물 살충제인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ydrosis Virus의 Polyhydra 형성 과정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y Studies on the Formation of Polyhedra Occlusion Bodies of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이형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11권1호
    • /
    • pp.51-57
    • /
    • 1981
  •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의 Nucleocapsids의 형성과 Polyhedra Occlusion Bodies의 형성을 Spodoptera frugiperda 세포에 감염된 후 3 일째 된 것을 관찰하였다. 1. A. californica NPV는 Spodoptera 세포의 핵내에서 분열복제되어 Nucleocapsid를 형성하여, 외투막을 얻은 후에 Polyhedra Occlusion Bodies 로 함입 되었다. 2. A. californica NPV가 감염된 세포의 핵은 팽창되어 핵막이 세포질까지 거의 신장되어 있었다. 3. Polyhedra Occlusion Bodies의 형성은 NPV로 감염된 세포에서 작은 엉성한 단백질 또는 Polypeptides가 점진적으로 커지면서 바이리스들이 함입되면서 더욱 덩치가 커지게 되고, 세포질내에 NPV 바이러스들이 없어지면 Polyhedra는 외부에 매끈한 막을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4. Polyhedra Occlusion Bodies의 형태는 바이러스 다발이 함입되어 있는 상태에 따라서 다양하였다. 5. Polyhedra 에 있는 바이러스 다발들은 외투막을 가지며 바이러스사이에도 기저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생굴로부터 bacteriophage의 분리 및 부분특성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Bacteriophage from Oyster)

  • 김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05-610
    • /
    • 1996
  • 시판중인 생굴을 대상으로 Vibrio 속을 숙주로 하는 bacteriophage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4 종의 Vibrio 속과 5 혈청형의 Vibrio parahaemolytius를 실험대상으로 한 결과 배brio parahaemolyticus 2 혈청형에서만 bacteriophage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phage의 plaque 크기는 0.4mm였으며 전자현미경적 형태는 미부가 뚜렷하지 않은 육각형의 두부가 관찰되었고 크기는 67nm$\times$83nm 였으며, PFV/ml은 1.25$\times$$10^{11}$이었다. 분리된 phage는 chloro-form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phage의 genomic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핵산을 분리한 결과 DNA로 판명되어졌으며 두 혈청형 모두 제한효소 처리한 결과 Eco R I으로 4부위의 절단양상과 Hind III로부터 14부위 절단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개구리 피부의 세포접착부에 관한 전자 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y of the Intercellular Junction of Frog (Rana temporaria) Skin)

  • 윤종식;장승한;최금덕
    • Applied Microscopy
    • /
    • 제1권1호
    • /
    • pp.19-26
    • /
    • 1969
  • 개구리(Rana temperaria) 상피조직의 세포간 접착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새로운 절편방법을 시도하여 동 부위의 초미세구조를 밝혔으며, 세가지 세포간간 접착방법중 하나인 데스모솜(Desmosome)은 상피세포 원형질막을 따라 절서있고 빈번하게 배열되어 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본 연구 및 관찰결과와 관련하여 피부 암세포의 성장기 전 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 PDF

급속동결할단법에 의한 간세포내 Dehydrocholic Acid 수송에 관한 형태학적 관찰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Transport of Dehydrocholic Acid in the Hepatocyte as Revealed by Freeze Fracture Replica)

  • 신영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1호
    • /
    • pp.83-9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박절편과 동결할단복제법을 이용하여 흰쥐 간세포에서 dehydrocholic acid가 수송되는 경로를 전자현미경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정상군이나 dehydrocholic acid 투여군에서 대부분의 Golgi 장치는 형성면을 담세관으로 향하고 있었다. Dehydrocholic acid 투여 20분 후에 세포질내세망과 Golgi 장치 및 소포 등이 담세관 주위에 증가되어 있었는데 특히 Golgi 장치 형성면에서는 소포가 될 것으로 추정되는 싹이 돌출되어 있었으며 소포들은 담세관에 융합된 것들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으로 미루어 담즙산의 분비는 Golgi 장치 형성면의 쌀이 유리되어 형성된 소포가 담세관막에 융합되므로서 이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spirine투여(投與)가 Rat의 위점막(胃粘膜) 세포(細胞)에 미치는 미세형태학적연구(微細形態學的硏究) (Effect of Aspirin on the Fine Structure of Rat Gastric Mucosal Cells)

  • 장인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201-214
    • /
    • 1983
  • Aspirin이 위점막(胃粘膜)에 손상(損傷)을 일으키는 기전(機轉)을 해명(解明)하고 침해(侵害)받는 세포(細胞)의 종류(種類) 및 형태(形態)를 구명(究明)하고자 rat에 체중(體重) 1kg당(當) 60mg을 경구(經口) 및 피하(皮下)로 투여(投與)한 후(後) 경시적(經時的)으로 임상소견(臨床所見)을 관찰(觀察)함과 동시(同時)에 위점막세포(胃粘膜細胞)의 형태적변화(形態的變化)를 광학(光學) 및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aspirin의 경구(經口) 및 피하투여(皮下投與)에 의(衣)하여 특별(特別)한 임상소견(臨床所見)이나 위점막(胃粘膜)의 육안적(肉眼的) 및 광학현미경적(光學顯微鏡的) 소견(所見)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미세형태학적(微細形態學的)으로는 투여경로(投與經路)에 관계(關係)없이 명백(明白)한 변화(變化)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즉(卽) 위점막세포중(胃粘膜細胞中) 가장 심하게 손상(損傷)받는 세포(細胞)는 벽세포(壁細胞)와 주세포(主細胞)로서 벽세포(壁細胞)에서는 SER과 intracellular canaliculi의 증식(增殖)이, 그리고 주세포(主細胞)에서는 RER의 단열(斷裂), 확장(擴張) 및 효소원과립(酵素原顆粒)의 수적감소(數的減少)와 구조적이상(構造的異常)과 같은 가역적(可逆的) 변성변화(變性變化)가 인정(認定)되었으며 점액세포(粘液細胞), 점액경세포(粘液頸細胞), 기저과립세포(基底顆粒細胞)는 비교적(比較的) 경(經)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경구투여군(經口投與群)보다는 경미(輕微)하지만 피하주입군(皮下注入群)에서도 경구투여군(經口投與群)에 상응(相應)하는 변화(變化)를 나타낸 점(点)은 aspirin에 의한 위점막(胃粘膜) 손상(損傷)이 aspirin의 직접적영향외(直接的影響外)에 혈중(血中) aspirin 농도(濃度)에 의(依)한 간접적손상(間接的損傷)도 가미(加味)된다는 것을 시사(示唆)하는 형태적소견(形態的所見)이라고 생각(生覺)되었다.

  • PDF

평택 희곡리 출토목재 부후형태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Decay of the Waterlogged Woods Excavated from Higokri, Pyungtaek)

  • 김수철;박원규
    • 보존과학회지
    • /
    • 제23권
    • /
    • pp.67-72
    • /
    • 2008
  • 경기도 평택 희곡리 토탄층(약 5,700~5,900년전(前))에서 수침상태로 출토된 물푸레나무속 1종과 오리나무속 1종을 대상으로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수종에 따른 분해정도와 형태를 조사하였다. 관찰결과 두 수종 모두 연부후와 박테리아에 의한 세포벽 공격형태와 분해형태는 거의 유사하였다. $S_2$층부터 복합세포간층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불규칙하게 분해하는 침식형 박테리아와 목재세포벽을 분해하여 $S_2$층에 터널을 만드는 터널형 박테리아가 관찰되었다. 침식형 박테리아는 종종 연부후균에 의한 공동과 유사하지만 크기가 작은 공동을 형성하였다. 도관요소를 제외한 다른 세포들의 세포벽은 극심히 분해되었지만 세포벽의 외형은 수분으로 인해 그 고유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해양천공충의 식흔 흔적이 발견되지 않고 연부후균과 박테리아에 의한 분해 형태만 발견되어 평택희곡리 토탄지역 형성 당시인 5,700~5,900여년전이 온난화에 의한 홀로세 기후최적기 기간중이기 때문에 서해안 해수면 상승에 의해 해수에 침수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인삼 캘러스 원형질체의 세포분열과 세포벽 재생에 미치는 Dimethylsulfoxide의 효과 (Effects of Dimethylsulfoxide on the Cell Wall Regeneration and Cell Division of Protoplast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Callus)

  • 이석찬;이규배;박종범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29-434
    • /
    • 2000
  •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캘러스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를 DMSO가 O%에서 8%까지 여러 가지 농도로 첨가된 원형질체 배양배지 (1 mg/L 2,4-D, 4 mg/L NAA, 1 mg/L BAP, 0.4 M mannitol 및 0.8% agar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하였다. DMSO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벽 재생률은 약 62%이고 세포분열빈도는 약 7%이었다. 반면에, 1% DMSO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벽 재생률과 세포분열빈도는 각각 약 83%와 약 27%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활성은 배지에 첨가된 DMSO의 유무나 농도와는 관계없이 모든 배지에서 83∼88%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DMSO가 첨가된 배지에서 3일 동안 배양된 원형질체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원형질막 근처에 평행으로 배열하고 있는 미소관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원형질막 표면에는 세포벽 성분인 cellulose fibril들이 연결되어 다발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DMSO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에서는 이러한 전자현미경적 구조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원형질체 배양배지에 첨가된 DMSO는 미소관편제센타 (MTOC)의 형성에 의하여 세포벽 재생과 세포분열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청설모췌장의 glucageon과 somatostatin 세포의 면역조직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f glucagon and somatostatin in the pancreas of the Korean tree squirrel. Sciurus vlugar is corea)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73-577
    • /
    • 1993
  • 청설모(Sciurus vulgaris corea)의 췌장에 분포하는 glucagon 및 somatostatin 세포의 분포와 그들 분비과립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및 면역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주로 췌도의 주변부에 분포하였고, 때로는 외분비부에서 관찰되었다. 이 세포의 분비과립은 직경이 240~320nm였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core를 전자밀도가 낮은 halo가 둘러싸고 특히 gold particle들은 전자밀도가 높은 core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Somatostatin면역반응세포는 췌도의 주변부를 따를 면역반응이 아주 약한 세포들로 산재하였으며 또한 외분비에서 단독 혹은 소집단으로 관찰되었다. 이 세포의 분비과립은 전자밀도가 낮고 직경이 250~275nm였으며, gold particle는 분비과립에 중등도로 고른 반응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