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코일

Search Result 47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10m Distance Inductive Power Transfer using Distributed Windings of Dipole Coil (분산권선형 다이폴 코일을 이용한 10m 거리 무선전력전송)

  • Son, Ho S.;Thai, Van. X.;Gu, Beom W.;Rim, Chun T.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485-48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10m 반경의 공간에 위치한 웨어러블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전송을 제안한다. 장거리 무선전력전송의 송신코일 양단의 높은 전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진 커패시터를 분산하여 각 코일의 유기전압을 줄이는 분산권선형 다이폴 코일을 제안하였다. FEM 시뮬레이션 결과, 분산권선형 다이폴 코일이 형성한 자속밀도의 균일도는 최소 71%로 집중권선형 다이폴 코일의 최소 51%보다 높았다. 또한 거리별 최고 자속밀도는 분산권선형 다이폴 코일이 낮았지만 거리가 멀어질수록 차이는 줄어들어 5m 거리 이후에서의 차이는 30 % 이내임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설계를 바탕으로 분산권선형 다이폴 송신코일과 4가지의 다른 형태를 갖는 수신 코일을 제작하여 10m 거리 이내에서 10 mW 이상의 전력을 전송하였다.

  • PDF

Design of the Current Segment Coil for Accelerating the Magnetic Materials (자성물질을 가속시키기 위한 전류 Segment 코일의 설계)

  • Chung, Byung-Ta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4
    • /
    • pp.861-866
    • /
    • 2012
  • The distance optimizing between coil and magnetic materials never be specified in the magnetic materials acceleration using the coil till now. We can know to be the distance which optimizes when being in the half position about the distance of intercoil by the result of the max point on the Differential calculus. Whether several top and bottom current segment coil structures were made and the steel ball in which the current segment coil structure is the magnetic materials could be accelerated in the optimizing distance or not confirmed. When the coil valley current about the mass of the steel ball was known as the experiment and it was but to be the nose consequently it applied to the magnetic materials and magnetic fluid, the optimal distance was solved between the coil and material.

5m-off-long-distance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using dipole coils (다이폴형 코일을 사용한 5m 거리의 자기유도 무선전력전송 기술)

  • Park, Changby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627-628
    • /
    • 2012
  • 기존 자기공진형태에서 사용되는 루프 형태의 코일 대신에 코어를 사용한 다이폴 형태의 코일을 1차 측과 2차 측에 사용해 코일의 부피를 줄이 면서도 먼 거리까지 자기장을 보낼 수 있는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전력 시스템을 구성 하였다. 각 코일에 사용된 코어의 형상은 코어 내부에서 자기장이 균일하게 분포 될 수 있도록 최적화 되었으며 5m 거리에서 209W의 전력을 전달하고, 최대 16%의 효율을 달성 하였다.

  • PDF

A Study on Coil Misalignment in a 3-Coil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a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의 3-코일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코일의 비 정렬에 관한 연구)

  • Hwang, In-Gab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4 no.1
    • /
    • pp.48-55
    • /
    • 2021
  • The 3-coil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as analyzed using an equivalent circuit model, and the |S21| of the system was expressed as the equation of the Q of the three coils, the coupling coefficient k between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relay coil, the relay coil and the receiving coil. It is suggested that the maximum efficiency can be obtained when the relay coil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ransmitting and the receiving coi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the receiving coil is 30 cm and the two coils are aligned, maximum efficiency of 9 % is obtained with the relay coil centered between the coils. If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receiving coil are misaligned during a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the efficiency is expec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aligned case.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using a relay coil and by rotating the coil.

Design and Stress Analysis of 600 kJ SMES Model Coil (600 kJ SMES 모델 코일의 설계와 Stress 해석)

  • Park, Myung-Jin;Kwak, Sang-Yeop;Lee, Seoung-Wook;Kim, Woo-Seok;Hahn, Seoung-Young;Choi, Kyeong-Dal;Han, Jin-Ho;Lee, Ji-Kwang;Jung, Hyun-Kyo;Seong, Ki-Chul;Hahn, Song-Yo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871-872
    • /
    • 2006
  • 본 논문은 600 kJ SMES 모델 코일의 설계와 전자기력에 의한 모델코일의 스트레스의 해석에 관한 연구 결과를 나타낸다. 모델 코일의 설계에 적용된 초전도 선재는 77 K, 자기자계 하에서 115 A인 강화 선재이며, 모델 코일은 두 개의 팬케이크 코일로 구성한 모듈 코일 3개를 적층한 형태로 총 6개 더블 팬케이크 코일로 구성되어있다. 모델 코일의 임계전류는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코일에서의 최대 수직방향 자장을 이용해 Load Line을 나타내고, 이를 운전온도인 20 K에서의 $B-I_c$ 곡선에 적용하여 결정하였으며 236 A이다. 운전전류는 임계전류의 80%인 165 A로 결정하였으며, 이는 n-Value 손실을 고려한 값이다. 또한 해석적 방법을 이용해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전자기력에 의한 모델 코일의 radial stress와 hoop stress를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 PDF

Partial Discharge of Ignition Coil for Automotive (자동차 점화코일의 부분방전특성)

  • Shin, Jong-Yeol;Kim, Tag-Yong;Byun, Du-Gyoon;Kim, Weon-Jong;Lee, Soo-Won;Hong,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39-242
    • /
    • 2003
  • 자동차 점화장치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낮은 전압을 점화코일을 통하여 연소실의 혼합기를 연소시키기에 충분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점화장치의 핵심은 점화코일이다. 이 점화코일은 절연성능이 우수한 절연재료가 사용되지만 고전압의 발생으로 점화코일 내부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열화로 인해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기적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절연재료의 수명은 단축되며, 또한 점화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코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온도변화에 따른 절연열화로 점화코일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화코일에 사용되고 있는 절연재료에 전압이 인가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의 일종인 부분방전 측정을 통하여 전압변화에 따른 에폭시 성형 점화코일의 위상각($\Phi$) - 방전전하량(q) - 발생빈도수(n)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점화코일의 수명을 예측하여 자동차 점화장치의 성능진단과 정보제공을 자동차 전기장치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며, 온도상승에 따른 점화코일의 부분방전 특성을 실험하고 분석하였다.

  • PDF

Improved Degree of Freedom of Magnetic Induction Wireless Charging Coil Using Proposed Double Coil (이중코일을 이용한 자기유도 무선충전 코일의 자유도 개선)

  • Choi, Bo-Hee;Nam, Yong-Hyun;Chung, Habong;Lee, Jeong-Ha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9 no.12
    • /
    • pp.907-914
    • /
    • 2018
  • Wireless charging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and popularized owing to the potential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charge electronic devices without wires for users. However, the receiver on the wireless charging pad is not charged when the center of the receiver is misaligned; thus, the center of the receiver must be adjusted well. This misalignment may greatly reduce the convenience of wireless charging.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wireless charging, a coil is designed to improve the positional freedom of the receiver. The positional freedom of the Rx coil is improve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x coil is larger than when Rx and Tx coils are almost the same size. When the Tx coil has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at of the Rx coil, the efficiency at the center is somewhat lowered, but the efficiency is improved compared to when the center is out of order. In this paper, a double coil structure having an outer and an inner coil is proposed. The double coil structure further improves the efficiency, compared with one coil with the same outer size. The simulation and measurem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endency was consistent,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Rx coil is improved by adding the inner coil, while the size of the outer coil was the same. The measurement shows tha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Tx coil is 37 %, the larger outer diameter coil is 45 %, and double coil is 47 % when the distance of the Tx/Rx coil is 3 mm, the misalignment is 15 mm and current flowing in the Rx coil is 1 A at an operating frequency of 105 to 210 kHz.

Development of SC Coil Quenh Protection System for KSTAR TOKAMAK (KSTAR 토카막용 초전도 코일 ?치 보호 시스템 개발)

  • 신현석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0.07a
    • /
    • pp.14-17
    • /
    • 2000
  • KSTAR 핵융합 장치에 초전도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 코일의 저항이 제로에 가까우므로 낮은 전압으로 20kA 이상의 전류를 흘릴 수 있어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초전도 코일 내부의 한 부분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저항이 증가하는 치 현상이 자주 일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일이 손상된다 이를 막기 위한 회로가 치 보호회로이며 대전류 차단기와 에너지를 소비시킬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전도 코일에 적용 되는 전원장치의 용량은 20kA에서 35kA에 이르며 치 보호를 위해 직류 대전류 차단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기계적 차단기는 교류에서만 동작하며 직류 차단이 가능한 차단기들은 용량이 위의 값에 미치지 못하며 크기와 가격 및 반복성에 있어서 제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계적 스위치의 장점과 반도체 싸이리스터 스위치의 장접을 결합한 직류 대전류 차단기를 개발함으로써 시스템의 크기와 가격을 낮추어 경제적으로 더 나은 효과를 가져오며 신뢰성 및 반복성을 높인 회로를 개발하여 KSTAR 토카막 초전도 코일 치 보호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한다.일 치 보호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한다.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ireless Power Transfer Coils for Loosely Coupled Dual-Active-Bridge Converter (Loosely Coupled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용 무선 전력 전송 코일 개발)

  • Lee, Jaehong;Lee, Seung-Hwan;Kim, Sungmin;Han, Dongyeop;Kim, Myung-Y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31-3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변압기 대신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적용해 양방향 전력 전송을 가능케 해주는 loosely coupled dual-active-bridge 컨버터에서, 코일 간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코일 형상 설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한 요소법을 통해 여러 형태의 페라이트 코어에 대해 해석했다. 페라이트 코어 형태가 I-자 일 때 가장 높은 quality factor의 코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I-core의 ferrite plate의 크기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결정하는 코일의 coupling coefficient와 코일의 quality factor가 변하고 trade-off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cm의 air-gap에 대해 최대 효율을 가지는 코일 형상을 설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97.8%의 코일간 전송효율을 얻었다.

  • PDF

Optimal Structure of Planar Spiral Coil in Inductive Power Transformer (무선전력 전송용 평판 나선형 코일의 최적 형상)

  • Kang, Min-Hyuck;Lee, Jae-Woo;Joo, Dong-Myoung;Ryu, Seung-Hee;Yoo, Bong-Gi;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55-4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평판 나선형 코일의 최적 형상 선정을 위해 각 코일의 형태에 따른 출력 성능을 비교 및 평가한다. 코일 간 결합계수, 각 코일의 Q-factor 측면에서 송수신 패드의 성능을 비교하며, 이를 위해 송수신 패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여 모델링 한다. 모델링한 코일에 대하여 수신패드의 수직 및 수평이동에 대한 성능 지표를 평가하고 코일의 최적 형상을 선정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