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압안정화

Search Result 200,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The Study of Single Phase Source Stability consider for The DSC Cell's Operation Character by controlled Peed-back Circuit (DSC동작 특성에 따른 피드백제어를 통한 단상 전원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 Kim, Jin-Young;Park, Sung-June;Jung, Jong-Jin;Yoo, Dong-Wook;Kim, Hee-J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677-679
    • /
    • 2005
  • 최근 나노입자를 이용하는 광전 화학전지(PEC, Photoelectrochemical)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C)의 효율이 증가함에 따라 DSC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성능 개선 또한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Fly-Back DC-DC 컨버터(변화비율1:10)를 이용하여 DSC셀의 전압을 DC 300V로 승압시켰다. 또한 풀브릿지 인버터를 사용하여 AC 220V, 60Hz의 출력전압을 얻었다. 연구에서 제안한 회로는 높은 효율의 동작특성과 간단한 제작, 낮은 제조비용, 그리고 안정성을 추구한다. 또 다른 주요점은 부하단에서 Feed back을 받아 동작을 컨트롤하는 것이다. 부하단의 출력 전압과 전류를 Feed back 받아서 DSP320LF2406을 A/D기능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부하의 변화에 대처하여 컨버터와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 PDF

A Study on Digital Voltage Relay (디지털 전압 계전기에 관한 연구)

  • Park, Chul-Won;Kang, Mool-Kyul;Kim, Ye-Ji;Hwan, Yun-Hu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756-757
    • /
    • 2011
  • 보호장치는 전력계통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신속 정확 하게 고장을 검출하여 고장부분을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각종 설비의 손상을 막고 정전구간을 최소화 하여 계통의 안정화를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현재 한전 및 발전사 뿐만아니라 수자원공사의 수도사업장에서도는 원격감시 제어를 통한 무인화와 함께 디지털보호계전기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기존의 기계식 보호계전기가 수행하는 보호기능보다 우수한 성능이 입증되었으며 최근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보호 알고리즘의 지속적인 개발로 보호계전기의 디지털화가 가속되고 있고 더욱 개선된 고성능, 다기능의 보호계전기 또는 IED가 산업현장에 적용되는 추세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전압 보호계전기와 부족전압 보호계전기의 기능 및 동작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Small Signal Modeling and Control Design of a Single-Phase Grid-Connected Inverter for the Phoovoltaic System (단상 계통 연계 태양광 인버터의 소신호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

  • Lee, S.J.;Bae, H.S.;Choi, K.S.;Cho, B.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604-60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단상 계통 연계 태양광 인버터의 소신호 모델링을 통한 체계적인 제어기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계통 연계 태양광 인버터의 내부 전류제어기는 계통 전압과 동상이 되도록 계통 주입 전류를 제어하고, 외부 전압제어기의 태양전지 안정화 제어기를 통해 태양전지의 최대전력점 추적제어를 수행한다. 태양전지의 전 동작 영역에서 안정적인 동작 수행과 계통주입 전류 제어를 위한 태양전지 전압 제어기 및 인버터 전류제어기의 안정도 해석 및 설계 방법을 소신호 모델링을 통해 제시한다. 본 연구에 제안된 방법은 200W급 태양전지를 이용한 축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bus voltage stabilization of PCU (Power Control Unit) for GEO (Geosynchorous Earth Orbit) satellite (정지궤도위성용 전력제어 조절기의 버스전압 안정화에 관한 연구)

  • Choe, Hyun-Su;Gil, Yong-Man;Ahn, Tae-Young;Yoo, Seung-Hee;Woo, Hyuk-Jae;Pack, Sung-Woo;Koo, Ja-C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946-947
    • /
    • 2015
  • 정지궤도 복합위성용 전력조절장치는 위성의 전력버스에 필요한 전력을 조절하고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전력조절장치의 용량은 1kw로 하고 태양 전지의 어레이는 4개의 패널로 구성되며 S3R(Sequential Switching Shunt Regulator)을 이용하여 조절된 버스전압은 완전조절 50Vdc으로 한다. 변환된 전력은 위성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분배하는 PDM(Power Distribution Module)에 공급된다. 남은 전력은 BCR(Battery Charge Regulator)를 통해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고 전력이 부족할 때 BDR(Battery Discharge Regulator)를 통해 방전을 하여 버스전압에 전력을 공급한다.

  • PDF

초고전압 전기절연의 최근의 제문제

  • 가전정지
    • 전기의세계
    • /
    • v.26 no.6
    • /
    • pp.3-7
    • /
    • 1977
  • 근대산업 및 일상생활에 있어서 에너지원으로서 전력사업이 기여하여 온 역활은 크며, 그 수요는 그나라 산업 level의 지료로 되고 있다. 그러므로 전력수요는 증가일로에 놓여 있으며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1975년읠 총 소비전력량은 4300억Kwh에 달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전력소비의 내용도 다양화하고, 특히 보다 안정한 전력의 공급을 포함하는 질적 고도화가 요망되고 왔다. 여기 또한 도시과밀화에 수반하는 환경조건의 제약을 발전지점의 원격화를 조장하고, 보다 확대된 광역운영을 하게 된다. 여기에 대처해야할 전력계에서는 전원개발, 송배전계통의 유통설비 및 계통안정화방법등 많은 방향으로부터 여러가지 개량이 되어가고 있으나, 특히 안정한 초대용량 전력계통의 확립이 급선무이다. 이들중에서 전력계통에 대하여는 직류승전망의 병용을 포함한 높은 전압 level의 채용이 주목되며, 그림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국 모두 계통의 초고전압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하 이들의 새로운 전력전송기술중에서, 전기 절연기술 특히 재료면에 있어서, 현황과 제문제에 대하여 전망하여 보고자 한다.

  • PDF

압전액츄에이터 연동파형 고전압증폭 구동장치 설계

  • 조정대;함영복;윤소남;감광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0-110
    • /
    • 2004
  • 하나 또는 다수개의 압전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구동 효율을 높이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고정밀과 빠른 응답 특성을 구현(implementation)하기 위하여, 입력전압에 대하여 출력전압이 선형적으로 추종하고 주파수 가변(variable)이 독립적이며 순차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위상가변(phase shifting)형 압전액츄에이터 구동장치의 설계가 필요하다. 구동신호론 증폭하고 가변하는 고전압 증폭 구동장치는 압전액츄에이터 구동에 직접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이의 특성인 고주파에서의 위상지연 보상, 높은 회전비(slew rate)로 고전압에서 정현파의 찌그럼짐을 방지, 전압이득의 가변 및 안정화,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의 개선과 주파스 대역폭(band width)의 확장 등은 매우 중요하다.(중략)

  • PDF

Modeling of DC Subway System Considering Regeneration Energy and Operation Characteristic (회생에너지와 운전특성을 고려한 직류지하철 시스템 모델링)

  • Park, Chan-Heung;Jang, Su-Jin;Lee, Byoung-Kuk;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07a
    • /
    • pp.482-484
    • /
    • 2007
  • 철도차량이 운행될 때 회생제동 구간에서는 회생에너지가 발생한다. 1500[V] DC급전시스템에서 회생된 에너지는 가선 전압을 상승시킨다. 상승된 가선전압은 급전시스템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회생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가선전압을 안정화 한다. 회생에너지 활용방법의 하나인 회생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 될 사항은 회생에너지의 발생양이다. 회생에너지의 양이 적어 활용가치가 떨어지는 구간에서는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회생량에 대한 사전 정보가 필요하다. 회생에너지의 양은 실측을 통해 얻을 수 있지만 측정을 위한 시간이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생에너지 예측이 가능한 직류지하철 시스템의 모델링을 통해 실측시 발생하는 시간 및 비용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회생에너지의 예측은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구배 및 곡선, 차량 데이터 등의 운전특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 PDF

저궤도 위성의 운용에 따른 휠 밸러스트 회로 영향성 분석

  • Yun, Seok-Taek;Won, Yeong-Jin;Lee, Jin-Ho;Kim, Jin-Hui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1.4-32
    • /
    • 2010
  • 저궤도 위성의 주요 부하는 대부분 잉여성을 지니게 설계되며, 위성 본체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에 대한 보호를 위해 밸러스트 회로가 추가적으로 요구 될 수 있다. 이중 휠은 위성의 기동에 사용되는 대용량 부하로 안정화를 위해 밸러스트회로의 설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위성의 운용상 발생할 수 있는 본체 전압의 Transition 조건 및 밸러스트회로의 모델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모의실험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Matlab/silulink 및 PSIM을 이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본체 전압의 변동 조건을 Inrush, Major/minor 및 Step/Frequency 부하 변동으로 나누었고, 2-port 모델링을 통해 밸러스트 회로의 구성 및 외란에 따른 영향성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 하였다.

  • PDF

A Sensorless Control Scheme of the Three-Phase Z-Source PWM Rectifier Using State Observer (상태관측기를 이용한 3상 Z-소스 PWM 정류기의 센서리스 제어)

  • Han, Keun-Woo;Jung, Young-Gook;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41-4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종전의 3상 PWM 정류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3상 Z-Source PWM 정류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정류기는 시스템의 간소화, 안정화, 비용상승을 고려하여 상태관측기가 적용된 센서리스 제어 기법을 적용하였다. 3상 Z-Source PWM 정류기는 교류측 전압센서 없이 DC-link단 전압센서와 입력단 전류 센서만을 이용하여 교류측 전압을 추종한다. 제안된 3상 Z-Source PWM 정류기는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 하였다.

  • PDF

SMPS Design for high voltage input (고출력 SMPS 설계)

  • Song, Gwang-Cheol;Park, Sung-Min;Song,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69-170
    • /
    • 2015
  • 본 논문은 Forward Converter방식의 DC/DC 컨버터 회로를 기반으로, 1000[V]급에 해당하는 고전압 입력으로부터 절연된 저전압을 출력하는 고압SMPS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토폴로지는 고전압을 분배하는 커패시터와 MCU 전용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구성하고, 각 커패시터에 분배된 전압을 입력으로 다중여자 방식의 컨버터 구조로 되어있다. 직렬 커패시터 구조는 고압환경에서 각 소자들의 절연 및 전압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어기 전용의 커패시터는 시스템의 초기구동을 위한 자가충전 (Self-Power) 및 Black-Start의 시스템 안정화 구조이다. 또한 각 모듈에 연결된 모든 DC/DC컨버터 출력이 하나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Passive방식의 단일 코어를 갖는고주파 변압기를 통하여 자속을 공유함으로 밸런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된 공진회로는 PIS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타당성과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