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관찰(觀察)

Search Result 30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mmuno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Stratified Squamous Epithelial Cello of Pemphigus vulgaris (Pemphigus vulgaris의 중층 편평상피세포에 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관찰)

  • Lee, Cha-Soo;Picut, Catherine-A.;Wilkinson, J.-Erby;Lewis, Robert-M.
    • Applied Microscopy
    • /
    • v.17 no.2
    • /
    • pp.1-22
    • /
    • 1987
  • Pemphigus vulgar교의 본태(本態)를 알아보기 위한 일환으로 본질병(本疾病)의 병변조직(病變組織)을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하고 본질병(本疾病)에 관여(關與)하는 세포(細胞)들에 대(對)해 면역전자현미경적(免疫電子顯微鏡的)으로 추구(追究)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견(犬)의 pemphigus vulgaris의 구강(口腔) 및 식도(食道)의 점막층(粘膜層)을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하였던 바 acantholysis를 일으켜도 desmosome과 기저막(基底膜)은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세포간(細胞間)은 세포간물질(細胞間物質)의 집적(集積)에 의(依)해 확장(擴張)되고 이들 세포간강물질(細胞間腔物質)은 집괴(集塊) 또는 무구조(無構造)한 물질(物質)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저세포(基底細胞)는 기저막(基底膜)에 단단히 부착(附着)되어 있었고 dendritic cell이 기저세포층(基底細胞層)위로 분포(分布)되어 있었으며, 이들 dendritic cell 중(中)에서는 가끔 여러 형태(形態)의 퇴행성변화(退行性變化)를 볼 수 있었다. Mouse 피부유리상피세포(皮膚遊離上皮細胞)에 있어서 immunogold-labeling 방법(方法)에 의해 dendritic cell을 동정(同定)하는 데에는 post-fixation, pre-embedding immunogold-labeling technique가 좋았으며 15nm와 40nm 크기의 colloid-fold 입자(粒子)로 Langerhans cell과 Thy-1양성(陽性) dendritic cell이 표식(標識)될 수 있었다. 이들 세포(細胞)들은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에 따라 monoclonal antibody의 반응(反應)에 이어 치밀한 colloid-gold 입자(粒子)가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일정(一定)하게 표식(標識)되었다. 또한 이들 상피세포(上皮細胞)들을 투과전자현미경적(透過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하였을 때 초미세구조(超微細構造)가 잘 보존(保存)되었으나 Langer-hans cell내(內)의 Birbeck granule은 유리전(遊離前) 피부상피조직내(皮膚上皮組織內)의 Langerhans cell내(內)의 Birbeck granule에 비(比)해 수적(數的)으로 현저히 감소(減少)되어 있었다. 그러나 Thy-1 양성(陽性) dendritic cell에서 볼 수 있는 dense-core 과립(顆粒)은 별변화(別變化)없이 쉽게 관찰(觀察)될 수 있었다.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한 견(犬)의 keratinocyte에 대(對)해 사람 pemphigus vulgari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

  • PDF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f a Human Cutaneous Leishmaniasis (인체 피부에 기생한 Leishmania tropica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 Seo, Young-Hoon;Hur, Kyu-Chung;Deung, Young-Kun;Kim, Chung-Sook;Lee, Yoo-Bock
    • Applied Microscopy
    • /
    • v.10 no.1_2
    • /
    • pp.27-32
    • /
    • 1980
  • A case of cutaneous leishmaniasis developed in a 48 year old Korean male who returned from middle east was studi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Light microscopically, the lesion consisted of heavy chronic ill-defined granulomatous inflammation involving entire thickness of the dermis, composed of mainly histiocytic and small mononuclear cell infiltrations without evidence of necrosis or giant cell formation. Giemsa staining revealed numerous intracellular micro-organisms within histiocytes, showing dark stained central dot surrounded by light stained cytoplasm. Electron microscopically, the organisms were observed mostly ovoid in shape and frequently binary mitotic features within the host cells. follicle consisted of double unit membranes and microtubules, which are immediately below these membrnae. A long kinetoplast was noted within a very elongated mitochondrion at the center of the organisms and a flagella rose in front of the kineoplast but ended within the cytoplasm. Large numbers of free ribosomes, occasional Golgi complex and SER were also noted, but RER was seldom found. These ultrastructural features corresponded to promastigote stage of Leishmania tropica. In principle, leishmaniasis is a tropical disease and can not be found in temperate zone. However, travel to mideast by many Koreans may contract this disease while they are in endemic regions.

  • PDF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INTRAEPITHELIAL NERVES OF ORAL MUCOSA OF RATS DURING AGING (증령에 따른 백서구강점막 상피내신경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 CHOI DAI HO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14 no.1
    • /
    • pp.7-16
    • /
    • 1984
  • 구강점막 각 부위의 지각신경의 특징은 근년 생리학적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 되어왔다. 일반적으로 생리학적 기능은 연령과 더불어 감소된다는 소견이 구강점막에서도 적용된다고 하나 이에대한 형태학적 지견을 중심으로 볼 때 그러한 감소가 순전한 기능저하의 결과인지 혹은 지각신경의 해부학적 형태변화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본 논문은 Spraque-Dawely와 Fischer 344 두종의 숫자 20마리를 이용하여 각종을 6개월과 30개월의 연령으로 2군으로 나누어서 연령에 따른 구강점막내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특성의 변환을 관찰하고, 단위면적당 분포하고 있는 신경요소의 변화를 정량해 보았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점막에 분포하는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형태에 있어서는 젊은백서와 늙은백서 사이에 인정할 만한 질적 차이가 없었다. 2. 연령증가에 따라 구강점막의 상피내 간격에 존재하는 신경요소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3. 이와 같은 감소는 신경섬유보다 신경종말의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