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실불안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일반병동 전실예정의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Burden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Patients : Planned Transfer to General Ward after Intensive Care)

  • 이혜숙;유미애;이수경;손연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1-223
    • /
    • 2014
  • 본 연구는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일정기간 집중치료를 받고 신체상태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어 일반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의 가족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101명이 연구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감은 전실 시 환자의 의식수준, 환자 몸에 부착된 기계장치의 수, 기관절개관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자 가족의 주관적 부담감의 경우 환자의 성별, 환자의 교육수준, 환자와의 관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은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회귀분석에서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 객관적 부담감의 경우 전실불안이, 주관적 부담감은 환자 성별과 전실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인으로 제시되었고, 각각의 설명력은 12.7%와 23.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이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퇴실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각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맞춤형 전실교육을 통해 환자가족의 부담감을 적극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신경외과 중환자실 환자가족의 전실스트레스, 불안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 Using a Relocation Information Guidebook on Relocation Stress, Anxie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in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 이현주;이윤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3-5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ducation, using a relocation information guidebook, on th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ho were scheduled to be transferred from a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to a general ward. Method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n = 21) and a control group (n = 20). A relocation information guidebook was crea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n interview with five family caregivers about how to satisfy their nee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and t-test. Results: The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relocation information guidebook, on th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ho were relocated to a general ward from the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was not significant for relocation stress (t = 0.94p, = .352) or anxiety (t = 1.25, p = .217), but was significant for education satisfaction (t = -2.50, p = .017).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location stress and anxiety scor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However, several methodological issues were highlighted that must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 including the timing and measurement of transfer anxiety, and the intervention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