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중반에 들어서서 박물관이나 미술관들은 전시위주의 소극적 자세에서 탈피하여 일반대중을 끌어들이기 위한 적극적 자세를 취하면서 전시공간 이외의 서비스공간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의 근본적 목적은 관람객과 전시품의 직접적 만남에 의해 성취된다는 의미에서 전시공간에 대한 고려는 기타 서비스공간에 대한 고려 이전에 우선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이런 의미에서 공공박물관에 있어서도 전시공간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현대박물관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시공간구성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렇게 하는데 있어서 본 글에서는 이태리 디자이너인 가에 아울렌티의 작업에 관심을 갖고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오르세이 미술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면서 현대 박물관의 전시공간구성에 대한 방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Currently, as we enter the 21st century, the level and interest of society, culture, economy, and science are rapidly developing, but science education is still strugg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cience education, it is most important to focus on elementary education based on basic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auses of Korea's science museum's regression as a museum focusing on experience, interest, and fun such as simple science experience centers and science theme parks. To this e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the algorithm of the actor-based model based on the data o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exhibition movement of the science museum completed and operated in Korea over the past 5 years, and the problem of the visitor movement in the exhibition space was analyzed through the space system.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hibition environment was the best when the linear plot movement system and the picalesque plot were applied simultaneously in the museum's exhibition narrative theory, and the arrangement of major exhibition spaces, width of exhibition spaces, and separation of spaces for exhibition purposes were derived.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전시공간 구축에 활용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일이다. 우선 메타버스에는 물리적 전시공간에 담긴 모든 콘텐츠를 담아 낼 수 있다.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 얼마든지 콘텐츠를 담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 형태와 구성방식도 전시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고, 물리적 전시공간 내 매체시스템의 작동에 의해 원하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로 제공된다. 메타버스 개념의 활용은 전시공간을 풍성하고 스마트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전시공간의 개념과 구축을 위한 기술적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메타버스의 활용이 전시공간의 스마트화에 어떻게 기능하는가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메타버스 개념 활용 과제의 내용과 의미를 찾아 이 후 과제 수행 방향을 바르게 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spatial features of exhibition hall for trade fair and establish a theoretical model on the effects of these features on the visitor attitudes. Also, it seeks to make suggestions on the service for exhibition environment or marketing activiti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one week from Oct. 28 to Nov. 5, 2016 at COEX in Seoul. The 3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visitors of the survey period, and all of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Excluding those considered meaningless due to a small number of answered questions, a total of 303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4.0.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element of spatial features of the exhibition hall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visitor intuitive attitude. On the other hand, only Aesthetic and Convenience of spatial features of the exhibition hall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visitor conative attitude As above, this research conducted empirical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spatial features on visitor attitudes at exhibition hall to provid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strategic management schemes of exhibition space that provide more convenient and pleasant environment. Also,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for organizer to provide quality service and environment, turning them into comfortable spaces that communicate with the visitors.
스마트 전시안내는 박물관이나 전시관에서 도슨트나 큐레이터가 할 수 있는 역할과 기능을 스마트 전시공간 조성과 스마트 디바이스 및 웹/앱을 활용해서 관람객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스마트 전시안내에서는 관람객 개인마다의 에피소드가 만들어 질 수가 있고, 물리적인 전시물이 주고자 하는 내러티브를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추어 재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실제 전시공간을 정보적으로 확장한 가상세계에서 관람객과 전시물, 관람객과 관람객, 관람객과 소설네트워크 간의 공유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스마트 전시안내 서비스 연구사례로서 대전 천연기념물센터에서 서비스 중인 '메타버스 기반 스마트 전시안내 시스템'을 분석하고 ICT 융합의 범위와 한계를 이해함으로써 박물관 전시관이 다시 찾고 싶은 문화체험 공간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Currently, Korea is achieving cultural, economic, and social growth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ong with its social growth. In the 2000s, local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 made multidimensional efforts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interests. And as part of that, historical museums were built or expanded to increase the quantity in anticipation of citizens' satisfaction and attracting visitors. However, the qualitative effect of the exhibition space is not achiev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omplex system theor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planning, space, and spectator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case of domestic historical museums, and future exhibition space planning or movement lines according to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spectators were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specific visualization and data derivation regarding spatial density and spatial perception information.
Contemporary ceramic art as a new art form, how to convey the visual information of contemporary ceramic art works to the audience through the design and display of exhibition space is the primary problem of exhibition space design. Based on the current lack of research on contemporary ceramic art exhibition space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eramic art exhibition space design, in order to achieve the best exhibitions effect of contemporary ceramic art. Firstly, summarize the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 the "Spirit of Porcelain" -2021 Jingdezhen International Ceramic Art Biennial Exhibition held by the Art Museum of Jingdezhen Ceramic Universit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factors engineering, combined wi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verall spatial layout and display space form, the scientific unity of the overall layout of the display space and the flex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exhibition space form design are obtained. The theoretical knowledge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guidance and important practical significance for the design of contemporary ceramic art exhibition spaces; Simultaneous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ceramic art exhibition space design in China and even globally.
This research proposes a suitabl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standard for digital exhibition to analyze digital exhibition.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on digital exhibition classification, the necessity of the new standard is suggested and the analysis standard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hange of concept and form of the newly emerging digital exhibition is established. Digital exhibi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elements of audience participation that naturally arise from exhibition planning and interactive storytelling format.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existing digital exhibition spaces are conceptual classification based on keywords. This is because traditional exhibition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exhibitions and works. However, in digital exhibitions, the interactive aspect between exhibition space, works, and visitors become so important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performative classification between the works and the audience in the digital exhibition. Accordingly, the way of participating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what the audience feel. In this research,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ssification and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is based on Benjamin's argument which the classification of the sensory experience of the audience and 'Aktualisierung' close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We also present analysis standard for digital exhib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rt exhibition narrative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Chatman. This classification methodology will provide the exhibition information in a way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e visitors and it will be a precedent research that secures the expansion and accessibility of the digital exhibition.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v.9
no.3
/
pp.358-378
/
2006
This study aims to examine seven factors and forty-two selection attributes of Seoul as an Exhibition and Convention Destination Site thr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from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Plann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se three conclusion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the forty-two selection attributes of an Exhibition and Convention Destination Site, thirteen attributes were placed on the right top area(Keep Up the Good Work), four attributes were placed on the right bottom area(Possible Overkill), five attributes were located on the left top area(Concentrate Here), and the other twenty attributes were located on the left bottom area(Low Priority). Seco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seven factors in an Exhibition and Convention Destination Site reveals that the factors in the right top area(Keep Up the Good Work) of high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wer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Facilities", "Exhibition and Convention Fee", and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Accommodation Capacity". And the one factor located on the left top area(Concentrate Here) of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was "Exhibition and Convention Destination Regional Space", while the other factors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Management", "Exhibition and Convention Destination Tourism Space" and "Exhibition and Convention Destination Leisure Activity Space" were placed on the left bottom area(Low Priority) of low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Third, the difference of the mean value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Seoul as an Exhibition and Convention Destination Site has been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ttributes was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s because forty attributes have described all plus(+) except two attributes.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2022.11a
/
pp.23-25
/
2022
국립등대박물관은 1985년에 포항시 영일만에 있는 호미곶등대 옆에 건립되었다. 이후 몇 차례 확장을 했고, 2여년에 걸쳐 전시관을 신축하면서 유물관을 리모델링하고 2022년 7월 1일 재개관식을 개최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등대박물관의 핵심건물인 전시관의 상설전시공간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국내 유일한 등대박물관으로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 상설전시실이 위치하던 유물관의 복잡한 동선체계를 개선하고 패널과 일반 모형 중심의 연출을 벗어나 이용객 지향적인 동선과 체험물을 활용했다. 앞으로도 전시공간 매치, 연출 및 그래픽 체계, 영상매체 등의 미디어를 활용해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