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도서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Elements of Electronic Books (전자도서의 선택 및 평가 요소)

  • 최원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3.08a
    • /
    • pp.203-20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전자도서 관련 조직, 기술 등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기반으로 전자도서의 관련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자도서를 도입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 환경, 이슈를 조사하고 분석하고 전자도서의 선택 및 평가를 위한 고려 요소 및 기준을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Electronic Books in Digital Library: Focusing on Academic Library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전자도서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Choi, Won-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7 no.2
    • /
    • pp.365-385
    • /
    • 2003
  • Because the electronic book field tends to be marked by rapid changes, keeping current with the events and the literature can be difficult. The electronic book means for reading on PCs or hand-held devices were also limited by the quality of the screen. The electronic book will survive and reading devices become much cheaper and much better in quality. This paper, based on recent electronic book technologies, addresses some of the issues that are central to the acceptance and integration of electronic book into academic library. It also addresses the current electronic book environment, notes the increasing issues, details the management factors in academic library, and examines potential future electronic book directions.

A Study on the Rethinking of Acquisitions & Services of e-Books (전자도서의 수서 및 유통에 있어서 인식 전환에 관한 연구)

  • Kwack, D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7 no.4
    • /
    • pp.113-130
    • /
    • 2003
  • Libraries manage e-Books as a new kinds of library materials and provide library users with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Initial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be an investigation into several misconceptions surrounding e-Books and their pricing structure. This study is also concerned with the fallacies of unifying e-Book techniques from four perspectives: (1)the misunderstandings related to unifying viewer and DRM, (2)the misconceptions about unifying service techniqu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3)the analyses of essence of e-Book techniques, (4)the settlement of users´ inconveniences through continuous technique refine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ve purchase of e-Books and presents several ideal strategies for their acquisition and services.

A Development of Service System for Electronic Design·Completion Documents and Drawings on Port Construction (항만건설공사 전자설계·준공도서 서비스 시스템 개발)

  • Jeong, Seong-Yun;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69-1270
    • /
    • 2012
  • 설계 준공도서는 건설공사를 시공하거나 유지 관리에서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이다. 과거에는 전자설계 준공도서가 단순 보관용으로 사용되어 활용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전자설계 준공도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전자설계 준공도서의 적합성 검사, 시스템 등록 서비스 등의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시키실 수 있는 전자설계 준공도서 서비스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응용하면 항공, 철도 등 다른 건설분야의 전자설계 준공도서 서비스 시스템 개발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Entering System of Digital Book used Web Service (웹서비시를 이용한 전자도서 입력봉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Chan-Woo;Kang, Seong-Woon;Kim, Tae-Hoon;Baek, Seung-Geon;Seo, 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982-985
    • /
    • 2017
  • 전자도서 입력봉사 시스템이란 시각장애인을 위한 봉사활동의 일환으로써 일반 도서를 컴퓨터 워드작업을 통해 전자도서를 제작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기위한 자원봉사활동을 의미한다. 하지만 봉사자의 모집이 어렵고, 봉사자들의 중도포기가 많은 등 애로사항이 존재함에 따라 지속적인 전자도서 제작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전자도서 입력봉사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봉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설계 개요, 계획 단계, 분석 단계, 설계 단계, 개발 단계, 시험 단계를 거쳐 웹서비스를 설계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시각장애인복지관 또는 시각장애 관련 정책 개선 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향후 보다 효율적인 입력봉사 시스템 체계의 설계를 위한 고도화 연구가 필요하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Digital Library Search System (통합 전자 도서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밀 구현)

  • 허라영;오앙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94-98
    • /
    • 2002
  • 최근 들어 컴퓨터 산업과 정보화 사회의 발달은 많은 정보 이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주고 있으며 온라인 정보소스와 정보 이용자 수는 인터넷과 통신기술의 확산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변화는 정보시스템간의 통합을 요구하며 특히 도서 검색 시스템 통합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도서검색 서비스는 여러 지역의 도서 자료 통합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을 기반으로 하여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여러 도서 검색 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는 통합 전자 도서 검색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 PDF

기획 / e-Book 솔루션의 종류

  • Lee, In-Cheol
    • Digital Contents
    • /
    • no.9 s.124
    • /
    • pp.48-51
    • /
    • 2003
  • 전자책이란 도서로 간행됐거나 간행될 수 있는 저작물의 내용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해 전자 기록매체, 저장장치에 수록된 뒤,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나 휴대단말기로 그 내용을 읽고,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서를 총칭한다. 이렇게 볼때 로버트 기요사키가 만든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를 한글 문서나 워드로 만들어 개인 PDA에서 읽는 것도 전자책의 형태일 수 있으며, 한국전자북이 판매하는 하이북 단말기에서 'YBM 시사영어사'의 토익을 보고 MP3로 들을 수 있어도 전자책이다. 이렇듯 큰 의미로는 저작물이 도서로 발간됐거나 가능성이 있는 저작물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모든 것을 전자책이라 할 수 있지만 본 지면에서는 국, 내외 상업화된 유로 전자책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전자책에 활용되는 솔루션만을 대상으로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XML-based Electronic Document DTD fort Drawings and Documents on Construction (건설공사 설계도서의 전자문서 DTD 개발)

  • Jeong, Seong-Yun;Kim, Seong-Jin;Ok, Hyun;Na, He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20-222
    • /
    • 2002
  • 건설사업을 시행하면서 생성되는 설계도서를 건설CALS/EC 체계에 따라 사업참여주체간에 보다 효과적으로 교환 및 공동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계도서의 전자화가 필요하며 이 때 전자화된 도서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표준화된 설계도서의 논리 구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도서에 관한 X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을 설계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for Library System utilizing Metadata and Database (도서 메타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성능 측정)

  • Lee, Eun-Kyung;Park, J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20-23
    • /
    • 2010
  • 인터넷 기반으로 다양한 웹서비스와 멀티미디어형 자료를 제공하는 디지털 도서관의 설립과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기존의 도서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기술은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 도서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국제 표준 메타데이터인 MARC 와 MODS 는 급속히 발전하는 인터넷 기반 디지털 도서관의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충족시키기에는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서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설계하고, 검색 시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용성 검증을 위한 실험결과를 보였다.

Books Location Extraction System from Shelves by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에 의한 서고에서의 도서 위치 검출 시스템)

  • 조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421-42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전자도서관 구축을 위해 도서들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와 같이 일반인들에게 개방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이나 대형 서점에서 열람자가 도서를 제 지리에 꽂지 않아서 이를 정리하기 위한 지루하고 단순한 작업이 사서에 의해 수행되어야 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도서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늘 시스템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는 크게 각 도서들간의 경계 영역 추출 모듈, 도서들의 타이틀 영역 추출 모듈 그리고 도서 타이틀 영역 인식 모듈로 구성되며 향후 상용화에 성공할 시 해당 분야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