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방분절골절단술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정면에서 평가한 한국인 여성 입술의 심미성과 전방 분절 골절단술 후 입술의 평가 (The frontal characteristics of esthetic lips and lips aft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in Korean females)

  • 이범석;강윤구;윤태호;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1-340
    • /
    • 2007
  • 이 연구는 한국인 여자 유명 모델과 일반인의 정면입술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아름다운 입술의 특징을 규명하며 양악 전방 분절골절단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정면입술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 수술 결과를 한국인 모델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유명 모델 30명, 일반인 26명과 양악 전방 분절골절단술을 받은 환자의 10명을 대상으로 정면입술 부위의 12개의 선 길이, 홍순의 5개의 각도와 둘레 및 면적을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은 unpaired &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한국인 유명 모델 군과 일반인 군의 비교에서 하안면 얼굴 폭경, 하안면 수직 길이, 상홍순의 높이, 하순의 길이, 상홍순의 구각부 각도와 central bow의 각도는 의미 있는 차이로 일반인 군보다 유명 모델 군에서 작았다. 그러나, 입술의 폭, 하홍순의 높이, Cupid's bow tip간 거리와 하홍순의 구각부 각도는 유명 모델 군에서 컸고 입술의 둘레와 전체 면적에서도 일반인 군보다 쳐다 양악 전방 분절골절단술을 받은 환자의 정면입술에서는 하안면 얼굴 폭경, 상홍순의 높이, Cupid's bow tip에서 구각부까지의 길이와 상홍순의 면적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고 한국인 유명 모델과의 비교에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상순의 길이는 반대로 증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교정치료 혹은 양악 전방 분절골절단술을 계획할 때 정면 입술 심미성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상순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술방법에 따른 치료 후 상악 연조직 변화 - ASO/BSSRO와 Le Fort I/BSSRO 비교 (Soft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ASO/BSSRO and Le Fort I/BSSRO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upper lip protrusion)

  • 강주만;김윤지;박재억;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83-397
    • /
    • 2010
  • 본 연구는 상순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전방분절골절단술(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SO)을 병용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과 Le Fort I 골절 단술을 병용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SSRO) 후 상악의 경 연조직 변화 및 경조직 변화에 대한 연조직 변화율을 비교하였다. A군은 ASO/BSSRO를 시행한 군 14명, B군은 Le Fort I/BSSRO를 시행한 환자 중 상악의 후방부가 상방으로 이동(posterior impaction)된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술 전 2개월 이내와 수술 후 6개월 이후에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군 모두 수술 후 상악 전방부 경조직과 연조직이 후방이동되었고, A군에서 더 큰 변화량을 보였다. A point의 후방이동에 따른 superior labial sulcus의 변화율은 A군에서 79%, B군에서 15%를 보였고, supradentale에 대해 labrale superious는 A군에서 80%, B군에서 68%의 비율로 후방이동하였다. 교합평면각은 B군에서 증가한 반면, A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양악수술 시 상악 수술은 상악 전방부와 상순의 돌출이 심한 경우에는 ASO를 시행하고 교합평면각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posterior impaction을 동반한 Le Fort I 골절단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정유합된 상악골 골절로 인해 발생한 부정교합의 상악골 수평 골절단술과 후방분절 골절단술에 의한 치험례 (Le Fort I Osteotomy and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y for Correction of Malunioned Maxilla)

  • 박희대;배윤호;박재현;이명진;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203-210
    • /
    • 1990
  • 저자들은 영남대학교 영남의료원 치과로 교통 사고후 부정유합으로 인한 부정교합으로 저작 곤란을 호소하며 내원한 환자를 상악골 수평 및 후방 분절 골절단술을 시행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통 사고후 부정유합된 상악골을 수평 및 후방 분절 골절단술을 이용하여 전방 치열의 반대 교합과 구치부의 개교 및 scissor's bite를 해소했다. 2. 술후 감염등 특기할 만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술후의 종창은 48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감소했다. 3. 수술후 악간고정은 8주간 시행했으며 악간 고정 제거 1주후 정상적인 개구가 가능했다. 4. 절단된 상악골 고정시 확고한 고정과 회귀성향을 줄이기 위해 miniplates로 고정했다.

  • PDF

전방부분절 골절단술에 의한 상하악 전돌증의 악교정 1 예 (Combined 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A Report of Case)

  • 변상길;이희경;진병로;오명철;김태주;김영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71-279
    • /
    • 1985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치과 구강외과에 상 하악 전돌을 가진 환자가 안모 추형으로 인한 심미적 장애와 상악 전치부 치간이개 및 하악전치부 치열부정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안면치조기형에 대한 육안적평가, 방사선학적검사, 두부계측사진분석 및 진단 모형분석 등 다각적인 분석 결과 상 하악 치조 전돌증으로 진단을 내렸으며, 내원 당시 본 환자는 전반적으로 치주병학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개인적으로 군입대라는 특수상황하에 있었기 때문에 치주조직에 대한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치료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치료계획을 세웠다. 상하악 천치부에 대한 술전교정 치료 후 상악골은 전방부분절 골절단술로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하악골은 전방부분 치근단 하방 골절단술로 후하방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상하악 전돌증에 대한 악교정 외과적 처치를 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분절골절단술과 교정치료를 동반한 과개교합 환자의 완전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deep bite patient with segmental osteotomy and orthodontic treatment)

  • 추승식;조웅래;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6-38
    • /
    • 2015
  • 과도한 수평 및 수직피개를 가진 과개교합 환자에서 치질의 파괴 및 대합치 정출의 문제를 흔히 관찰할 수 있다. 이는 곧 교합평면의 붕괴와 부적절한 전방유도로 이어지며, 조화로운 교합관계의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수의 치아 상실과 저작기능의 감소를 야기하게 된다. 과개교합환자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교정과, 구강외과 및 보철과의 협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증례보고는 심한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수직교합고경을 증가시킨 후 완전구강회복을 이룬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료는 구외 및 구내검사, 진단 및 치료계획, 진단 납형형성, 분절골 절단술, 교정적 함입 및 보철치료 순으로 진행되었다. 수직고경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로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양악 전방분절골절단술과 이부 성형술을 통한 개방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ANTERIOR OPEN BITE WITH BI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ND GENIOPLASTY)

  • 황용인;홍순민;박준우;이건주;조형준;천세환;박양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3호
    • /
    • pp.355-364
    • /
    • 2008
  • Skeletal anterior open bite is a difficult problem to correct in orthodontic treatment. To treat adult patients who have skeletal anterior open bite, we considered two methods. Combination treatment of orthodontics & surgery and camouflage orthodontic treatment. In adults, treatment of severe skeletal anterior open bite consists mainly of surgically repositioning the maxilla or the mandible. However, camouflage therapy is often the treatment of choice for skeletal open bite patients who have mild to moderate skeletal discrepancies when growth modification is no longer possible. But excellent results generally require careful coordination of the orthodontic and surgical phases of treatment. This is a case report of a skeletal anterior open bit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First case was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 bimaxillary protrusion with anterior open bite, and finally treatment ended for removal of open bite with orthodontic procedure and bi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surgery. Second case was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with open bite & mandibular retrusion, and was treated with only camouflage orthodontics because she feared to have a surgery. In a regular follow up visit after debonding we proposed to the patient advanced genioplasty, and in her agreement her facial esthetics was improved through the surgery.

양악전돌증 환자에서 하악 6전치 후방 이동 시 치료 방법에 따른 하악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 하악 전방분절골절단술과 발치 교정 치료 (The Evaluation of Soft and Hard Tissue Change for Retraction of Lower Anterior Tooth in Bimaxillary Protrusion Patients according to Two Different Therapeutic Methods: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nd Orthodontic Treatment with Teeth Extraction)

  • 김영주;김경아;유용재;유경선;유정민;오주영;김수정;김성훈;이백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246-25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SO) in bimaxillary protrusion (BP) patients by comparison between the mandibular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from orthodontic treatment and ASO. Methods: All 44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BP in Kyung-Hee Medical Center. Orthodontic treatment with teeth extractions were underwent by 23 patients (Group A) and 21 patients underwent ASO (Group B). Mandibular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which were based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ference line in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hanges and correlation between each measure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amount of B point movement was lesser than that of the lower incisal tip (LIT) retraction, and LIT was tilted lingually in group A. The posterior movement discrepancy between LIT and B point was insignificant, and the inclination of lower incisor was not changed in group B. The soft tissues, including the lower lip, showed a posterior movement and reduction in the depth of mento-labial groov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lower lip in group A, and the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at of the movement of lower lip, B point and Pog in group B. Conclusion: The orthodontic treatment in BP patients results in posterior tilting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but ASO results in the bodily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Consequently, ASO is more effective in BP cases because it ensures the controlled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s.