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압안정화

Search Result 20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NU 1.5 MV Van de Graaff Accelerator (V) -on the Operation of the High Voltage Stabilization System- (NU 1.5MV 반데그라프 가속기 (V) -고전압 안정화 계통의 동작-)

  • Bae, Y.D.;Bak, H.I.;Chung, K.H.;Woo, H.J.;Choi, B.H.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9 no.2
    • /
    • pp.115-121
    • /
    • 1987
  • A high voltage stabilization system for the SNU 1.5MV Tandem Van do Graaff accelerator was set up and it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optimized. The optimum parameters of beam transport system were experimentally determined, and under the proper condition the accelerated proton beam current of 350nA was obtained at the target chamber. Without the high voltage stabilization the observed magnitude of voltage fluctuation was $\Delta$V/ V=5.2$\times$10$^{-3}$ without ion beam and 7.2$\times$10$^{-3}$ with ion beam, respectively, and its apparent ripple frequency for voltage fluctuations was about 3Hz or less. Through the optimized operation of the high voltage stabilization system, the terminal voltage fluctuation was reduced to $\Delta$V/V=2.45$\times$10$^{-4}$ and the energy stability with $\Delta$E/E=2.44$\times$10$^{-4}$ was steadily maintained at the 247.3kV terminal voltage, and the stabilization factor was deduced to be 29.4.

  • PDF

Reactive power Control of Voltage Compensator for stabilization Distribution Line (배전선로 안정화를 위한 전압보상기의 무효전력 제어기법)

  • Seo, Joungjin;Jo, Jongmin;Kim, Yeong-Rok;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3-105
    • /
    • 2020
  • 본 논문은 저압 배전선로의 전압 조정을 위해 상태관측기와 반복제어기를 적용한 무효전력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및 실험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무효전력 보상기는 단상 풀 브리지 인버터 구조이며 전압제어 시 DC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압 제어와 전류 제어기로 구성된다. DC 리플 보상방식은 상태관측기로 만들어낸 출력 값, DC 링크 리플 성분을 보상한 값을 전압제어기 피드백 성분으로 사용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였다. 무효전력을 안정하게 주입하기 위해 기본파 성분은 PI제어기로 제어하고 반복제어기를 PI제어기와 병렬로 연결하여 저차 고조파를 보상하였다. 반복 제어기는 동기 좌표계에서 구현됨에 따라 홀수파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안한 제어기법은 5kVar 단상 인버터 시스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상태관측기와 반복제어기가 적용된 경우 THD가 9%에서 2%로 향상됨을 확인함으로써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Color enhancement system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ransition Time and color detdetion Stability (천이 시간 개선과 색검출 안정화 기반의 색 향상 시스템)

  • Lee, Eung-Jo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3
    • /
    • pp.715-719
    • /
    • 199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lor enhanc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ransition time problem and specific color detection stability. The proposcd system apply the time difference correction step to corrects time difference which is taken place at the transimission process between color signal and color subcarrier signal and to reduce detection errors. And also, we proposed stability method to improve transition time problem and detection efficiency as the control of reference color. The proposed system controls specific color when the mean difference value of detected voltages greater than the value of minimum discriminate voltages of two adjacent color signals. Thus, the color enhancement system improves detection efficiency and controls specific color from the color signal without overlapping of correction range.

  • PDF

Laser cooling 용 다이오드 레이저의 안정화

  • 이호성;양성훈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49-153
    • /
    • 1995
  • 세슘원자에 대한 레이저 쿨링용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이오드 레이저의 서폭을 축소하고 발진 주파수 및 출력을 동시에 안정화 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유발진 상태에서 약 30 MHz 이고, 출력이 10mW인 다이오드 레이저에 유이창으로 Q 갑이 낮은 외부 공진기를 구성함으로써 발진선폭을 약 5MHz로 줄일수 있었다. 그리고 세슘원자의 포화흡수 스펙트럽의 교차공진 흡수선에 레이저 주파수를 안정시키기 위해 주입전류를 10kHz 로 변조하고, lock-in amp 의 출력단에서 나오는 주파수 오차신호를 전류공급장치와 유리창이 부착된 PZT로 동시에 피드백시켰다. 또한 오차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의 온도 조절장치로 피드백 시킴으로써 주파수와 동시에 레이저 출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이 때의 출력의 변동폭은 약 0.03% 로서 온도로 피드백 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약 260배 안정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해서 흡수선의 peak 값을 매 10초마다 검색하고 이 값이 최대가 되도록 PZT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주파수를 세슘원자의 흡수선의 봉우리에 1주일 이상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주파수 안정도 측정을 위해 Zeeman 이동된 포화흡수 스펙트로미터를 구성하였으며, 측정된 주파수 안정도 (Allan 분산의 제곱근)는 적분시간 1초 일 때 1.2x10-10 이었다.

  • PDF

A Study on the Load Shedding Scheme (부하차단 방안 연구)

  • Oh, Chang-Soo;Lee, Back-Seok;Chun, Yeong-Han;Lee, Kang-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b
    • /
    • pp.267-270
    • /
    • 2005
  • 저주파수 부하차단 방안은 발전기 탈락 또는 송전선로 개방과 같은 사고에 대처하는 좋은 안정화 대책이다. 전력계통 규모와 구성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부하차단 방안이 있다. 전력계통의 규모 확대와 구성의 복잡화는 저주파수계전기에 의한 부하차단 만으로는 계통 안정화에 한계가 있어 저전압계전기에 의한 부하차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부하차단 방안을 정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그 결과의 적정성 확인 및 저전압계전기에 의한 부하차단 방안을 과도안정도 해석 프로그램으로 검토 및 분석한 사례다.

  • PDF

A study of the Intergrated Voltage stabilization method based Smart PowerGrid due to Large Amount of Distributed Generation (스마트파워그리드 계통에서의 통합 전압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 Shin, Dong-Hwi;Hwang, Woo-Hyun;Kim, Kyeng-Hwan;Kim, Ja-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08-1309
    • /
    • 2011
  • 스마트그리드가 출현함에 따라 향후 배전계통에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전력저장장치, 전기자동차(V2G) 등의 분산전원의 연계는 급속도록 증가할 것이며 더불어 배전계통은 더욱 더 복잡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계통의 전압변동 문제이다. 복잡한 전압변동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스마트그리드 계통의 전력품질과 안정도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스마트그리드 계통 하에서 분산전원의 위치는 변전소 근처 전원단부터 부하 말단까지 전원사업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하게 될 것으로 지금까지의 전압변동, 조류계산 등의 모델링 방법으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분산전원 배전계통 연계 용량 확대를 위해 실 선로의 실시간 전압 측정값을 이용한 분산전원 연계 스마트그리드 계통의 통합 전압관리안정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Grid-Interactive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with Voltage Stabilization (부하전압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계통 연계형 분산전원시스템의 설계)

  • Lee, Seong-Ryong;Jeon, Chil-Hwan;Lee, Su-Won;Ko, Sung-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990-991
    • /
    • 2006
  •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같은 안정된 계통(Strong Grid)에서 계통전압이 한전배전계통 공급기준의 전압변동률 ${\pm}6%(220V{\pm}13V)$이내에서 변화할 경우 계통 역률이 0.9 이상이고 부하전압의 변동이 거의 없도록 계통 연계형 전압제어형 전압원인버터(VCVSI)에 적합한 최대 전력제어각과 각각 최적의 시스템 용량(계통, 디커플링 인덕터, VCVSI)을 구하고, 유효전력을 100% 공급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Reactive Power Control of Single-Phase Reactive Power Compensator for Distribution Line (배전선로용 단상 무효전력 보상기의 무효전력제어)

  • Sim, Woosik;Jo, Jongmin;Kim, Jicha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5-37
    • /
    • 2019
  • 본 논문은 배전선로 안정화 구현을 위한 무효전력 보상기의 새로운 무효전력 제어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무효전력제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무효전력 제어는 동기좌표계 d축 전류성분 제어를 통해 수행되고, DC 링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압 제어와 이에 필요한 유효전력은 q축 전류성분 제어를 통해 구현된다. 제안된 무효전력 제어기법에 포함된 DC 리플 보상방식은 추출된 DC 전압의 오프셋 성분을 제거하는 HPF(high pass filter)부와 HPF 위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 위상변화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지연함수부로 구성되며, 리플성분이 보상된 전압을 전압제어기 피드백 성분으로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DC 전압 리플 보상방식이 적용된 무효전력 제어 기법이 적용된 경우 전류 THD가 크게 향상된 결과로부터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Line Voltage Regulation of Urban Transit Systems Using Supercapacitors (슈퍼커패시터를 이용한 도시형 철도의 가선전압 안정화)

  • Son, Kyoung-Min;Choi, Jae-Ho;Kim, Hyung-Chu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4 no.6
    • /
    • pp.481-487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regulation method of DC line voltage for urban transit system fluctuated during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by using supercapacitor. Supercapacitor is modelled electrically under the assumption of three different time constants of RC circuits with variable capacitances depending on the voltage. And its parameters are determined by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The energy storage system using supercapacitors is installed based on this model, and the proposed model is tested through the simulations and experiments, and the controller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is designed. Finally, it is tested at Kyoungsan test site for the urban light rail road system and the energy saving effect is evaluated econom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