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시평가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4초

밀폐형 전시케이스의 기밀성능 평가방법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Air-tightened Exhibition Case in the Museum)

  • 김재용;노광철;오명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84-190
    • /
    • 200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judge the quality of air-tightened exhibition cases. Exhibition cases for artifacts display provide a layer of protection between the interior conditions in the exhibition case and the exterior fluctuating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museum environment. An infiltration model of the exhibition case was developed through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to calculate the number of air change rate in the exhibition case undergoing in a day, which represents the airtightness of the exhibition case. The results indicate that tighter exhibition cases provide greater protection against the fluctuating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utside.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 dity difference between the exhibition case in-and-out is larger, some absorption materials should be applied to control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exhibition case.

대학박물관 수장환경조사 및 생물학적 환경조사 (Conservation condition of academic museum cultural properties and biological environmental investigation)

  • 이중수;배미현;이민수;박지선;황석연;김기현
    • 고문화
    • /
    • 64호
    • /
    • pp.111-131
    • /
    • 2004
  • 대학박물관에서 전시 또는 수장되는 유물들은 현재의 시설 및 환경조건에서도 미생물(세균, 곰팡이)에 의 한 손상과 훼손을 방지하여 보존되어야 한다. 그러기에, 대학박물관의 보존환경 실태를 분석, 파악하여 박물관 내 전시 및 수장유물에의 생물학적 환경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이상적이고, 최적의 보존환경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에 지역별 대학박물관(대구한의대학교, 부산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용인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조선대학교, 한림대학교, 한양대학교)을 선정하여 전시실과 유물 및 수장고의 보존환경을 조사하여 이를 평가 분석하여 최적의 보존환경 보존 지침(Guide Line)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장고에서 문화재의 유물을 손상시키는 유해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전시실 및 수장고에서 근무하는 근무자들에게 호흡기 및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미생물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와 같은 생물학적 열화 예방을 위하여 대학박물관의 가장 효율적인 방제 방안을 설정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RADIANCE 프로그램을 이용한 미술관 전시공간의 주광 환경 디자인 평가 (The Evaluation of Daylighting Performances in Museum Exhibition Spaces Using Computer Program RADIANCE)

  • 김창성;정승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7-84
    • /
    • 2009
  • Daylighting is one of the major elements in architectural design.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useums focused on displaying artistic works. Many architects have tried to predict daylighting performances in exhibition spaces during the design process of museum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the design methods using the computer program RADIANCE that is available for the evaluations of daylighting performances in indoor space and to help architects design daylighting systems for better exhibition spaces of museums. For this study, Seoul Museum of Art was chosen and it was evaluated the recommended illuminance and the impacts of direct sunlight under the conditions of overcast sky and clear sky with sun.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they indicated that the alternative toplight system(sawtooth shape) was more effective for daylighting of exhibition spaces than the existing toplight system(pyramid shape) and this study showed a method to evaluate daylighting effects in exhibition spaces with various shapes of toplight systems.

지상전시 - 제17회 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189호
    • /
    • pp.124-129
    • /
    • 2009
  • 이번 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에서는 일반부문 대상으로 전자부문에 출품한 디엔시의 팅크웨어 아이나비 K7이 선정되었다. 학생부문 대상에는 박성수 씨가 선정되었다. 금번 2008년 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에서는 외관을 구성하는 형상, 모양 및 색채 등의 요소가 종합적으로 아름답게 구성되고 독창성이 있으며 판매를 촉진 할 수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평가가 이뤄졌으며 특히 상품 목적에 적합한 기능, 사용상의 편리성 및 유지 관리의 용이성 등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작품을 높이 평가했다. 본 고에서는 제17회 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 일반부문 수상작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지상전시 - 2009 일본 패키징 콘테스트 평가 및 전망 (Japan Packaging Contest 2009)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01호
    • /
    • pp.106-117
    • /
    • 2010
  • 올해 31회를 맞이한 일본 패키징 콘테스트는 지난 6월 18일에 열린 엄정한 심사에서 300건의 응모작품 중에 12점의 재팬 스타상 및 33건의 포장기술상, 63건의 포장부문상의 합 108점의 입상 작품이 결정되었다. 이번 일본패키징콘테스트출품작 전체적인 경향은 환경대응형 패키지, 유니버설디자인을 고려한 포장 등 환경과 인간을 테마로 한 것이 많이 보였다. 본 고에서는 심사위원의 강평을 일본패키징콘테스트를 평가해 보고 일본 포장산업을 전망해 본다.

  • PDF

컨덴츠 계층구조를 이용한 평가정보 자동 수집방법 (A Method for Implicit Rating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Content Hierarchy)

  • 이준훈;김영지;문현정;우용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151-153
    • /
    • 2002
  • 전자상거래에서 추전시스템은 사용자들의 관심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아이템이나 상품을 제안한다. 보통의 추천시스템은 추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시적으로 수집한 평가정보를 이동하였다. 그러나 명시적인 평가정보 수집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충분한 평가정보를 제공받지 못하여 추천이 어려울 수 있다. 최근에는 명시적으로 평가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묵시적으로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추천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묵시적인 평가정보의 장점은 로든 사용자에 대한 평가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이치의 부가적인 일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사이트에서 계층적으로 구성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단계적인 반응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평가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고 효율을 측정하였다.

  • PDF

대학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학예연구원의 전문직 역할 - 연구전임교수제의 확립과 역할평가 방안을 모색하며- (Professional Function of A Curator for Improving University Museum -Establishing Professional Faculty Researchers-)

  • 오일환
    • 고문화
    • /
    • 57호
    • /
    • pp.315-329
    • /
    • 2001
  • 1955년 8월부터 대학설치령에 의해 설립되기 시작한 대학박물관은 2000년 12월 현재 88개에 이른다. 대학박물관은 지역문화의 연구센터로서 풍부한 연구교육자료의 보유와 우수한 문화교육인력을 배양하여 왔다. 불합리한 여건 속에서도 대학박물관의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과 함께 구제 발굴의 참여와 연구인력 및 학술적 연구기능을 폭발적으로 제고시킴으로서 우리나라의 문화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최근 들어 대학박물관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빨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될 위기에 처하고 있다.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인력은 무엇보다도 정체성 확립과 함께 명확한 업무영역 및 역할평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박물관 학예연구원은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전시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전문적인 연구교육자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축적된 지식을 상품화하고 이를 확대, 재생산 할 수 있는 지식시스템의 구축을 모색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학박물관의 주요 구성원인 학예연구원을 비롯한 연구인력의 업무분장과 전문직 역할평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특히 학예연구원은 자료, 시설과 함께 박물관 3대 요소의 주축이며 전문 연구능력을 보유한 교육자인 동시에 과학기술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학박물관은 지위와 대우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원직은 교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한 임시 중간기착지로 인식되어왔고 실제로 대학박물관의 연구 및 교육적 활성화에 가장 커다란 걸림돌로 되어 왔다. 따라서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천은 연구, 교육, 전시, 조사, 유물관리, 행정협력 등을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 연구전임교수로 편입되어야 하며 적절한 업무분장과 엄정한 역할평가를 확립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PDF

1970년대 여성 노동자 아카이빙 방법론 연구 전시 를 중심으로 (The Archival Method Study For Female Worker in the 1970s : Focused on )

  • 이혜린;박주석
    • 기록학연구
    • /
    • 제63호
    • /
    • pp.145-165
    • /
    • 2020
  • 영국에서 활동한 메리 켈리와 케이 헌트, 마가렛 해리슨이 협업한 전시 는 1970년대 여성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196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전 세계는 정치적·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 흐름과 같은 맥락으로, 기록학에서는 일반인이나 공동체, 소수계층을 대상으로 한 수집의 다양화를 강조했고, 예술계에서는 정치적 발언 혹은 노동자, 페미니즘 등 주제의 확대로 이어졌다. 이런 사회적 상황으로 세 명의 작가는 기록학과 예술계에서 주요 쟁점이 된 노동자와 여성의 삶에 주목하고, 이를 공론화하기 위한 전시 를 개최했다. 이 전시는 공장에서 일하는 이들의 노동 현실과 여성으로서 겪었던 차별, 가정 내에서의 가사 분담 등 당대의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작가들은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동자들과의 인터뷰, 사진과 영상 촬영, 관련 문서 수집 등의 방법을 사용해 객관적인 사실을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는 세 명의 작가가 협업한 미술작품인 동시에 1970년대의 노동 현실, 그리고 지역의 역사를 담고 있는 기록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70년대 사회적 상황을 바탕으로 영국의 여성 노동자를 다룬 의 내용을 분석하고 특징을 살펴본다. 나아가 기록물과 기록행위를 활용한 예술작품을 다양한 시선과 입장을 도출할 수 있는 방법론 중 하나로 평가해 이를 기록의 사회적·정보적 가치의 범주로 고찰한다.

도로교통소음으로 인한 박물관 전시실의 실내 소음레벨 예측 및 평가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Indoors Noise Level of Exhibition Room in Museum by Road Traffic Noise)

  • 이국현;박영지;김재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787-794
    • /
    • 2010
  • 최근 자동차 보급률과 물동량의 급증으로 인해 도심에서 교통소음은 정온함을 목적으로 하는 전시 및 관람시설의 음환경을 저해하는 중요한 인자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불만족이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전시 및 관람시설의 경우 설계단계에서부터 교통소음에 대한 영향평가를 실시하여 전시실 내외부의 소음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설계단계에 있는 건축물의 경우 교통소음으로 인한 실내소음레벨을 측정할 수 없어, 지금까지는 질량법칙을 토대로 한 벽체의 투과손실 식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건립 후 실내 소음레벨을 측정해 보면 설계단계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개관 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 인접한 민속박물관 전시실의 실내소음도 평가를 위해 실측한 자료를 토대로 차음벽체의 투과손실과 음향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내흡음력을 산정하여 실내 소음레벨을 예측 평가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이와 비슷한 전시시설 건립 시 실내소음도의 예측을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Mode K 기법을 적용한 차세대원전 부하추종운전의 운전여유도 평가기술 개발

  • 장진욱;이은철;최중인;유재운;김종경;전규동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246-251
    • /
    • 1998
  • 차세대원전을 위한 새로운 운전여유도 평가체제를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운전여유도 평가체제는 노심감시 및 보호체제는 그대로 유지하되 부하추종운전시 운전여유도를 만족하는 운전허용범위를 P-ASI Diagram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새로운 운전여유도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Mode K 기법에 의한 차세대원전의 일일 부하추종운전에 대한 운전여유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운전여유도를 만족하는 범위를 P-ASI Diagram으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운전여유도와 ASI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P-ASI Diagram이 COLSS와 병행된다면 운전유연성 증진 뿐만아니라 운전원의 입장에서도 더욱 용이한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