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시 조명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Management of the Exhibits for the Lighting Standard of Museum (박물관의 전시조명기준에 따른 유물 관리 방안)

  • Han, Jong-Sung;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17-221
    • /
    • 2005
  •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의 관람을 위해서는 조명이 요구되며, 조명에서 제공되는 가시광선, 자외선 및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조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손상의 원인을 완벽히 제거한다는 것은 기술적, 실용적으로 쉽지가 않다. 따라서 손상의 원인을 완벽히 제거하기보다는 적절한 조명기준 등을 정하여 손상의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실질적인 수단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앙박물관의 박물관의 전시조명기준에 의거한 유물의 등급별 적산조도 등의 설정 기준에 따른 적용방법과 유지관리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PDF

Measurement for the Lighting Environment of National Museum of Korea (신 국립중앙박물관의 조명환경 측정)

  • Han, Jong-Sung;Kim, Gi-Hoon;Lee, Chang-Mo;Kim, Hoon;Kim, Ho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97-100
    • /
    • 2005
  • 조명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대의 박물관에서는 조명에 의한 다양한 연출 효과를 얻기 위해 같은 전시공간 내에서도 여러 종류의 광원들을 사용한다. 이는 역으로 각각의 유물들이 다양한 환경의 빛에 노출되어 전시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유물의 전시를 위한 최적의 조명환경 조건과 보존을 위한 최적의 조명환경 조건이 서로 다른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실 및 진열장에 조사되는 광복사량, 복사분포 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의 조명환경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 PDF

전시공간의 조명연출

  • 박필제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9 no.2
    • /
    • pp.17-20
    • /
    • 1995
  • PDF

A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Display Effect by Local Light (국부조명이 전시효과에 미치는 영양에 관한 실험연구)

  • 김현지;안옥희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8 no.5
    • /
    • pp.24-33
    • /
    • 1994
  • 본 연구는 의류매장 쇼윈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바람직한 의류매장 쇼윈도의 조명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실제 쇼윈도 크기 모형내에서 조명조건의 질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조명이 전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평균크기 쇼위도내에서 본 실험조건 중에서"변화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위치 45[cm], 각도 $0^{\circ}$, 광원용량 500[W], 전반조명을 사용했을 때, "명시성"을 중시할 경우에는 위치 180[cm], 각도 $45^{\circ}$, 광원용량 500[W], 전반조명을 사용했을 때, "정서성"을 중시할 경우에는 위치 180[cm], 각도 $-45^{\circ}$, 광원용량 500[W], 전반조명을 사용했을 때의 조명환경을 만들어 주면 가장 평가가 높다는 사실을 밝혔다.경을 만들어 주면 가장 평가가 높다는 사실을 밝혔다.

  • PDF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the Lighting Environment of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의 조명환경 측정 및 분석)

  • Han, Jong-Sung;Kim, Hoon;Kim, Hong-Bu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0 no.3
    • /
    • pp.1-5
    • /
    • 2006
  • In order to produce a variety of lighting effects most of the modem museums use various light sources in the same space. This indicates, in other words, that each item on display is being exposed to a different lighting environment. There are required, however, different conditions for optimum environments for displaying and preserving items,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visible rays, ultraviolet rays and infrared rays measured in the show cases and display room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analyzed to assess its lighting environment.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Optical Radiation of Light Sources (각종 광원의 광복사의 측정과 분석)

  • Han, Jong-Sung;Kim, Hong-Bum;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29-234
    • /
    • 2004
  • 조명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대의 조명환경에는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되고, 박물관 등에서는 조명에 의한 다양한 연출 효과를 얻기 위해 같은 전시 공간 내에서도 여러 종류의 광원들을 사용한다. 광원마다 전시물에 유해한 성분의 복사비율이 다르고, 여러 성분의 복사에너지가 복합적으로 전시물에 입사되기 때문에 전시물의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박물관에서 전시물의 손상이 어느 정도 일어날 수 있을지를 예측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등의 박물관 조명의 효과적인 실시를 위해서는, 전시물에 조사되는 광복사량 및 복사분포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조명의 형식과 누적조도로서 각 유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지관리 방안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조명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인공광원과 자연주광을 대상으로, 이들 광원들이 방출하는 복사조도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복사량, 광원의 분광분포 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Changes in Color and Strength of Natural Dyed Korean Paper Caused by Exhibition Lighting(I) (전시 조명에 의한 천연염색한지의 색과 강도 변화(I))

  • Lee, Sungeun;Roh, Hyunsook;Lee, Minsoo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9
    • /
    • pp.51-58
    • /
    • 2008
  • Influence of lighting for exhibition normally used in museum on discoloration of relics and weakening of materials was reviewed, and influence of currently used lightings discoloration of dyed Korean paper similar to relic and change of material quality was directly tested.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influence made on dyed Korean paper according to exhibition lighting, and based on these differences, method to select lighting safer for relics were explored. As a result of testing 4 types of fluorescent lamps, one lamp of them showed little influence on discoloration and change of material quality, which is judged to be proper for use in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